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 주체와 주체화, 자아의 문제

by 이우 posted Sep 18, 2020 Views 126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들뢰즈가만든철학사.jpg


  (...) 자아는 이제 그의 계열이, 그 계열의 수만큼의 우발적인 사건들이 되어 가로질러짐에 틀림없는 그런 모든 자아에, 다른 역할에, 다른 인격에 개방되게 된다. '나는 샹비주이고 바딩게이며 프라도다. 나는 역사에 나타나는 모든 이름인 것이다.' (중략) 소크라테스 이전의 사람들, 로마인들, 유태인들, 그리스도, 반그리스도인, 카이사르, 보르지아, 차라투스트라 등 집합적인 것들이든 개인적인 것들에는 니체의 텍스트 속에서 작동하며 되돌아오는 이 모든 고유명사는 기표들도 아니요 기의들도 아니다. 그것들은 차라리 땅의 신체일 수도 있고 그런 신체 위에서 강도들을 가리킨다. '나는 역사에 나타나는 모든 이름이다'라는 구절은 이런 의미에서이다. 이렇게 하여 여기에 유목주의가 있게 된다. 즉 고유명사들에 의해 지칭되는 강도들이 그 어떤 충만하게 꽉 찬 신체 위에서 살아짐과 동시에 이 강도들에서 저 강도들이 서로서로 침투하는 강도들의 계속적인 자리 이동이 있게 되는 것이다. (...)

 -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p.221~272


  (...) 자아의 차원은 우리가 이미 다 완결된 것으로 발견하게 될 결정, 미리 존재하는 결정이 결코 아니다. 왜냐하면 주체화의 선은 여전히 하나의 과정이요, 장치 속에서 일어나는 주체성의 생산이기 때문이다. 장치가 그렇게 하도록 용인하거나 또는 그 일을 가능케 하는 한에 있어서, 주체화의 선은 도주의 선이다. 주체화의 선은 이전의 선들을 벗어나며 또 스스로를 빠져나간다. 따라서 자아는 지식도 아니요 권력도 아니다. 자아는 집단 또는 개인에 근거를 둔 개별화의 과정이다. 단 자아로서의 이 과정은 구성된 지식으로부터 스스로 벗어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성립된 힘들의 관계로부터도 스스로 벗어나는 그런 개별화의 과정이다. (중략)

  그렇다면 우리는 이 주체화가 더 이상 귀족적인 삶이나 자유인의 미학적 실존을 통해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배제된 자'의 소외된 실존을 통해서 작용하게 되는 그런 장치들을 내세울 수 있지는 않을까? (중략) 주체화하는 것, 또는 주체화되는 것은 귀족들, 또는 니체의 표현을 빌려 말하자면 "우리, 선한 우리…"를 이야기하는 자들이기는 하지만, 다른 조건 속에서 그것은 배제된 자들, 나쁜 자들, 죄인들이기도 하다. 또 때로는 그것은 은둔자들, 또는 수도사들의 모임, 또는 이교도들이기도 하다. 즉 동적인 장치 속에서 이루어지는 주체적 형성에 대한 모든 종류의 유형학이 거론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술해야 할, 이들 간의 뒤섞임이 도처에 존재한다. 왜냐하면 미래의 또 다른 형태 아래에서, 또 다른 장치의 권력과 지식 속으로 자신을 다시 투자하기 위하여, 주체성의 생산이 어떤 한 장치의 권력과 지식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계속해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장치는 구성 요소들로서 가시성의 선, 언표 행위의 선, 힘의 선, 주체화의 선, 균열, 간극, 단층의 선을 가지고 있다. 이 선들 모두는 서로 교차하여 서로 뒤섞여 얽힌다. 또 선들의 배치상의 변화를 통해서 또는 심지어 배치의 변이를 통해서 일부 선들은 다른 선들을 복구시키거나 다른 선들을 불러 일으킨다. (중략)

  그것은 보편적인 것의 포기이다. 보편적인 것은 아무 것도 설명하지 못한다. 오히려 설명되어야 할 것이 보편적인 것이다. 모든 선은 변화의 선이며, 이 변화의 선은 결코 항구적인 좌표들을 갖지 않는다. 일자, 전체, 참된 것, 대상, 주체는 결코 보편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이러저러한 장치에 내재적인 합일화의, 전체화의, 검증의, 객관화의, 주체화의 특이화 과정들인 것이다. 또한 각각의 장치는 그 자체가 하나의 다양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 속에서 다른 장치 속에서 작용하는 과정과 구분되는, 생성 중인 이런저런 과정이 작용한다. 푸코의 철학이 실용주의 철학이자 기능주의 철학이요 실증주의 철학이자 다원주의 철학인 것은 이런 의미에서이다. (중략)

  그들은 또 푸코에게 있어서의 결국 모든 장치가 다 동일한 가치를 갖게 되는 것(허무주의)이 아니냐고 따지지 않을까? 이미 오래전에 스피노자 또는 니체 같은 사상가들이 실존의 양태는, 초월적인 가치에 호소하는 일을 배제한 채, 니체적인 기준을 따라서, 그 자신의 '가능성'의 함유 정도, 자유와 창조성의 함유 정도를 따라서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인 바 있다. (...)

 -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p.475~479


  (...) 모든 장치는 장치 자신의 새로움과 창조성의 함유를 따라서 정의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새로움과 창조성의 함유는 가장 굳고 가장 뻣뻣하며 가장 단단한 장치의 선 위에서 힘이 꺽이는 것과는 반대로, 스스로 변형을 하는, 또 이미 미래의 장치를 위하여 스스로 균열되는 그런 장치의 능력을 나타낸다. 그 본성상 주체화의 선은 지식과 권력의 차원들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특별히 주체화의 선은, 계속 좌절됨에도 불구하고 이전 장치의 결별에 이를 때까지 다시 취해지고 멈추지 않는 그런 창조의 길을 그려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략)

  우리는 이와 같은 장치에 속하며 그것 속에서 행동한다.이 전의 장치들에 대하여 한 장치가 지니는 새로움을 우리는 그 장치의 현실성이라고 부르며 또 우리의 현실성이라고 부른다. 새로운 것, 그것은 바로 현실적인 것이다. 현실적인 것은 우리가 지금 무엇이라고 할 때의 그 무엇이 아니다. 그것은 차라리 우리가 무엇이 된다고 할 때의 그 무엇, 우리가 무엇이 되고 있는 중이라고 할 때의 그 무엇이다. 말하자면 현실적인 것은 타자(l'Autre)요, 우리의 다른 것-되기인 것이다. (...)

-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p.480~481  









Article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