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그 어떤 것도 무에서 생겨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는다

by 이우 posted Aug 19, 2017 Views 39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사물의 본성에 관하여_900.jpg


  아무 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 않음

  (...) 그러므로 정신의 이 두려움과 어둠을,
  태양의 빛살과 비치는 창들이 아니라,
  자연의 모습과 이치로 떨쳐버려야 한다.
  그것의 첫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에서 우리를 위한 시작점을 얻어야 한다
  즉 그 어떤 것도 신들의 뜻에 의해 무(無)로부터 생겨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로 두려움이 모든 인간을 사로 잡고 있다.
  그것들이 땅과 하늘에서 많은 것들을 보는,
  그것들의 작용 원인을 그 어떤 이치로써도 살필 수 없고
  그것이 신의 능력에 의해 일어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따라서 우리가, 그 어떤 것도 무(無)로부터 생성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나면,
  그때는 이 사실로부터 우리가 쫒는 것을 대 제대로 보게 될 것이다.
  어디서 각 종(種)의 사물들이 생성될 수 있는지도,
  어떤 방식으로 각각이 신들이 애쓰지 않고도 만들어지게 되는지도.

  왜냐하면, 만일 이것들이 무로부터 만들어졌다면,
  모든 것들로부터 모든 종(種)이 생겨날 수 있었을 것이고, 어떤 것도 씨가 필요치 않았을 터이니 말이다.
  먼저 바다로부터 인간들이, 땅으로부터 비늘 가진 종이 생겨날 수 있었을 것이고,
  새들은 하늘로부터 튀어나올 수 있었으리라.
  밭 가는 짐승들과 다른 가축들, 온갖 종류의 야수들이
  알 수 없는 근원으로부터 나와 경작지와 황무지를 채울 것이다.
  과일들은 나무들에 의해 반복해 생겨나지 않고 바뀌어갈 것이며
  온갖 나무가 온갖 열매를 맺을 수 있으리라.
  진정, 각각의 것에게 낳아주는 몸이 없는 곳에서
  어떻게 사물들에게 분명한 어머니가 확립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지금 그러하듯 각각의 것들이 정해진 씨들로부터 생성되므로,
  각자의 재료와 첫 몸이 들어 있는 거기로부터
  그것들은 생겨나고 빛의 해안으로 나오도다.
  이런 연유로 모든 것으로부터 모든 것이 생겨나기는 불가능하도다.
  개별적 사물들에게 달리 나뉜 능력이 들어 있으므로.

  왜 우리는 봄에 장미가, 여름 열기에 곡식이
  가을이 권고할 때 포도가 쏟아져 나오는 것을 보게 되는가.
  만일 사물들의 특정한 씨앗이 자기 때에 함께 흘러나와
  무엇이든 생겨나는 것들을 펼쳐 놓는 게 아니라면. (...)

  그러므로 우리는 아무 것도 무(無)로부터 만들어질 수 없음을 시인해야 한다.
  사물들에게는 각각의 것이 거기서 생겨나
  공기의 부드러운 산들바람 속으로 보내질 수 있는 바. (...)


  아무 것도 무(無)로 돌아가지 않음

  여기에 다음 것이 덧붙여진다.
  즉, 자연은 각각의 것들을 다시금 그 자신의 알갱이로 해체된다는 것,
  사물들은 결코 무(無)가 되도록 파괴되지 않는다는 것.

  왜냐하면 만일 어떤 사물이 그 최종적인 부분까지 필멸(必滅)하는 것이라면,
  각각의 사물은 갑자기 눈 앞에서 채여가서 소멸할 테니까.
  그것의 부분들에게서 해체를 준비하고, 결합을 풀어헤칠 수 있는 그 어떤 힘도 필요치 않을 테니까.
  하지만 현재 그러하듯, 각각의 것들은 영원한 씨앗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물들을 타격으로써 흩어 나누거나,
  빈곳들을 통해 안으로 똟고 들어가 해체하는 힘이 닥쳐오지 않는 한,
  자연은 그 어떤 것의 파괴도 허용하지 않는다. (...)

  어디로부터 종에 따라 양식을 공급하며 키우고 자라게 하겠는가?
  토박이인 샘들과 멀리 바깥에서 오는 강들은 어떻게 바다를 채울 것인가?
  창공은 어떻게 별들을 먹일 것인가?
  지나가버린 무한한 세월과 날들이 스러지는 몸으로 모든 것을 소모해버렸어야만 하니 말이다.
  그러나 만일 그 시간과 지나가버린 세월에
  그것들로부터 사물들의 이 총체가 재생되어 유지된 그런 것들이 있었다면
  그것들은 확실히 불멸의 본성을 부여받은 것들이다.
  따라서 각각의 것들이 무로 돌려질 수는 없다. 
  만약 영원한 질료가 튼튼하든 느슨하든 그들 사이의 결합을 얽어 잡아주고 있지 않다면,
  같은 종류의 힘과 원인이 모든 것을 다함께 파괴했을 것이다. (...)

  기원들의 서로간의 결합은 각기 다르게 되어 있으며 질료는 영원한 것이므로,
  각 사물의 조직에 충분히 날카로운 것으로 밝혀진 힘이 다가오기까지는
  사물들은 손상되지 않은 몸체들로 이뤄진 채 남아 있다.
  그러므로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고,
  모든 것이 분해에 의해 질료의 알갱이로 돌아간다. (...)

  -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루크레티우스 · 아카넷 · 2012년 · 원제 : De Rerum Natura) p.37~44
  












  1. 03
    Mar 2023
    15:51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가격 경제(혹은 시장경제)입니다. 이는 곧 재화의 생산과 분배가 여러 시장의 작동에서 나오는 여러 가격으로 통제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모든 유형의 재화에 대해 시장이 존재합니다. 모든 종류의 상품에 대해서는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0
    Read More
  2.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30 file
    Read More
  3.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00 file
    Read More
  4. 03
    Jul 2019
    02:14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노동존엄성과 노동, 폭력과 국가, 그리고 전쟁의 비밀스러운 상관관계

    (...) 신세대들인 우리는 그리스인들보다 두 가지 개념을 더 가지고 있는데, 이 개념들은 말하자면 완전히 노예처럼 행동하면서도 '노예'라는 낱말을 두려워하고 피하는 세계를 위로하는 수단으로 주어져 있다. 우리는 '인간의 존엄'과 '노동의 존엄'에 관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328 file
    Read More
  5. 08
    Dec 2018
    18:40

    [사회] 위험사회 : 위험 사회의 도래 · 대항담론과 대항지식

    (...) 마른 하늘에 날벼락이 당연한 시대, 아닌 밤중에 홍두깨가 조금도 이상하지 않은 사회. 세계보건기구가 홍역의 완전박멸을 선언하는 그 순간, 에즈볼라나 광우병이니 O-157이니 하는 신종 병역들이 화려하게 등단하여 그 같은 선언을 전혀 무색하게 만...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536 file
    Read More
  6. 04
    Dec 2018
    06:23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정신분석과 재현 · 욕망 기계 · 탈영토화

    (...) 분열-분석의 테제는 단순하다. 즉 욕망은 기계이며, 기계들의 종합이며, 기계적 배치체, 즉 욕망기계들이라는 것이다. 욕망은 생산의 질서에 속하며, 모든 생산은 욕망적인 동시에 사회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신분석이 이러한 생산의 질서를 으깼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74 file
    Read More
  7. 19
    Aug 2017
    23:50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생성하는 몸체는 머물지 않는다.

    (...) 즐겁도다., 광대한 바다에서 바람이 물들을 흔들 때, 육지에서 다른 이의 큰 노역을 바라보는 것은, 누군가 괴로움을 당하는 것이 달콤한 쾌락이어서가 아니라, 그대 자신이 어떠한 불행을 벗어나 있는지 깨닫는 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보기에 즐겁도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843 file
    Read More
  8. 19
    Aug 2017
    03:0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자연은 스스로 무한(無限)을 정립한다.

    (...) 자연은 사물들의 총체가 스스로 자신에게 한계를 놓을 수 없도록 한다. 그것은 물체의 빈 공간에 의해서, 그리고 빈 공간인 것은 다시금 물체에 의해 한정되도록 강제한다. 이렇게 번갈음으로 해서 전체를 무한하게 만들면서, 혹은 최소한 이들 중 어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41 file
    Read More
  9. 19
    Aug 2017
    00:33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그 어떤 것도 무에서 생겨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는다

    아무 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 않음 (...) 그러므로 정신의 이 두려움과 어둠을, 태양의 빛살과 비치는 창들이 아니라, 자연의 모습과 이치로 떨쳐버려야 한다. 그것의 첫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에서 우리를 위한 시작점을 얻어야 한다 즉 그 어떤 것도 신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006 file
    Read More
  10. 21
    Jun 2017
    09:29

    [사회] 미니마 모랄리아 : 전쟁은 사업이다. 전쟁, 산업, 국가는 합병된다.

    (...) 공습을 전하는 뉴스에서는 비행기를 생산한 회사들의 이름이 빠지는 적이 거의 없다. 이런 회사의 이름들, 포케-불프, 하인켈, 랑카스터는 저 옛날 갑옷 기병, 창기병, 경기병이 언급되던 자리에 나타난다. 삶의 재생산, 삶의 지배, 삶의 파괴라는 매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496
    Read More
  11. 08
    Jun 2017
    22:47

    [사회] 유토피아(Utopia) : 양들이 사람을 잡아먹고 있다

    (...)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의 <유토피아(Utopia)>(1516년) 제1부는 1500년 당시 영국 농민들이 겪던 처참한 삶의 현장을 고발한다. 사자가 사람을 잡아먹는 것도 아니고 양이 사람을 먹는다니.... 모어의 독한 풍자는 그의 머리에서 나온 것...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426 file
    Read More
  12. 29
    May 2017
    16:13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자본과 임금 노동은 하나이자 같은 관계의 두 측면이다

    (...) "자본은 온갖 종류의 원료들, 노동 기구들, 생활 수단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새로운 원료들, 새로운 노동도구들, 새로운 생활 수단들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자본의 이 모든 구성 부분들은 노동의 피조물들, 노동의 생산물...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825 file
    Read More
  13. 29
    May 2017
    14:50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노동의 가격은 필요 생활 수단의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상품의 가격)은 구매자들과 판매자들 사이의 경쟁에 의해, 공급에 대한 수요의 관계에 의해, 제공에 대한 열망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 똑같은 상품이 서로 다른 판매자들에 의해 제공된다. 똑같은 질의 상품을 가장 싸게 판매하는 사람이 나머지 판...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053 file
    Read More
  14. 20
    May 2017
    11:44

    [사회]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 바이오 필리아(bio-philia)

    (...) 프롬은 <사랑의 기술>에서 그의 사랑 이론을 상세히 피력했으나, 애니스와 사랑하며 결합되어 있던 27년 동안 이론을 더욱 한층 발전시켰다. 프롬은 1930년대에 프로이트의 충동 이론과 결별을 선언한 이래 인간의 핵심 문제가 충동적 욕구의 만족이 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493
    Read More
  15. 07
    Apr 2017
    18:19

    [사회] 소비이론 : 사물과 욕구 · 소비영역

    (...) 경제학자에게서 욕구란 효용이다. 소비를 목적으로한, 즉 재화의 효용을 소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러저러한 특정 재화에 대한 욕구이다. 따라서 욕구는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재화를 통해 터음부터 이미 어떤 목표-끝에 행해지며, 선호(選好)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691 file
    Read More
  16. 07
    Apr 2017
    05:05

    [사회] 생산성의 증대 · 경제성장으로 풍요로와질 수 있을까?

    (...) 살린스에 따르면 수렵채집자들(오스트레일리아, 칼라하리 사막 등에 살고 있는 미개 유목민 부족들)은 절대적인 빈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풍요를 알고 있었다고 한다. 미개인들은 어떠한 것도 소유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에 집착...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218 file
    Read More
  17. 31
    Aug 2016
    17:52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욕망 기계

    욕망 기계의 첫번째 양태 : 채취-절단, 채취하기 ... 욕망기계들은 기계들인데, 이 말은 은유가 아니다. (...) 욕망기계들은 그 어떤 은유와도 무관하게 참으로 기계들인 걸까? 기계는 절단들의 체계라고 정의된다. 현실과의 격리라 여겨지는 절단은 여기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689 file
    Read More
  18. 28
    Aug 2016
    22:15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사회체와 기관 없는 몸

    ... 모든 사회적 생산은 특정 조건들에서 욕망적 생산에서 유래한다고 우리는 말할 수 있다. 무엇보다 호모 나투라. 하지만 또 우리는, 정확하게 욕망적 생산은 무엇보다 사회적이며, 끝에서야 자신을 해방하는 데로 향한다고 말해야 한다. (...) 사회 기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5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