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생산성의 증대 · 경제성장으로 풍요로와질 수 있을까?

by 이우 posted Apr 07, 2017 Views 182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소비의사회s.jpg

  (...) 살린스에 따르면 수렵채집자들(오스트레일리아, 칼라하리 사막 등에 살고 있는 미개 유목민 부족들)은 절대적인 빈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풍요를 알고 있었다고 한다. 미개인들은 어떠한 것도 소유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에 집착하지 않으며 그것들을 차차 버리면서 좋은 곳으로 이동해 간다. 생산 장치도 '노동'도 없다. 그들은 말하자면 여유가 있을 때 수렵하고 채집하며, 손에 넣은 것은 나누어 가진다. 그들의 낭비는 완전하다. 그들은 경제적 계산도 저장도 하지 않고 모든 것을 단번에 소비한다. 수렵채취 생활자는 부르주아가 발명한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와는 완전히 무관하며, 경제학 기초도 전혀 모른다. 그들은 항상 인간의 에너지, 자연자원, 그리고 효과적인 절약가능성을 파악하지 못한다. 잠을 많이 자며, 자연자원의 풍부함을 믿는다. 이것이 미개인의 경제체제 특징이다. 반면에 우리의 체계는 인간이 쓸 수 있는 수단의 불충분함을 직면한 데서 나오는 절망에 의해, 시장경제와 보편화된 경쟁의 심각한 결과인 근원적이고 파국적인 극도의 불안에 의해, 그것도 기술의 진보와 함께 정점 강하게 특징지어진다.


  미개사회의 특징인 집단전체로서의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과 '낭비성'은 진정한 풍요의 표시다. 우리는 풍요의 기호(signes)만 가지고 있다. 우리는 거대한 생산기구를 통해, 빈곤과 희소성의 기호를 쫓아낸다. 그러나 살린스도 말한 바와 같이 빈곤은 재화의 양이 적은 데 있지 않으며, 또 단순히 목적과 수단의 관계에도 있지 않다. 빈곤은 무엇보다 인간들 간의 관계이다. 미개인들의 신뢰를 뒷받침해주고 또 그들이 기아 상태에서도 풍부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것은 결국 사회 관계의 투명성과 상호부조다. 그것은 자연, 토지, 도구 또는 노동의 생산물 등에 대한 그 어떠한 독점도 교환을 저지한다든가 희소성을 만들어낸다든가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항상 권력의 원천이 되는 축적은 여기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증여와 상징적 교환의 경제에서는 적은 양의, 또 항상 유한한 재화만으로도 보편적인 부를 만들어내기에 충분하다. 왜냐하면 그 재화들은 어느 사람에서 다른 사람에게로 끊임없이 이동하기 때문이다. 부는 재화 속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 간의 구체적인 교환 속에서 생긴다. 따라서 부는 무한하게 존재하는 것이 된다. 제한된 수의 개인들 사이에서도 각 교환의 순환마다 교환된 사물에 가치가 부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의 구체적이고 관계적인 변증법이 문명화되고 산업화된 우리 사회를 측정짓는 경쟁 및 차이화 속에서 결핍과 무한한 욕구의 변증법으로 역전되어 있음을 우리는 볼 수 있다. 미개사회에서의 교환은 각각의 관계가 부를 증가시키는데 비해, 현대의 차별 사회에서는 각각의 사회관계가 개인의 결핍을 증대시킨다. 왜냐하면 소유되는 모든 것은 다른 것들과 비교해서 상대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의 풍요로운 사회에서는 풍요가 상실되었으며, 그 잃어버린 풍요는 한없는 생산성의 증대에 의해서도, 새로운 생산력의 해방에 의해서도 회복되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은 역설적인 것이 아니다. 풍요와 부의 구조적인 정의(定義)는 사회조직 속에 있기 때문에 사회조직 및 사회관계의 혁명만이 이 정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


  - <소비의 사회>(장 보드리야르 · 문예출판사 | 1992년 · 원제 : La societe de consommation, 1970년) p.91~94














  1. 17
    May 2020
    15:10

    [사회] 위험사회 : 부메랑 효과 · 공공수용

    (...) 상당한 정치적 폭발력을 가지고 있는 위험의 분배 유형이 지구화에서 포함되어 있으면서 아직은 그 모습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고 있다. 조만간 위험은 위험을 생산하거나 위험에서 득을 보는 사람들도 따라잡을 것이다. 위험은 사회적 부메랑 효과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326 file
    Read More
  2.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43 file
    Read More
  3.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30 file
    Read More
  4. 02
    Mar 2020
    02:06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소유에 대한 국가와 법의 관계

    (...) 고대 세계 및 중세에서 최초의 소유 형태는 부족 소유였는데, 로마인의 경우에는 주로 전쟁이, 게르만인의 경우에는 주로 목축이 그 조건이 되었다. 고대 민족들은 몇몇 부족들끼리 한 도시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부족 소유가 국가 소유로 나타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8 file
    Read More
  5. 13
    Mar 2019
    18:04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결론

    (...) 다수가 비천함과 가난 속에서 살 때 소수의 권력자와 부자가 권세와 부의 절정을 누리는 것은, 후자의 인간들이 자신이 누리는 것을 전자의 인간들이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만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민중이 비참하지 않게 되면 상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726 file
    Read More
  6. 10
    Oct 2018
    06:01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오, 인간이여, 그대가 어느 나라 사람이고 어떠 견해를 가지고 있든 내 말을 잘 들어보라. 내가 이제부터 서술하는 것은 거짓말쟁이인 그대의 동포들이 쓴 책 속에서가 아니라, 절대로 거짓말을 하지 않는 자연 속에서 내가 읽었다고 믿는 그대로의 역...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8469 file
    Read More
  7. 18
    Jul 2018
    08:32

    [사회]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 : 생명 · 공동체 · 노동력 교환 · 재산의 공유

    (...) "농부, 닭 잡아와." 어린 농부는 지체 없이 달려가서 애를 쓰다가 닭 한 마리를 잡아 왔다. 손쉽게 닭의 양 발을 붙잡은 농부는 곧 점심거리가 될 닭을 엄마에게 넘겨 주었다. 구미는 닭의 다리를 묶고 옆으로 눕혔다. 나는 의아했다. 구미가 닭을 그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824 file
    Read More
  8. 07
    Apr 2017
    05:05

    [사회] 생산성의 증대 · 경제성장으로 풍요로와질 수 있을까?

    (...) 살린스에 따르면 수렵채집자들(오스트레일리아, 칼라하리 사막 등에 살고 있는 미개 유목민 부족들)은 절대적인 빈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풍요를 알고 있었다고 한다. 미개인들은 어떠한 것도 소유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에 집착...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21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