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종료] 철학강독 『천 개의 고원』 · 일요모임
들뢰즈와 가타리가 남긴 ‘노마디즘’의 사유는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들뢰즈의 사유에 호응하거나 혹은 이
사유에 대결하는 것이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이기 때문입니다. 들뢰즈의 사유는 문학?영화 등의 예술 분야는 물론 정치와 사회
분야에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건축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도 이 사유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들뢰즈는 철학사에 대한 방대하고도 독창적인 독해 과정을 통해서 자신 만의 사유 틀을 만들며 철학의 새로운 길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활력을 부가했습니다. 혼자서는 읽기 어려운 1,000페이지 분량의『천 개의 고원』(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
새물결 | 2003년)을 함께 읽으며 들뢰즈와 가타리의 사유 속으로 긴 여행을 시작합니다.
□ 과정 요강
○ 강좌명 : 철학강독 『천 개의 고원』 · 일요모임
○ 강의 기간 : 2015년 1월 18일(일) ~ 2016년 6월 26일(일) · 주 1회
○ 수강 시간 : 매주 일요일 오후 7시 ~ 9시
○ 강독 도서 :『천 개의 고원』(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 새물결 | 2003년)
○ 강의 장소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사직동 사무실, http://www.epicurus.kr/Map )
○ 수강 정원 : 10명
○ 수강료 : 회당 10,000원(회당 현장 결제 ? 모임공간비 및 음료 포함)
○ 문의 : 02-389-7057(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모임공간 에피)
○ 수강 신청 : <수강 신청> 페이지를 참고하십시오.( <수강신청> 바로가기 )
강독 도서는 개별 구입
□ 과정 목표
○ 철학의 눈으로 세상을 새롭게 보기
○ 들뢰즈 철학의 이해
□ 수강 대상
○ 현대 철학의 개념과 철학사를 깊이 있게 공부하고 싶으신 분
○ 현대 철학 개념과 철학사를 알고 그것을 삶과 현실에 적용해서 실천하고자 하시는 분
□ 수업 방법 : 강의와 강독의 병행
□ 강사 소개
이우 |
인문학서원 <에피쿠로스> 대표로 일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 소설 <죽(竹)>으로
복현문학상, 문학평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으로 복현문화상을 수상하고, 詩 <강변에서>로 제1회 강변시인학교 백일장
장원으로 당선했다. 저서로 <언어는 눈부시다>를 저술했고, 사사 <구미공업단지 15년사>, <구미상공회의소
10년사>를 공동 집필했다. <조선대학교>, <순천대학교>, <동아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등의 대학,
<인천북구도서관>, <아람누리도서관>, <가산정보도서관>, <개포도서관> 등의 공공도서관에서 인문학 강의를 하고,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인문학 산책>, 인문학 기행 <서울을 걸어 인문학을 만나다> 등의 강의를 하고 있다.
|
|
|
리강 | 오랫동안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시달림. 문학을 전공했지만 문학과 철학과 역사를 넘나들며 기웃거림. 시도 아니고 우화도 아니고 꽁트도 아니고 아무 것도 아닌 것을 가치 있다고 생각하고, 글을 쓰고 있음. 논술도 아니고 철학도 아니고 문학도 아니고 그렇다고 그 무엇이라고 할 수도 없는 그 무엇을 가치 있다고 생각하여, 가르치고 있음. 20년째 이 짓을 하고 있음. 책을 읽으며 엄청나게 많은 밑줄을 그음. 책에 낙서 많이 함. 잡설도 아니고 세설도 아니고 그렇다고 잡설과 세설이 아닐 필요도 없는 “잡세설”을 하고 있음. 지독한 아나키스트임. 그렇다고 아나키스트라고 단정 당하는 것을 참으로 싫어함. 떠도는 영혼임. 죽으면 자연 떠돌 터이지만 미리 떠도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함.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강독 · 경북도립대학교 2014 <인문고전 만남> 인문학 강의 |
-
30Nov 201413:45
[완료] 포럼(Forum) 「공동체는 가능한가?」
아감벤(Giorgio Agamben)은 인간 삶·생명이 처한 주권의 아포리아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공동체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낭시(Jean-Luc Nancy)는 ‘공동체’를 사회와 일치시키려는 이상주의적·전체주의적 시도로서의 공동체는 반대합...Category포럼 By이우 Reply0 Views5250 -
03Nov 201402:03
[완료] 포럼 「우리 시대의 니힐, 니체와 일베」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년~1900년)는 유럽의 역사는 필연적으로 니힐리즘(Nihilism)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고 말하며, 자신이 살던 시대의 문화 현상을 일괄했습니다. 현재 우리 사회의 문화적 양상을 담고 있는 이른바 '일베(일베저장...Category포럼 By이우 Reply0 Views4911 -
01Jul 201321:49
[완료] 제1회 왈책 세미나_ 카오스의 글쓰기
□ 세미나 일정 · 일 시 : 2013년 7월 28일(일) 오전 10시 ~오후 6시 · 대상도서 : <카오스의 글쓰기> (모리스 블랑쇼 저 | 그린비 | 2012년) · 장 소 : 장흥면(송추) 다솜 갤러리 카페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산47-2, (031) 829 - 1178, 주차가능) ...Category세미나 By묵와 Reply0 Views6050 -
24May 201400:32
[완료] 세미나 : 카프카 문학의 이해 『카프카에서 카프카로』
□ 세미나 요강 ○ 일 시 : 2014년 6월 22일(일) 오전 10시~오후 5시 ( 7시간 ) ○ 장 소 : 모임공간 에피(02-389-7057, www.space-epy.kr, 약도 보기) ○ 대상 도서 · 주 도서 : <카프카에서 카프카로>( 모리스 블랑쇼 저 | 그린비 | 2013 ) · 보조 도서① : <카...Category세미나 By이우 Reply0 Views4781 -
17Jan 201516:57
[완료] 철학 스터디 『철학 VS 철학』 · 금요오전반 · 제1기
이 스터디는 철학에서 다루는 마흔 여덟 개의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해석하고 현대 우리 사회의 쟁점 사항과 연결할 수 있는 철학 스터디입니다. 코치의 기조 강의와 928페이지에 달하는 강신주의 <철학 대 철학>(그린비)을 함께 읽습니다. 누구나 쉽게 플라...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852 -
12Jan 201517:03
[상시모집] 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통기타 교실
□?강좌 개요? ? 니체는 예술이 바로 삶이며, 삶에 대한 의지를 긍정하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예술은 삶의 위대한 자극제(das grosse stimulans)이며, 삶의 의지를 자극하고 고취하는 것입니다. 예술의 목적은 바로 ‘삶’입니다.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에서 ...Category기타 By이우 Reply0 Views5178 -
15Dec 201405:11
[종료] 철학강독 『천 개의 고원』 · 일요모임
들뢰즈와 가타리가 남긴 ‘노마디즘’의 사유는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들뢰즈의 사유에 호응하거나 혹은 이 사유에 대결하는 것이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이기 때문입니다. 들뢰즈의 사유는 문학?영화 등의 예술 분야는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730 -
02Nov 201422:52
[마감] 현대시 강독 「철학의 창에 비친 현대시」
현대시는 왠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느낍니다. 게다가 현대시를 철학의 눈으로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은 더더욱 요령부득이라고 여깁니다. 하지만 현대시야말로 가장 우리들의 직관적인 감성에 닿아 있습니다. 아니, 원초적 감각이나 본능에 닿아 있다고 해야 ...Category문학 By이우 Reply0 Views4032 -
02Nov 201422:26
[마감] 슬라보예 지젝 강독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현대철학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지젝, 지젝’ 거리며 수다를 떤답니다. 그도 그럴 것이 현대철학과 현대사회를 논하려 하면 슬라보예 지젝은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의 철학은 단지 ‘관념의 성 쌓기’에 머물러 있지 않은 까닭일 것입니다. 지극히 이론...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4059 -
09Aug 201409:26
[완료] 철학강독 『철학 VS 철학』 · 수요저녁반 · 제1기
이 스터디는 철학에서 다루는 마흔 여덟 개의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해석하고 현대 우리 사회의 쟁점 사항과 연결할 수 있는 철학 스터디입니다. 코치의 기조 강의와 928페이지에 달하는 강신주의 <철학 대 철학>(그린비)을 함께 읽습니다. 누구나 쉽게 플라...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049 -
15Jun 201415:03
[마감] 누구나 수필가가 될 수 있다(기초 과정) : 8월 21일(목) 개강
□?과정 요강 ? ○ 강 좌 명 :??글쓰기 강좌 · 누구나 수필가가 될 수 있다(기초 과정) ? ○ 강의기간 : 2014년 8월 21일(목) ~ 9월 25일(목) · 주 1회· 총 6회· 공휴일은 휴강 ? ○ 수강시간 : 매주 목요일, 오전? 11시 ~ 오후 1시 ? ○ 강의장소 : 모임공간...Category글쓰기 By이우 Reply0 Views4003 -
11Apr 201420:36
[마감] 철학 고전 강독, 『플라톤 국가』 : 6월 12일(목) 개강
? ? ?지난 1년 동안 Rhyzome study group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강독을 했습니다. 이 강독을 통해 느끼고 깨달은 바가 많았으나 미진한 점도 많았습니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들뢰즈가 해설하거나 비평하고 있는 철학 원전을 우리가 제대로 읽지 않았다는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678 -
11Apr 201404:47
[마감] 강독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E코스) : 11월 1일(토) 개강
? 2013년 4월부터 시작한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리좀S 강독을 2014년 버전으로 다시 시작하려 합니다. 1년 동안 열심히 공부했지만 여전히 미진함을 느껴 강독을 다시 할 수밖에 없습니다. ? 문학과 사회와 역사는 철학의 바탕 위에서 일어나는 사건입니...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073 -
11Apr 201403:34
[모집 예정] 독서토론 리더과정
?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밖에 있습니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언어의 의미는 환경·문맥·상황·사용과 실천에 따라 달라지며, 라캉에 따르면 ‘기표는 기의에 닿지 못한 채 그 위로 미끄러’져 기표 자체로는 의미에 닿지 못합니다. 들뢰즈와 가타리에 따르...Category독서토론강좌 By이우 Reply0 Views5089 -
11Apr 201401:47
[마감]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B코스) : 7월 13일(일) 개강
인문학이 특정한 배치물의 양태들과 특정한 사회 권력 유형들을 함축하는 담론 영역 내부에 머물러 있다면 의미를 생성하지 못합니다. 인문학을 언표의 의미론적?화행론적 내용과 연결?접속하고 언표행위라는 집단적 배치물과 연결?접속하고 사회적인 각...Category인문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420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