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정의와 평등

by 이우 posted Aug 23, 2016 Views 11669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정치학.jpg

  ... 모든 학문과 기술의 궁극적인 목적은 선(善, agathon)이다. 이 점은 모든 학문과 기술의 으뜸인 정치(政治, politike)에 특히 가장 많이 적용되는데, 정치의 선은 정의이며, 그것은 즉 공동의 이익이다. 다들 정의는 일종의 평등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들은 <윤리학>에서 내가 설명한 정의의 철학에 어느 정도 동의한다. 말하자면, 그들은 정의는 특정한 사물들을 특정한 사람들에게 배분하는 것을 조정하며, 평등한 사람들에게는 평등해야 한다고 말한다.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무엇에서 평등 또는 불평등인가 하는 점이다. 이 역시 하나의 난제로, 정치에 대한 철학적 사변이 필요하다.


  아마도 다른 점에서는 전혀 차이가 없고 남들과 같다 해도 어떤 점에서는 시민들 사이에 차이가 난다면 불평등하게 배분되어야 한다고 말할 사람도 있을 것이다.* 사람이 차이가 나면 정의와 평가도 차이가 나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그런 논리가 맞는다면, 어떤 사람이 피부색이 좋거나 키가 크다거나 그 밖에 다른 장점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정치적 권리를 더 많이 갖게 될 것이다.하지만 이는 분명 잘못이 아닐까? 다른 학문이나 기술과 비교해보면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재능이 대등한 피리연주자가 여려 명 있을 때 집안이 더 좋은 자에게 더 좋은 피리를 주어서는 안 될 것이다. 집안이 좋다고 해서 피리를 더 잘 연주하는 것은 아니니까. 그러니까 일을 더 잘하는 자에게 더 좋은 도구가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누군가 피리 연주 기술에서는 남들보다 더 뛰어나지만 좋은 가문과 좋은 미모에서는 훨씬 열등하다고 가정해 보자. 그럴 경우 이런 탁월함들, 즉 좋은 가문과 미모가 피리 연주에서의 탁월함들을 지닌 자들을 능가하는 것 이상으로 그를 능가한다고 하더라도 역시 더 좋은 피리는 피리 연주에서의 탁월함들을 지닌 자들에게 주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부와 좋은 집안이라는 탁월함에 있어서의 우월성이 피리 연주에 기여해야 하는데, 피리 연주에서는 부와 좋은 집안의 탁월함들이 피리 연주에 기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정치에서도 이런저런 불평등을 내세워 공직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 분명 합리적이다. 누구는 빠르고 누구는 느리다고 해서 그것이 누구는 더 많이 갖고 누구는 더 적게 가질 이유는 못 된다. 더 빠른 사람이 상(賞)을 받을 곳은 육상경기다. 공직을 요구하는 자들은 국가 존립에 필요한 부문들에서 서로 경쟁해야 한다.


  따라서 명문 자제들이나 자유민이나 부자들이 공직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공직자들은 자유민이어야 하고 납세자들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국가는 전적으로 노예들만으로도 구성될 수도 없지만, 전적으로 빈민들만으로는 더더구나 구성될 수 없다. 그러나 부와 자유민 신분이 필요하다면 정의감과 전사로서의 탁월함도 필요하다. 국가는 부와 자유민의 신분 없이는 존립할 수 없고, 정의감과 전사로서의 탁월함 없이는 잘 다스려질 수 없기 때문이다. ...


 - <정치학>(아리스토텔레스·도서출판 숲·2009년) <제3권 시민과 정체에 관한 이론 · 제12장 정의와 평등> p.167~169





  ...................


   *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Politeia)』 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국가의 정의란 지배자 계급의 주덕(主德)인 '지혜', 수호자 계급의 주덕인 '용기', 생산자 계급의 주덕인 '절제'가 완전하게 조화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 주덕이 서로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각 계층에  속한 사람들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가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했다. 지배자 계층은 지배자의 덕인 '지혜', 수호자에게는 '용기'를 가질 수 있게 하고, 생산자 계급에게는 '절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국가의 정의였다.


   ... 그때 아데이만토스가 끼어들었네. "소크라테스 선생님, 선생님께서는 이들을 아주 행복한 사람들로 만들고 있지 않습니다. (…) 국가는 사실상 그들의 것인데도 그들은 전혀 국가의 덕을 보지 못하니 말예요. 다른 사람들은 토지를 소유하고, 크고 멋진 저택을 짓고, 그런 저택에 어울리는 가구를 수집하고, 신들에게 개인적으로 제물을 바치고, 방문객을 맞고, 선생님께서  방금 말씀하신 금과 은과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든다고 생각되는 모든 것을 대부분 소유하고 있어요. 그렇지만 수호자들은 마치 용병 수비대처럼 시내에 죽치고 앉아 있는 것 같고, 그들이 하는 일이라야 도시를 지키는 것이 전부예요" (...)


   그래서 내가 말했네. "(...)우리가 국가를 건설하는 목적은 한 집단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국가 전체를 최대한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할 걸세. 우리는 그런 국가에서 정의를 발견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네. (…) 우리도 농부들에게 자포를 입히고 황금 장신구를 들러주며 마음 내킬 때 농사를 지으라고 말할 줄 안다네. 우리도 도공이 불가의 긴 의자에 기대 앉아 잔을 돌리며 술잔치를 벌이라고 말할 수 있네. 그러나 자네 키시는 대로 하게 되면, 농부는 농부가 아니고 도공은 도공이 아닐 것이며, 국가 구성원들은 어느 누구도 제 구실을 다하지 못할 것이네. 우리가 국가를 건설하는 목적은 한 집단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국가 전체를 최대한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할 걸세. 우리는 그런 국가에서 정의를 발견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네. (…) 우리도 농부들에게 자포를 입히고 황금 장신구를 들러주며 마음 내킬 때 농사를 지으라고 말할 줄 안다네. 우리도 도공이 불가의 긴 의자에 기대 앉아 잔을 돌리며 술잔치를 벌이라고 말할 수 있네. 그러나 자네 키시는 대로 하게 되면, 농부는 농부가 아니고 도공은 도공이 아닐 것이며, 국가 구성원들은 어느 누구도 제 구실을 다하지 못할 것이네. ...


 - 『국가』(플라톤 · 도서출판 숲 · 2013년 ·원제 : Politeia) <제4권> p.208~210





  1. 03
    May 2018
    09:26

    [철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 왕도정체 · 귀족정체 · 금권정체 · 참주정체 · 혼합정체 · 민주정체

    제10장 정체의 종류 (...) 정체(政體)에는 세 종류가 있고, 그것들이 왜곡된 또는 타락한 형태도 셋이다. 세 종류의 정체란 왕도정체와 귀족정체(aristokratia, 최선자정체), 그리고 세번째로 재산평가에 근거한 정체이다. 세번째 정체는 금권정체*라고 부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9456 file
    Read More
  2. 03
    May 2018
    08:37

    [철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 분배적 정의(正義, justice)와 조정적 정의, 정치적 정의

    제3장 기하학적 비례에 따른 분배적 정의 (...) 분배에서의 정의는 어떤 가치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데는 누구나 동의한다. 그러나 누구나 같은 종류의 가치를 염두에 두지는 않는다. 민주정체 지지자들은 자유민으로 태어난 것이, 과두정체 지지자들은 부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191 file
    Read More
  3. 11
    Jan 2018
    09:22

    [철학] 플라톤주의를 뒤집다(환영들)

    (...) "플라톤주의*를 뒤집음"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니체는 자신의 철학 과업보다 일반적으로는 미래의 철학 과업을 플라톤주의를 뒤집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그에게 있어 이 과업을 이루기 위한 방식은 대개 본질의 세계와 외양의 세계 소멸을 의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724 file
    Read More
  4. 24
    Aug 2016
    15:13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독재정체, 참주정체의 보존 방법

    ... 참주정체는 정반대되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해 보존된다. 그중 한 가지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대부분의 참주들이 이 방법에 따라 국가를 통치한다. 이런 조처들은 대부분 코린토스의 페리안드로가 도입한 것이라고 한다. 페르시아인들의 통치 방식도 그와 닮...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638 file
    Read More
  5. 24
    Aug 2016
    03:30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왕정·과두정·참주정·민주정

    ... 먼저 물어야할 것은, 가장 훌륭한 한 사람의 지배를 받는 것이 더 유리하냐 아니면 법의 지배를 받는 것이 더 유리하냐는 것이다. 왕정이 유리하다고 믿는 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법은 대략적인 원칙만 말해줄 뿐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규정을 제공할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907 file
    Read More
  6. 24
    Aug 2016
    02:09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처자(妻子)공유제에 대한 비판

    ... 국가 구성원은 필연적으로 모든 것을 공유하거나 아무 것도 공유하지 않거나, 아니면 어떤 것은 공유하고 어떤 것은 공유하지 않게 마련이다. 그들이 아무 것도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가는 공동체인 만큼 그들은 최소한 영토는 공유해야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485 file
    Read More
  7. 24
    Aug 2016
    01:33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재산공유제에 대한 비판

    ... 다음에는 재산(ktesis)에 관해 고찰해 보기로 하자. 이상 국가의 시민들에게는 재산공유제가 적절한가, 아니면 사유제가 적절한가? 이 문제는 처자공유제에 대한 여러 제안과 별도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설사 현재의 보편적인 관행에 따라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069 file
    Read More
  8. 23
    Aug 2016
    17:48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정의와 평등

    ... 모든 학문과 기술의 궁극적인 목적은 선(善, agathon)이다. 이 점은 모든 학문과 기술의 으뜸인 정치(政治, politike)에 특히 가장 많이 적용되는데, 정치의 선은 정의이며, 그것은 즉 공동의 이익이다. 다들 정의는 일종의 평등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6692 file
    Read More
  9. 23
    Aug 2016
    16:39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국가의 최고 권력

    ... 또 다른 문제점은 "누가 국가의 최고 권력을 가져야 하는가?"이다. 대중(plethos)인가, 부자들(hoi plousioi)인가, 유능한 자들(hoi epieikeis)인가, 훌륭한 사람들인가, 아니면 참주인가? 그러나 어느 쪽을 택하든 문제점이 있기는 마찬가지다. 예를 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895 file
    Read More
  10. 22
    Aug 2016
    15:05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과두정과 민주정 · 국가의 목적

    ... 정체(政體)를 구별할 때는 국가의 최고 권력의 종류와 국가가 추구하는 목적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 정체란, 여러 공직, 특히 모든 일에 최고결정권을 가진 기구에 관한 국가의 편제(編制, taxis)다. 어느 국가에서나 정부(politeuma)가 최고 권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732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