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이전 철학에 대한 니체의 비판

by 이우 posted Dec 15, 2020 Views 279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권력에의의지.jpg



  406.
  우리는, 철학자에 관해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었던 몇몇 미신에서 탈피하자!

  407.
  철학자들은 가상, 변전, 고통, 죽음, 신체적인 것, 감관, 운명이나 부자유, 목적 없는 것에 반항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그들이 믿고 있는 것은 1.절대적 인식, 2.인식을 위한 인식, 3.덕과 행복과의 결부, 4.인간의 행위의 인식 가능성. 그들은 이전의 문화상태가 그 위에 반영하고 있는 본능적 가지 규정에 의해 인도되고 있다.

  408.
  무엇이 철학자들에게 빠져 있는가? 1.역사적 망각, 2.생리학의 지식, 3.미래에로 향해진 목표, 모든 아이러니나 도덕적 단죄 없이 비판하는 일.

  (중략)

  411.
  최고의 가치부정으로서의 도덕. 어떤 입장에서는, 우리의 세게는 신(神)의 작품이며 표현(양태)이다. 이 경우에 세계는 최고로 완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이프니치의 결론). 그리고 사람은 완전성에는 무엇이 속하는지를 알고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중략) 다른 입장에서는, 우리의 세계는 불완전하여 화와 죄책은 실재적이고 결정되어 있으며, 세계의 본질에 절대적으로 내속해 있다. 이 경우에 그것이 참세계일 수는 없다. 이 경우 세계는 방황으로서 인식될 수 있는 하나의 방황인 것이다. 이것이, 칸트의 한계에 기초한 쇼펜하우어의 견해이다. 좀더 절망적인 것은 파스칼. 그는, 이 경우에는 인식도 또한 부패한, 허망한 것임에 틀림없다고, 세계를 단지 부정할 만한 것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계시가 필요하다고 이해했기 때문이다.

  412. 
  (전략) 역사학이 이름을 바꿔 철학이 된 헤겔의 발전철학을 또한 굴종시켜, 역사는 도덕적 이념의 진보를 계속하는 자기계시, 자기극복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플라톤 이래 철학은 도덕의 지배 아래 있다. 플라톤의 선행자들에게 있어서도, 도덕적 해석은 결정적으로 잠입하고 있다. 아낙시만드로스에 있어서는 만물이 파멸하는 것은 그것이 순주 존재로부터 이탈한 벌이며, 헤라클레이토스에게 있어서 현상의 규칙적임은 총체적 생성의 성격이 윤리적으로 올바르다는 증거인 것이다.

  414.
  어떠한 시대에서나 <아름다운 감정>은 논거이며, <높여진 가슴>은 신성(神性)의 풀무이며, 확신은 <진리의 기준>이며, 반대자를 제거하고픈 욕구는 지혜에의 의문부(疑問府)로 여겨졌다. 이로한 허위, 화폐 위조가 전체 찰학사를 관통하고 있는 것이다. 존경스러운, 하지만 극히 하찮은 회의론자를 제외하고, 지적 정직성의 본응은 어디에서도 눈에 띄지 않는다. 결국 칸트도 전적으로 순진하게 사상가의 이 같은 부패를 <실천 이성>이라는 개념으로써 학문화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는, 이성 따위에 유의할 필요가 없을 경우, 즉 마음의 욕구가, 도덕이, <의무>가 발언할 경우, 특별히 그것을 위해 하나의 이성을 날조했던 것이다.

  415.
  헤겔, 그의 통속적인 측면은 전쟁과 위인에 관한 가르침이다. 정의는 승리자에게 있다. 승리자는 인류의 진보를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간주된다. 도덕의 지배를 역사로부터 증명하려는 시도. 칸트, 우리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불가시적이기는 하나 현실적인 도덕적 가치의 왕국. 헤겔, 발전은 입증될 수 있고 도덕의 왕국은 가시적이 된다. 우리는, 칸트적 수법에도, 헤겔적 수법에도 속지는 않는다. (중략)

  416.
  독일 철학(헤겔)의 의의는, 악, 오류, 고뇌가 신성(神性)을 반박할 논거라고는 느껴지지 않을 그러한 범신론을 생각해낸 점이다. 이 웅대한 발의는 마치 그때의 지배자의 합리성이 그것으로 인가되기나 하는 것처럼 현존의 권력(국가 기타)에 의해 악용되었다. 쇼펜하우어는 이에 반해 완고한 도덕적 인간으로 나타난다. 그는 마침내는, 스스로의 도덕적 평가를 철저하게 옳다고 보기 위해, 세계를 부정하는 자가 된다. 이어서 신비주의자가 된다. (중략)

  417.
  나의 첫번째 해결. 즉, 디오니소스의 지혜, 가장 고귀한 자의 경멸에서 느끼는 쾌감. 이것은 현존하는 매우 뛰어난 것에 대해서도 개가를 부르는, 다가오는 것, 미래의 것에서 느끼는 쾌감에 다름 아니다. 디오니소스적이란, 삶의 원리와의 잠깐의 동일화를 말한다(순교자의 환희도 이것에 포함된다). 나의 혁신. 페시미즘을 더욱 발전시켜 지성의 페시미즘이 되게 만든다. 도덕적 비판을 시도하고 최후의 위안을 해소한다. 퇴락의 여러 징후의 인식, 그것들은 모두 강한 행위의 망상에 의해 감추어져 있다. 문화가 고립되는 것은 올바른 일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그것은 강하다.
  (1) 나는 퇴락과 인격성의 약화의 증대를 막으려고 노력한다. 나는 한 가지 새로운 중심을 찾아 구하였다.
  (2) 이 노력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3) 계속해서 나는 해체의 길을 걷고 있는데, 이 길에서 나는 개개인에 대한 새로운 힘의 원천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파괴자이지 않으면 안 된다! 나는 인식했다. 개개의 존재가 아직껏 일찌기 없을 정도로 완성될 수 있는 해체의 상태는 일반적 생존의 베끼기이며 특수한 경우라는 것을. 일반적인 해체나 미완성이라고 마비시키는 감각에 대응하여, 나는 영원회귀를 붙들었다.

  418.
  사람이 세계의 상(像)을 찾는 것은, 우리의 기분을 가장 느긋하게 해주는, 바꿔 말하면 우리의 가장 강력한 충동이 자유로이 스스로의 활동을 영위할 수 있다고 느끼게 해주는, 그러한 철학 속에서이다. 나의 철학도 역시 그와 같은 기분을 갖게해 줄 것이다. (중략)

  423.
  이론과 실천. (중략) 내가 표현하려고 애쓰는 것은, 어떠한 본능이 이들 모두의 순수 이론가들의 배후에서 활동하고 있었는가, 어떻게 그들은 모조리 숙명적으로 그 본능의 주문에 묶여, 그들에게 진리인 어떤 것을 그들에게, 나아가 그들에게만 그러한 것을 겨냥했었느냐 하는 점이다. 체계 사이의 투쟁은, 인식론적 의혹 사이에서의 그것도 포함하여, 전혀 특정한 본능(생명력, 쇠퇴, 계급, 종족 따위의 형식) 사이에서의 투쟁이다. 이른바 인식 충동은 전유(專有)·정복에의 충동에로 환원되어야 한다. 이 충동에 따라 감관, 기억, 본능 등이 발달했던 것이다. 현상의 가능한 한 빠른 환원, 인식으로 획득된 재화(바꾸어 말하면, 전유되어 다루기 쉬워진 세계)의 경제적 관리, 축적..... (중략)
  <어떻게 행위되어야 하는가?> ―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지상(至上)의 발달을 이룩한 어떤 유형인데, 이 유형에 의해 헤아릴 수 없이 옛날부터 행위되어 왔고, 따라서 모든 것이 본능, 합목적성, 자동 현상, 숙명이 되어 있다는 것에 생각이 미친다면, 이러한 도덕 문제의 뻔뻔스러움은 순전히 해학으로조차 보일 것이다. <어떻게 행위되어야 하는가?>란 원인이 아니라 결과이다. 도덕은 뒤에서 따라가며, 이상은 최후에 나타난다. (...)

- 니체  『권력에의 의지』(청하. 1992년) <제3장 철학의 비판>, p. 255~264






  1. 15
    Dec 2020
    01:43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이전 철학에 대한 니체의 비판

    406. 우리는, 철학자에 관해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었던 몇몇 미신에서 탈피하자! 407. 철학자들은 가상, 변전, 고통, 죽음, 신체적인 것, 감관, 운명이나 부자유, 목적 없는 것에 반항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그들이 믿고 있는 것은 1.절대적 인식...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7951 file
    Read More
  2. 07
    May 2020
    03:45

    [철학] 『에티카』 : 정신의 본성과 기원 · 제1종의 인식(표상), 제2종의 인식(이성), 제3종의 인식(직관지)

      (...) 매우 빈번하게 인간의 자태를 경탄하면서 관찰한 사람은 인간이라는 명칭 아래에서 직립한 자세의 동물로 이해한다. 이에 반하여 인간을 다르게 관찰하는는 데 습관이 된 사람은 인간에 관하여 다른 공통된 표상을 형성할 것이다. 즉 인간을 웃을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468 file
    Read More
  3.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52 file
    Read More
  4. 25
    Jun 2019
    02:51

    [철학] 니체의 「아침놀」 : 서문 · 당신은 왜 고독한가?

    1. 이 책에서 사람들은 '지하에서 작업하고 있는 한 사람'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뚫고 들어가며, 파내며, 밑을 파고들어 뒤집어엎는 사람이다. 그렇게 깊은 곳에서 향해지는 일을 보는 안목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그가 얼마나 서서히, 신중하게, 부드럽지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4479 file
    Read More
  5. 05
    May 2019
    01:0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의 외적 합목적성과 내적 합목적성

    (...) 한 사물이 오직 목적으로서 가능하다는 것을 통찰하기 위해서는, 다시 말해, 그 사물의 기원의 원인성을 자연의 기계성이 아니라 그 작용능력이 개념들에 의해 규정되는 어떤 원인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통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실이 요구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997 file
    Read More
  6.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62 file
    Read More
  7. 12
    Apr 2019
    04:39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상상력 · 지성 · 자연

    (...)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이 근거하는 주관적인 세 인식 원천이 있는데, 그것은 감각기능(감각기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이것들 중 어느 것이라도 경험적으로, 말하자면 주어진 현상들에 대한 적용에서 고...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896 file
    Read More
  8. 11
    Apr 2019
    15:06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선험적 인식 · 자연의 합목적성

    (...) 모든 지각들이 일관되고 합법칙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표상되는 오직 하나의 경험만이 있다. 그것은 거기에 현상들의 모든 형식과 존재 · 비존재의 모든 관계가 생기는 오직 하나의 공간 · 시간만이 있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이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66 file
    Read More
  9. 11
    Apr 2019
    01:48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칸트의 기획

    (...) 모든 경험들은 그것을 통해 무엇인가가 주어지는 감관의 직관 외에 또한 직관에 주어지는, 다시 말해 현상하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대상들 일반에 대한 개념들은 선험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경험인식의 기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41 file
    Read More
  10. 07
    Apr 2019
    01:34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논리학 · 진리의 문제

    (...) 일반 논리학은 인식의 모든 내용, 다시 말해서 인식의 대상과의 모든 관계 맺음을 도외시하고, 인식들 상호간의 관계에서의 논리적 형식, 다시 말해 사고 일반의 형식만을 고찰한다. 그런데 초월적 감성학이 밝혀주듯이 순수한 직관 뿐만 아니라 경험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165 file
    Read More
  11. 04
    Apr 2019
    07:2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감성학

    (...)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수단에 의해 언제나 인식이 대상들과 관계를 맺든지 간에, 그로써 인식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그리고 모든 사고가 수단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그런데 직관은 오로지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17 file
    Read More
  12. 30
    Mar 2019
    23:4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인식 · 순수 지성

    (...) 모든 인식은 재료(내용, Materie)와 이 재료를 정리 정돈하는 형식(틀, Form)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거니와, 인식이 사고의 산물인 한에서 인식의 형식은 사고의 형식이며, 이 사고의 형식은 이미 지성에 "예비되어 놓여 있다"(A66=B91). 그러므로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81 file
    Read More
  13.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41 file
    Read More
  14.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78 file
    Read More
  15.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4 file
    Read More
  16. 14
    Feb 2019
    05:07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목적론 · 목적론적 판단력

    (...) 과연 자연 안에 객관적 합목적성이 나타나는가? (중략) 자연은 목적의 표상에 따라 행위하는 지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자연 안에서 발생되는 합목적성은 특수한 것임에 틀림없다. 구성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의 모든 대상들은 어쨌든 작용 연결(nexus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07 file
    Read More
  17. 13
    Feb 2019
    05:50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의 감정(우아미)과 숭고의 감정(숭고미)

    (...) 미의 감정과는 달리 숭고의 감정은 질의 면에서 상상력과 이성의 부조화에 의거한다.($27) "미적인 것의 판정에 있어서 상상력과 지성이 그들의 일치에 의해 그렇게 하듯이, 이 경우에는 상상력과 이성이 그들의 상충에 의해 마음의 능력들의 주관적 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221 file
    Read More
  18.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150 file
    Read More
  19. 03
    Feb 2019
    03:2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선험성과 보편성, 수동과 능동, 그리고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 선험성의 기준은 필연성과 보편성이다. 우리는 선험성을 경험으로부터의 독립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그 까닭은 경험은 분명 우리에게 어떤 필연적인 것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든', '언제나', '필연적으로' 혹은 '내일'이라는 말조차 경험 중...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870 file
    Read More
  20. 25
    Dec 2018
    07:50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성에 관한 회의론에 대하여

    (...) 모든 논증적 학문들에서 규칙들은 분명하며 오류가 없다. 그러나 우리가 그 규칙들을 사용할 때, 오류를 범하기 쉽고 불분명한 우리의 기능들은 쉽게 규칙을 벗어나 오류에 빠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추론에서 최초 판단이나 신념에 대해 대조하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93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