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by 이우 posted Mar 12, 2019 Views 120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판단력비판.jpg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서 특수한 원리들에 따라 연구하고자함 없이, 단지 이론적으로 사용되는 이성만을 뜻하는 것으로 하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렇기에 저 순수 이성 비판은 한낱 사물들을 선험적으로 인식하는 우리 능력에만 관여하며, 그러므로 쾌 · 불쾌의 감정과 욕구 능력은 제외하고, 단지 인식 능력만을 다룬다. 그리고 인식 능력 중에서도(이론적 인식에 똑같이 속하는 능력들인) 판단력과 이성은 제외한 채, 지성만을 선험적 원리에서 다룬다

  그것은, 논의가 진행되어 가면서 드러나겠지만, 지성 이외에는 어떤 다른 인식능력도 선험적인 구성적 인식 원리들을 제공할 수 없는 까닭이다. 그로므로 인식능력들 모두를, 다른 두 인식 능력 각각이 자기 자신의 뿌리로부터 뚜렷이 소유한다고 주장하고 싶어하는 인식의 몫에 따라서, 훑어보는 비판은 지성이 선험적으로 현상들―이것들의 형식 또한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바―의 총괄인 자연을 위해 법칙으로 지시규정하는 것 이외에는 아무 것도 남겨두지 않는다. 그러나 비판은 여타 모든 순수 개념들을, 우리의 이론적 인식 능력에 대해서는 초월적이지만, 그러면서도 가령 무익하거나 없어도 되는 것이 아니라, 규제적 원리들로 쓰이는 이념들 안에 밀어넣는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마치 지성이(지성은 자기가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사물의 가능성) 또한 이 한계 안에 가두어 놓은 것 같은, 지성의 우려스런 월권을 억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성이 비록 결코 완벽성에 이를 수는 없다 해도, 자연을 고찰함에 있어 지성 자신을 완벽성의 원리에 따르도록 이끌고, 그를 통해 모든 인식의 궁극의도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선험적 구성적 인식원리들을 함유하고 있는 한에서, 자기 고유의 구역을, 그것도 인식 능력에서 갖는 것은 본래 지성이었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그렇게 명명된 순수 이성 비판에 의해 여타의 모든 경쟁자들에 대항해서 확실한, 그러나 유일한 소유지를 확보해야 할 것이었다. 그와 똑같이 오로지 욕구능력과 관련해서만 선험적인 구성적 원리들을 함유하는 이성은 실천 이성 비판에서 그 소유지를 지정받았다.

  그런데 우리 인식 능력의 순서에서 지성과 이성 사이의 중간항을 이루는 판단력도 독자적으로 선험적 원리를 가지는가, 이 원리들은 구성적인가 아니면 한낱 규제적인 것인가(즉 그러므로 어떤 고유한 구역도 증명하지 못하는가), 그리고 판단력이 인식능력과 욕구능력 사이의 중간항으로서의 쾌 · 불쾌의 감정에게(지성이성 능력에게, 이성욕구능력에게 선험적으로 법칙들을 지시규정하는 것과 똑같이) 선험적으로 규칙을 주는가, 이것이 지금의 판단력 비판이 다루는 문제이다. (중략)

  사람들이 판단력―이것의 올바른 사용은 필연적으로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건전한 지성이라는 이름이 뜻하는 것도 다름 아닌 이 능력이거니와―의 본성으로부터 쉽게 추정될 수 있는 바는, 판단력의 고유한 원리를 찾아내는 일은 큰 어려움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무릇 판단력은 어떠한 것이 됐든 하나의 원리를 선험적으로 자기 안에 함유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 않다면 판단력은 하나의 특수한 인식능력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비판조차도 받지 않을 것일 터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원리는 선험적 개념들로부터 도출된 것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선험적 개념들이란 지성에 귀속되는 것이고, 판단력은 단지 이것들의 적용에만 관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판단력은 자신이 하나의 개념을 제시해야만 할 것이되, 이 개념을 통해서는 본래 사물이 인식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를 위해서는 다시금, 어떤 것이 이 규칙에 해당하는 경우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기 위해, 또 다른 판단력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원리―이것이 주관적인 것이든 객관적인 것이든 간에―로 인한 이런 당혹스러움은 주로 사람드리 미감적이라 부르는 판정들, 즉 자연 또는 예술의 미적인 것과 숭고한 것에 관한 판정들에서 일어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판정들에서의 판단력의 원리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이 능력 비판의 가장 중요한 대목이다. 왜냐햐면 이 판정들은 비록 독자적으로는 사물들의 인식을 위해 전혀 아무 것도 기여하는 바가 없지만, 그 인식능력에만 귀속하고, 그러면서도 이 능력이 어떤 선험적 우너리에 따라 쾌 · 불쾌의 감정과 직접적으로 관계 맺음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원리는 욕구능력의 규정근거일 수 있는 것과는 혼동되지 않는데, 그것은 욕구능력은 자기의 선험적 원리들을 이성의 개념들 안에서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논리적 판정에 대해 말할 것 같으면, 감성적인 것에 대한 보편적 지성 개념더 이상 이해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사물들에 대해 경험이 합법칙성을 세우고, 판단력이 자연사물을 인식할 수 없는 초감성적인 것과 관계 짓는 원리를 자기 자신으로부터 취할 수 있으되, 그것을 오로지 자기 자신의 관점(의도)에서만 자연을 인식하는 데 사용해야 하는 곳에서는, 그러한 선험적 원리는 세계계존재자들을 인식하는 데 적용될 수 있고, 적용되어야만 하며, 또한 동시에 실천 이성을 위해서 전망을 열어 준다. 그러나 이 원리는 쾌 · 불쾌의 감정과 아무런 직접적 관계도 갖지 않는 것으로, 이 관계야말로 판단력의 원리 안에 있는 수수께끼다. 이 수수께끼가 비판에서 이 능력을 위한 하나의 특수한 부문을 곡 필요하게 만드는 것이다. 개념들―이것들로부터는 결코 쾌 · 불쾌의 감정에 대한 직접적인 귀결이 이끌어내질 수 없다―에 따른 논리적 판정은 어쨌든, 그러한 판정들의 비판적 제한과 함께, 철학의 이론적 부분의 부록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미감적 판단으로서 취미능력(미적인 것을 판정하는 능력)에 대한 연구는 여기서 취미의 형성이나 개발을 위해서가 아니라―왜냐하면 이런 것은 모든 이러한 탐구 없이도 지금까지 그랫듯이 앞으로도 진행될 것이기 때문이다―한낱 초월적 관점(의도)에서 행해질 것이므로, 스스로 자부하거니와, 이 연구가 저런 목적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관대하게 판정받을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의도와 관련해서는 이 연구는 가장 엄격한 심사를 받을 각오를 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그러니 이 경우에도, 판단력의 현상을 그 원리로부터 도출하는 방식이 모든 분명성을 갖지 못함을 전제하고서도, 만약 그 원리가 올바르게 제시되었다는 것이 충분히 명료하게 밝혀져 있기만 한다면, 자연이 그토록 착종시켜 놓은 문제를 해결한다는 아주 큰 어려움이 그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전적으로 피할 수 없는 어느 정도의 불명료함을 양해하도록 해줄 것이라 기대한다. (...)

- 『판단력비판』(특별판 한국어 칸트 선집 · 지은이 : 임마누엘 칸트 · 옮긴이 : 백종현 · 아카넷 · 2017년 · 원제 : Kritik der Urteilskraft, 1790년)  <1790년 제1판을 위한 머리말> p145~150












  1. 15
    Dec 2020
    01:43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이전 철학에 대한 니체의 비판

    406. 우리는, 철학자에 관해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었던 몇몇 미신에서 탈피하자! 407. 철학자들은 가상, 변전, 고통, 죽음, 신체적인 것, 감관, 운명이나 부자유, 목적 없는 것에 반항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그들이 믿고 있는 것은 1.절대적 인식...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7951 file
    Read More
  2.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94 file
    Read More
  3. 25
    Feb 2020
    02:1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맑스 철학의 시작

    (...) 독일의 이데올로그들은 그들의 말대로, 독일은 최근 수년 동안에 일찍이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변혁을 겪었다. 슈트라우스로부터 시작된 헤겔 체계의 분해 과정은 일대 세계적인 소요로까지 발전했고, 과거의 강자들이 모두 이 와중에 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413 file
    Read More
  4.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204 file
    Read More
  5. 09
    Aug 2019
    02:22

    [철학] 니체의 「아침놀」 : 철학자

    468. 아름다움의 나라는 더 크다―우리는 모든 것에 고유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기 위해, 즉 그 아름다움을 현장에서 붙잡기 위해 자연 속을 교활하면서도 유쾌하게 돌아다닌다. 또한 우리는 어떤 때는 햇볕 아래서, 어떤 때는 폭풍우가 올 것 같은 하늘 아래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5612 file
    Read More
  6.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64 file
    Read More
  7.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41 file
    Read More
  8.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78 file
    Read More
  9.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4 file
    Read More
  10. 17
    Feb 2019
    00:38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 책의 결론, '공감(sympathy)'

    (...)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인간의 마음을 들끓게 하는 주요 원인은 쾌락과 고통이다. 이런 감각적인 감정이 우리의 사유나 감정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대개 정서도 느낄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으며, 욕구나 의욕 역시 보나마나 불가능해질 것이다. 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99 file
    Read More
  11.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152 file
    Read More
  12. 26
    Apr 2018
    03:49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의미, 그것은 사용이다.

    오이디푸스와 믿음 (...) 중요한 것은, 오이디푸스는 잘못된 믿음이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이란 것이 필연적으로 잘못된 어떤 것이요, 실효적 생산을 빗나가게 하고 질식시킨다고 말하는 것이다. 바로 이런 까닭에 견자(見者)란 가장 덜 믿는 자이다. 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031 file
    Read More
  13. 16
    Sep 2017
    05:31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의미 있는 반대 논리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공격이다. 그것은 사회적 가치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과는 근본적으로 대립된다. 사회는 구성원 모두가 어떤 방식으로든 사회를 유지하는 데 기여해야 비로소 존속할 수 있다. (...) 자신의 생계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4993 file
    Read More
  14. 14
    Sep 2017
    10:32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자유롭게 노동할 수 있어야 한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사회주의와 자유주의를 이어준다. 조건이 없으므로 자유주의이고, 모두에게 주어지므로 사회주의이다. 신자유주의와는 다른 '사회주의적 자유주의'라고도 할 수 있고, 사회주의와는 다른 '자유주의적 사회주의'라고도 할 수 있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565 file
    Read More
  15. 14
    Sep 2017
    08:16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모두가 당신을 위해 일한다면...

    (...) 우리는 일을 한다. 지금껏 일을 하지 않은 적이 없다. 하지만 우리가 노동을 정의하거나 조직하는 방식은 지금까지 끊임없이 변화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변화할 것이다. (...) 과거의 자급자족 경제에서는 우리는 나 자신을 위해서 노동을 했다. 하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931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