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by 이우 posted Oct 14, 2019 Views 124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과 사물02.jpg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도록 불러일으키고 급기야는 사유, 우리의 사유, 즉 우리 시대와 우리의 지리(地理)가 각인되어 있는 사유의 친숙성을 깡그리 뒤흔들어 놓은 웃음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에 인용된 "어떤 중국 백과사전"에는 "동물이 a)황제에게 속하는 것, b)향기로운 것, c)길들여진 것, d)식용 젖먹이 돼지, e)인어(人魚), f)신화에 나노는 것, g)풀려나 싸대는 것, h)지금의 분류에 포함된 것, i)미친 듯이 나부대는 것, j)수없이 많은 것, k)아주 가느다란 낙타털 붓으로 그린 것, l)기타, m)방금 항아리를 깨뜨린 것, n)멀리 파리처럼 보이는 것"등으로 분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이로운 분류에서 누구에게나 난데없이 다가오는 것, 교훈적인 우화의 형식 덕분으로 우리에게 또 다른 사유의 이국적인 매력처럼 보이는 것은 우리의 사유가 갖는 한계, 즉 그것을 사유할 수 없다는 적나라한 사실이다.

  도대체 무엇을 사유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어떤 불가능성이 문제일까? 이 특이한 항목들 각각에는 분명한 의미와 정확한 내용을 부여할 수 있고, 몇몇 항목은 명백히 환상적인 존재들, 이를테면 신화적인 동물이나 인어나 채워져 있지만, 중국 백과사전은 바로 이것들에 별도의 자리를 마련해 줌으로써 이것들의 확산을 차단하고, 미친듯이 나부대거나 방금 항아리를 깨뜨린 정말로 실재하는 동물과 상상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동물들을 세심하게 구분한다. 위험한 혼합이 철저히 배제되고, 상징적인 표지와 지어낸 이야기가 제각기 높은 정점에 이르며, 상상할 수 없는 양서(兩捿) 동물도, 발톱 달린 날개도, 비늘 덮인 보기 흉한 피부도, 악마 같은 다형(多形)의 얼굴도, 불꽃의 입김도 없다. 여기에서 기괴성은 실제로 어떤 육체도 변화시키지 않고, 상상 속의 동물 우화집에 어떤 변모도 일으키지 않으며, 기이한 힘이 꿈틀대는 어떤 심층 속에 감춰져 있지도 않다. 심지어는 빈 공간 전체로, 존재물들을 서로 분리하는 공백의 간극으로 스며들지 않는다면, 이 분류의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전설상의 동물'은 그 자체로 지칭되므로 있을 수 없는 것이 아니다. 불가능한 것은 전설상의 동물이 아니라, 풀려나 싸대는 개 또는 멀리 파리처럼 보이는 동물들과 전설상의 동물이 나란히 놓일 때의 좁은 간격이다. 모든 상상, 모든 가능한 사유를 벗어나는 것은 그저 이 각각의 범주를 서로 연결하는 알파벳순의 계열(a, b, c, d)이다.

  엉뚱하고 기묘한 마주침이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알다시피 극단적인 것들의 근접이나 관계가 없는 사물들의 느닷없는 인접만 해도 우리를 당혹하게 하는 것이 없지 않고, 그런 것들을 서로 마주치게 하는 열거만 해도 독특한 매력이 있다. 가령 외스텐의 말에 귀를 기울여 보자. "이제 나는 배고프지 않다. 아스픽스, 암피스메데스, 아이아르트라즈, 암모바테스, 아피나오스, 알라트라반스, 아락테스, 아스테라온스, 알카라테스, 아라이에스, 아스갈리베스, 아틸라베스, 아스칼라보테스, 아에모로이데스가 내일까지는 내 힘으로 안전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벌레와 뱀, 이 모든 끈적끈적하고 썩은 동물들은 이 명칭들의 음절처럼 외스텐의 침 속에서 우글거린다. 이 모든 것의 공통의 장소(논리가 들어 있는 저장소)수술대 위의 우산과 재봉틀처럼 바로 그의 침 속이고, 이것들의 야릇한 마주침이 확연히 드러나는 것은 확고하고 자명해서 병치의 가능성을 보장하는 "" 및 "안에", 그리고 "위에"라는 어위를 토대로 해서이다. 물론 독사, 거미, 사막의 뱀이 어느 날 외스텐의 입속에서 뒤섞이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지만, 요컨대 뭐든지 게걸스럽게 삼켜대는 그러한 입 안에서 이것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공존의 궁전을 발견할 여지는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보르헤스의 열거에 감도는 기괴성은 항목들을 서로 연결할 공통의 바탕 자체가 무너져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불가능한 것은 사물들의 근절이 아니라, 사물들이 인접할 수 있는 장소이다. 이 세상의 것이 아닌 듯한 열거하는 목소리에서가 아니라면, 열거의 항목들에 기입되는 종이 위가 아니라면, 과연 어디에서 "i)미친 듯이 나부되는 듯한 동물, j)수없이 많은 동물, k) 아주 가느다란 낙타털 붓으로 그려진 동물"이 마주칠 수 있을 것인가? 언어의 (非)-장소(non-lieu, 원래 법률용어로서 '기소 면제'를 뜻한다. 여기에서는 언어의 공간이 현실의 공간에 직접 연루되지 않았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이를테면 '장소 아닌 장소'다.)가 아니라면 어디에 이것들이 나란히 놓일 것인가? 그런데 언어는 이것들을 늘어놓으면서 오로지 사유할 수 없는 공간을 열어 놓을 따름이다. "현재의 분류에 포함된" 동물이라는 중심의 범주는 앞뒤에 이어 나열된 항목들 사이의 부조리에 명시적으로 의거하는 만큼, 이 집합들 각각과 이 집합들을 통합하는 집합 사이의 인정된 포함 관계가 결코 규정될 수 없으리라는 것을 충분히 보여준다. 분류된 동물이 분류 항목들 중의 하나에 예외없이 놓이는 것은 다른 모든 동물이 이 항목에 들어있지 않기 때문일까? 그리고 이 항목은 어떤 공간에 존재할까? 이처럼 분명한 부조리로 말미암아, 열거된 사물들이 분류될 "안에"라는 전치사에 불가능성의 충격이 가해지면서, 열거의 접속사도 훼손된다. (중략)

  중국 백과사전에 나오는 열거에서 유일하게 가시적으로 길잡이 구실을 한다고 여겨지는 우리의 알파벳순 계열에 의해 가려진 소멸, 더 정확히 말해서 미미하게 드러나는 소멸…. 물러나는 것은 한마디로 유명한 "수술대"인데, 나는 루셀에게서 늘 빚지고 있는 것을 조금이나마 갚으려는 마음에서, 대(臺) 또는 탁자라는 의미의 낱말 '테이블'을 두 가지 중첩된 의미로 사용하고 싶다. 하나는 어둠을 삼키는 유리 태양(전구) 아래 반짝거리고 니켈 도금이 되어 있으며 방수포와 하얀 면직포로 둘러싸여 있는 수술대이다. 거기에서는 어느 순간, 우산이 재봉틀과 마주치고 어쩌면 계속해서 마주칠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유로 하여금 존재물의 정돈과 종류별 분할, 존재물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지정되는 명목적인 분류를 실행하게 해주는 도표이다. 거기에서는 아득히 먼 옛날부터 공간과 교차한다. (...)

 - 『말과 사물』(지은이 : 미셸 푸코 · 옮긴 이 : 이규현 · 민음사 · 2012년 · 원제 : Les mots et les choses, 1966년) <서문>  p.7~11


















  1. 08
    Dec 2020
    18:58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생물정치학·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군주가 생사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결국 그가 사람들을 죽게 할 수도 살게 내버려둘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중략) 결국 그들이 살 권리와 죽을 권리를 갖는 것은 전적으로 군주에게 달려 있다. (중략) 그러니까 삶과 죽음의 권리란 결국 죽...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3068 file
    Read More
  2. 18
    Sep 2020
    03:37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 주체와 주체화, 자아의 문제

    (...) 자아는 이제 그의 계열이, 그 계열의 수만큼의 우발적인 사건들이 되어 가로질러짐에 틀림없는 그런 모든 자아에, 다른 역할에, 다른 인격에 개방되게 된다. '나는 샹비주이고 바딩게이며 프라도다. 나는 역사에 나타나는 모든 이름인 것이다.' (중략)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02 file
    Read More
  3. 28
    May 2020
    15:02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언표(言表)의 정의· 언어행위 분석

    (...) 식물학적 분류표는 언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구(語句)들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계통학적 나무, 회계 장부, 대차대조표들은 언표들이다. 어구들은 어디에 있는가? 더 나아갈 수 있다. n차의 방정식, 굴절법칙에 관한 대수식은 언표로 간주되어야 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45 file
    Read More
  4. 25
    May 2020
    15:56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개념의 형성·계열화·도표화·조직화

    (...) 아마도 린네(Carl won Linne)의 작품 속에서 또한 리카드로의 작품이나 포르-르와왈의 문법 속에서 사용된 개념군들은 하나의 복합적인 총체로서 조직화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우리는 그 개념군이 형성하는 연역적 건축물을 재건할 수 있을 것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322 file
    Read More
  5. 23
    May 2020
    00:57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언설·담론·에피스테메(episteme)

    (...) 19세기의 정신병리학이 관련되는영역에 있어, 일찍부터 경범죄의 범주에 속하는 일련의 대상들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살인, 그리고 자살, 치정사건, 성적인 경범죄, 여러 종류의 절도, 부랑죄, 그리고 그 후 이들을 통해서 상속권, 신경증을 야기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222 file
    Read More
  6.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44 file
    Read More
  7.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40 file
    Read More
  8. 19
    Mar 2020
    03:37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신체 권력·지식권력(규율권력)

    (...) 1757년 3월 2일, 다미엥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유죄판결이 내려졌다. "손에 2파운드 무게의 뜨거운 밀랍으로 만든 횃불을 들고, 속옷 차림으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정문 앞에 사형수 호송차로 실려 와, 공개적으로 사죄를 할 것. (중략) 상기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54 file
    Read More
  9.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26 file
    Read More
  10.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72 file
    Read More
  11.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13 file
    Read More
  12. 24
    Aug 2018
    13:22

    [철학] 『말과 사물』 : 유사(類似)와 상사(相似), 그리고 기호(記號)

    1. 네 가지 유사성 (...) 16세기 말엽까지 서양 문화에서 닮음의 역할은 지식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에 대한 주석과 해석을 대부분 이끈 것은 바로 닮음이다. 닮음에 의해 상징 작용이 체계화되었고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 사물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45 file
    Read More
  13. 21
    Aug 2018
    18:0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의 전개(규율권력 · 생물권력 · 인종주의)

    (...) 생물정치는 규율적 메커니즘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들을 작동시키기 시작했다. 생물정치에 의해 작동된 메커니즘은 우선 예측과 통계, 그리고 전체적인 측정 다음에 그런 특정 현상이나 개별적인 개인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반적이고 글로벌한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834 file
    Read More
  14. 21
    Aug 2018
    16:1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미개인과 야만인, 그리고 교환

    (...) 역사 안에서 올바르고 진실된 구성의 시점을 찾으면서 불랭빌리에가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던가? 그는 구성의 시점을 법 안에서 찾기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안에서 찾기도 거부하였다. 그것은 반법률주의이고 동시에 반자연주의였다. 불랭...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556 file
    Read More
  15. 21
    Aug 2018
    15:22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봉건제의 발생 · 절대왕정제의 탄생

    (...) 로마인 문제 다음으로 내가 불랭빌리에의 분석 예로서 들고 싶은 것은, 그가 프랑크족에 관해 제기한 문제이다. 골에 들어온 프랑크인은 과연 누구인가? 내가 방금 여러분에게 했던 질문, 즉 비교적 적은 숫자로 골에 침입하여 그때까지 강했던 제국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7 file
    Read More
  16. 19
    Aug 2018
    02:41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주권의 문제 · 홉스의 리바이어던

    (...) 오늘은 16세기말과 17세기초에 어떻게 전쟁이 권력관계의 분석틀로 나타나기 시작했는지를 살펴보겠다. 물론 여기서 우리가 곧장 만나는 하나의 이름이 있다. 홉스의 이름이 그것이다. 그는 일견 전쟁관계를 권력관계의 원칙과 기초로 삼은 사람인 것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40 file
    Read More
  17. 18
    Aug 2018
    06:49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계보학 · 인종주의적 담론의 역사

    (...) 내 생각에는 중세의 전통적인 세 축 안에서 역사적 담론의 이 두 기능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계보학적 축은 왕권의 유구함을 말해주고, 위대한 선조들을 일깨워주며, 제국이나 왕국의 개국 영웅들의 위엄을 다시 발견하게 한다. 이런 식의 계보학...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337 file
    Read More
  18. 05
    Aug 2018
    12:45

    [철학] 『담론의 질서』 : 나눔의 문제, 분절(articulation)

    (...) 나눔의 문제는 학문의 세계에서나 일상적인 삶의 세계에서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의 철학적 사유가 처음으로 개화할 때 우리는 존재의 문제에 부딪힌다. '왜 존재할까?'라는 물음은 해결할 수 없는 궁극적인 물음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502 file
    Read More
  19. 02
    Aug 2018
    17:49

    [철학] 『담론의 질서』 : 배제(exclusion)의 과정(금기, 분할과 배척, 진위의 대립)

    (...) 어떤 사회든 담론의 생산을 통제하고, 선별하고, 조직화하고 나아가 재분배하는 일련의 과정들―그의 힘들과 위험들을 추방하고, 그의 우연한 사건을 지배하고, 그의 무거운, 위험한 물질성을 피해 가는 역할을 하는 과정들―이 존재한다. 유럽과 같은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47 file
    Read More
  20. 22
    Nov 2017
    18:16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사목권력의 특징, 복종 · 예속 · 배려 · 봉사

    (...) 고대세계가 끝나갈 무렵 근대 세계가 탄생할 무렵까지 그리스도교 사회보다 더 사목적인 문명이나 사회는 결코 존재했던 적이 없습니다. 이런 사목, 이런 사목권력은 인간을 법이나 주권자에게 예속시키기 위해 사용된 절차와 동일시되거나 혼동되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33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