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국가의 최고 권력

by 이우 posted Aug 23, 2016 Views 3194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정치학.jpg
  ... 또 다른 문제점은 "누가 국가의 최고 권력을 가져야 하는가?"이다. 대중(plethos)인가, 부자들(hoi plousioi)인가, 유능한 자들(hoi epieikeis)인가, 훌륭한 사람들인가, 아니면 참주인가? 그러나 어느 쪽을 택하든 문제점이 있기는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빈민(hoi penetes)의 수가 많다고 해서 부자들의 재산을 저들끼리 나눈다면 불의(不義, adikon)가 아니겠는가? "천만에! 그것은 최고 권력기구의 정당한 결정에 따른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 말고 무엇을 불의의 극치라고 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모든 것을 다 빼앗은 다음 다수자가 다시 소수자의 재산을 나눠 갖는다면 다수자는 틀림없이 국가를 망치고 말 것이다. (...) 따라서 이런 종류의 재산몰수법은 분명 정당하지 못하다. 그밖에 그것이 정당하다면 참주의 모든 행위도 필연적으로 정당할 것이다. 마치 대중이 부자들에게 그러하듯, 참주도 강자로서 폭력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소수자와 부자들이 통치하는 것은 정당할까? 그들도 똑같이 대중의 재산을 약탈하고 압류한다면, 그들의 행동이 과연 정당할까?(...)

  그렇다면 유능한 자들이 통치도하고 모든 일에 최고권력을 가져야 하는가? 이 경우 필연적으로 다른 사람들은 모두 공직에서 배제되어 시민으로서의 명예를 박탈당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공직(arche)을 명예(time)라고 부르는데, 만약 같은 사람들이 계속해서 통치한다면 다른 사람들은 모두 시민으로서의 명예를 박탈당하게 될 것이다. 아니면 가장 훌륭한 한 사람이 통치하는 것이 나을까? 그러나 그것은 과두정체의 요소가 더 강하다. 시민으로서의 명예를 박탈당한 자(atimos)의 수가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

  - <정치학>(아리스토텔레스·도서출판 숲·2009년) <제10장 국가의 최고 권력> p.160~161


  ... 소수자인 가장 훌륭한 자들보다 대중이 최고 권력을 가져야 한다는 견해는 받아들일 만하고, 다소 문제점이 있기는 해도 나름대로 일리는 있는 것 같다. 다수자(polloi)는 비록 그 중 한 명 한 명은 훌륭한 사람이 아니더라도 함께 모였을 때는 개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전체로서 소수자인 가장 훌륭한 사람들보다 더 훌륭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많은 빈민이 공직에서 배제되는 국가는 필연적으로 적으로 가득찰 것이기 때문이다. 유일한 해결책은 이들이 심의(bouleuethai)와 재판(krinein)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솔론과 몇몇 다른 입법자들은 이들에게 공직자를 선출하는 권한과 임기가 끝난 공직자들에게 감사를 청구할 권한은 주지만 이들이 개인 자격으로 공직에 취임하는 것은 금하는 것이다. 이들이 한데 모이면 충분한 지각을 갖게 되고 더 나은 자들과 섞이면 국가에 유익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이런 식의 정체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시술이 제대로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잇는 사람은 실제로 시술을 통해 환자의 병을 치료해 줄 수 있는 사람, 즉 개업의 같은 사람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은 다른 활동과 전문 지식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의사가 의사들의 감사를 받아야 하듯, 다른 전문가도 동업자들의 감사를 받아야 한다. (...) 이런 원칙은 공직자 선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올바로 선출하는 것은 전문가들이 할 일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기하학자를 선출하는 것은 기하학자들이 할 일이고, 키잡이를 선출하는 것은 키잡이들이 할 일이다. 몇몇 직업과 기술직에서 문외한들이 선출에 참여한다 해도 전문가들보다 더 많이 참여하지는 않는다. 이런 논리대로라면 대중에게 그들의 공직자를 선출하고 감사할 권한을 부여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이의가 전적으로 옳은 것은 아니다. 첫째, 우리의 조금 전 주장에 따르면, 대중이 지나치게 저질스럽지 않은 한 그들 개개인은 전문가들보다 못한 판단을 내릴 지 몰라도 집단으로서는 더 나은 것에 못지 않은 판단을 내릴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몇몇 분야에서는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제품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작자가 유일하게 또는 가장 훌륭하게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건물의 경우가 그렇다. 건축자도 분명 건물에 관해 의견을 갖고 있겠지만, 건물의 사용자 또는 가사 관리인이 건축자보다 더 훌륭한 판단을 내릴 것이다. 마찬가지로 노예에 관해서는 배 목수보다 키잡이가, 요리에 관해서는 요리사보다 손님이 더 훌륭하게 판단할 것이다.

  이상으로서 이 문제는 충분히 해결된 것 같다. 그러나 이와 연관된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열등한 자들이 더 중요한 업무에 대해 능력 있는 자들보다 더 큰 권한을 갖는다는 것은 불합리해 보이기에 하는 말이다. 공직자들의 선출과 임기 후 감사는 가장 중요한 업무에 속하는데 , 이런 업무는 앞서 말했듯이 몇몇 국가에서 민중에게 위임되어 있어, 그런 곳에서는 민회가 이 모든 업무에 관해 최고 권력을 갖는다. 그리고 재산등급이 낮은 사람들도 나이에 관계없이 민회의 회원이 되고 심의에 참가하고 배심원이 되는 데 반해, 재무관(tamiasm)이나 장군(strategos) 같은 최고위 공직가들에게는 높은 재산등급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 문제도 첫번재 문제와 같은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런 관행들도 나름대로 정당하기 때문이다. 권력을 갖는 것은 배심법정(dikasterion)이나 평의회(boule)나 민회(ekklesia)의 개별구성원이 아니라 법정과 평의회외 민회 전체이며, 앞서 말한 개별구성원, 즉 평의회 회원과 배심원은 이것들의 부분 또는 구성원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대중이 더 중요한 업무들에서 최고 권력을 갖는 것은 정당하다. (...)

  분명히 밝혀진 것은, 올바르게 제정된 법(法, nomos)이 최고 권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과, 통치자는 한 명이든 여러 명이든 모든 경우에 보편타당한 규정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법이 정확한 지침을 제공할 수 없는 업무들만 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

   - <정치학>(아리스토텔레스·도서출판 숲·2009년) <제3권 시민과 정체에 관한 이론 · 제11장 집단의 판단은 현명하다> p.162~166










  1. 08
    Dec 2020
    18:58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생물정치학·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군주가 생사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결국 그가 사람들을 죽게 할 수도 살게 내버려둘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중략) 결국 그들이 살 권리와 죽을 권리를 갖는 것은 전적으로 군주에게 달려 있다. (중략) 그러니까 삶과 죽음의 권리란 결국 죽...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3068 file
    Read More
  2.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40 file
    Read More
  3.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94 file
    Read More
  4.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26 file
    Read More
  5. 31
    Jul 2019
    06:15

    [사회] 『사랑, 예술, 정치의 실험 : 파리 좌안 1940-50』 : 보부아르가 본 미국 사회

    (...) 리처드 라이트는 미국 순회강연의 첫 행선지인 뉴욕에 오는 시몬 드 보부아르를 환영하고 그녀와 정치를 논할 일을 고대했다. 그녀는 미국 여행을 위해 열을 내며 짐을 쌌다. 생애 처음으로 그녀는 경솔하게 행동했고 그 때문에 자신이 미웠다. 미국 여...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5117 file
    Read More
  6. 18
    Jul 2019
    21:17

    [철학] 니체의 「아침놀」 : 사회·국가·경제·정치·노동·법·예술, 그리고 고독

    171. 근대인의 음식물―근대인은 많은 것을, 아니 거의 모든 것을 소화할 줄 안다. 이것이 야심의 근대적인 형태다. 그러나 그가 거의 모든 것을 소화할 줄 모른다면 그는 좀더 고차적일 것이다. 모든 것을 먹는 인간(Homo pamphagus)은 가장 세련된 종이 아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58 file
    Read More
  7. 08
    Dec 2018
    18:40

    [사회] 위험사회 : 위험 사회의 도래 · 대항담론과 대항지식

    (...) 마른 하늘에 날벼락이 당연한 시대, 아닌 밤중에 홍두깨가 조금도 이상하지 않은 사회. 세계보건기구가 홍역의 완전박멸을 선언하는 그 순간, 에즈볼라나 광우병이니 O-157이니 하는 신종 병역들이 화려하게 등단하여 그 같은 선언을 전혀 무색하게 만...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536 file
    Read More
  8. 29
    Sep 2018
    21:41

    [철학] 스피노자의 『신학정치론』 서문 : 종교는 정치에 종속되어야 한다

    모든 일을 확실한 계획에 따라 행할 수 있거나 매순간 행운이 그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면 사람들은 미신의 유혹에 빠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종종 어떠한 해결책도 없는 낭패를 당하기 때문에, 그리고 그들은 대부분 믿을 것이 못 되는 재물에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495 file
    Read More
  9. 21
    Aug 2018
    18:0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의 전개(규율권력 · 생물권력 · 인종주의)

    (...) 생물정치는 규율적 메커니즘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들을 작동시키기 시작했다. 생물정치에 의해 작동된 메커니즘은 우선 예측과 통계, 그리고 전체적인 측정 다음에 그런 특정 현상이나 개별적인 개인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반적이고 글로벌한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832 file
    Read More
  10. 03
    May 2018
    08:37

    [철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 분배적 정의(正義, justice)와 조정적 정의, 정치적 정의

    제3장 기하학적 비례에 따른 분배적 정의 (...) 분배에서의 정의는 어떤 가치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데는 누구나 동의한다. 그러나 누구나 같은 종류의 가치를 염두에 두지는 않는다. 민주정체 지지자들은 자유민으로 태어난 것이, 과두정체 지지자들은 부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07 file
    Read More
  11. 01
    Mar 2018
    08:21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도덕(Morals)과 윤리(Ethics) · 정념(passion)

    (...) <너는 저 열매를 막지 말라.> 불안에 사로잡힌 무지한 아담은 이 말을 금지의 표현으로 듣는다. 그러나 정작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담이 먹을 경우에 그 아담을 중독시키게 될 과일이다. 그것은 두 신체의 만남,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7435 file
    Read More
  12. 22
    Nov 2017
    04:52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 사목권력의 출현

    (...) 목자의 은유는 희귀합니다. 하지만 명맥한 예외, 플라톤이라는 중대하고 주된 예외가 있습니다. 훌륭한 행정관, 이상적인 행정관이 목자로 간주되고 있는 텍스트가 플라톤에게는 많이 있습니다. 훌륭한 목자라는 것은 훌륭할 뿐만 아니라 단적으로 참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8048 file
    Read More
  13. 27
    Feb 2017
    16:59

    [사회] 위험사회 : 부의 분배와 위험의 분배

    (...) 부처럼 위험은 분배 대상이며, 양자는 지위 즉 각각 위험지위와 계급지위를 구성한다. 하지만 양자는 각각 아주 다른 재화와 연관되어 있으며, 그 분배에 관한 논쟁도 아주 다르다. 사회적 부의 경우에는 소비재, 수입재, 수입, 교육 기회, 재산 등이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309 file
    Read More
  14. 24
    Aug 2016
    15:13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독재정체, 참주정체의 보존 방법

    ... 참주정체는 정반대되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해 보존된다. 그중 한 가지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대부분의 참주들이 이 방법에 따라 국가를 통치한다. 이런 조처들은 대부분 코린토스의 페리안드로가 도입한 것이라고 한다. 페르시아인들의 통치 방식도 그와 닮...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665 file
    Read More
  15. 24
    Aug 2016
    03:30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왕정·과두정·참주정·민주정

    ... 먼저 물어야할 것은, 가장 훌륭한 한 사람의 지배를 받는 것이 더 유리하냐 아니면 법의 지배를 받는 것이 더 유리하냐는 것이다. 왕정이 유리하다고 믿는 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법은 대략적인 원칙만 말해줄 뿐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규정을 제공할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950 file
    Read More
  16. 24
    Aug 2016
    02:09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처자(妻子)공유제에 대한 비판

    ... 국가 구성원은 필연적으로 모든 것을 공유하거나 아무 것도 공유하지 않거나, 아니면 어떤 것은 공유하고 어떤 것은 공유하지 않게 마련이다. 그들이 아무 것도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가는 공동체인 만큼 그들은 최소한 영토는 공유해야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506 file
    Read More
  17. 24
    Aug 2016
    01:33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재산공유제에 대한 비판

    ... 다음에는 재산(ktesis)에 관해 고찰해 보기로 하자. 이상 국가의 시민들에게는 재산공유제가 적절한가, 아니면 사유제가 적절한가? 이 문제는 처자공유제에 대한 여러 제안과 별도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설사 현재의 보편적인 관행에 따라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108 file
    Read More
  18. 23
    Aug 2016
    17:48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정의와 평등

    ... 모든 학문과 기술의 궁극적인 목적은 선(善, agathon)이다. 이 점은 모든 학문과 기술의 으뜸인 정치(政治, politike)에 특히 가장 많이 적용되는데, 정치의 선은 정의이며, 그것은 즉 공동의 이익이다. 다들 정의는 일종의 평등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6818 file
    Read More
  19. 23
    Aug 2016
    16:39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국가의 최고 권력

    ... 또 다른 문제점은 "누가 국가의 최고 권력을 가져야 하는가?"이다. 대중(plethos)인가, 부자들(hoi plousioi)인가, 유능한 자들(hoi epieikeis)인가, 훌륭한 사람들인가, 아니면 참주인가? 그러나 어느 쪽을 택하든 문제점이 있기는 마찬가지다. 예를 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941 file
    Read More
  20. 22
    Aug 2016
    15:05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과두정과 민주정 · 국가의 목적

    ... 정체(政體)를 구별할 때는 국가의 최고 권력의 종류와 국가가 추구하는 목적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 정체란, 여러 공직, 특히 모든 일에 최고결정권을 가진 기구에 관한 국가의 편제(編制, taxis)다. 어느 국가에서나 정부(politeuma)가 최고 권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7423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