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소비이론 : 사물과 욕구 · 소비영역

by 이우 posted Apr 07, 2017 Views 206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소비의사회_이미지.jpg
  (...) 경제학자에게서 욕구란 효용이다. 소비를 목적으로한, 즉 재화의 효용을 소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러저러한 특정 재화에 대한 욕구이다. 따라서 욕구는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재화를 통해 터음부터 이미 어떤 목표-끝에 행해지며, 선호(選好) 역시 시장에 공급되는 생산물의 선발에 의해 방향지어진다. 욕구는 결국 '지불능력이 있는 수요(유효 수요)'이다. 심리학자들은 조금 더 복잡한 이론을 제시하는데, 그들에게 욕구란 사물지향적이기보다 본능지향적이면서 생득적(生得的)이면서 불명확한 일종의 필연적인 성격을 지닌 '동기'이다. 이어서 마지막으로 사회학자들과 사회심리학자들에게는 욕구ㅠ가 사회문화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학자들은, 개인은 욕구를 가지고 태어났으며 본성에 따라서 그 욕구를 충족하려는 존재라는 인간학적 가설과, 소비자는 자유롭고 의식적이며 자기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고 있는 존재라는 견해를 의심하지 ㅇ낳고 이러한 관념론적 가정을 기초로 욕구의 사회학적 역학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고는 집단 내의 관계에서 끌어낸 순응 및 경쟁의 모델과 사회 전체나 역사와 관련되어 있는 큰 문화모델을 등장시킨다. (...)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분석은 그 관념론적인 인간학적 가설을 문제 삼는 근본적인 반대에 부딪히지 않을 수 없다. 갈브레이스에게서는 개인의 욕구가 인정될 수 있다. 인간 본성에는 경제우너리와 같은 것이 있어, '인위적인 가속장치'의 작용이 없다면 인간의 목적 및 욕구 그리고 그의 노력에 한계를 설정한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최대한의 만족이 아니라 개인 수준에서의 조화 있고 균형 잡힌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경향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은 극도로 다양화된 욕구충족 악순환 속에 휘말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 욕구 역시 조화 있는 사회 조직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완전히 공상적이다. (...)

  옳은 명제는 "욕구는 생산의 산물이다"가 아니라 "욕구체계는 생산체계의 산물이다"라는 것이다. 욕구의 체계란 욕구가 각각 사물과 관련해서 일대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소비력으로서, 생산력의 보다 ㅇ리반적인 틀 속에서 전체적인 처분 능력으로 생산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전문기술 관리계급이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그러한 의미에서다. 생산의 질서는 향유(享有)의 질서를 자기 이익을 위해 '가로채는 것'이 아니라, 향유의 질서를 부정하고 모든 것을 생산력의 체계로 재조직하여 질서를 대신하는 것이다. 산업체계의 역사 흐름에서 이러한 소비의 계보를 추적할 수 있다. (...) 

  (소비)욕구는 체계의 요소로서 만들어지는 것이지 개인과 사물의 관계로서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다. (...) '내가 이것을 산 이유는 내가 그것을 원하기 때문이다"라는 말은 '불이 타는 것은 연소(燃燒)가 있기 대문이라는 말과 똑같다. (...) 욕구와 충족에 대한 이러한 합리주의적 신화는 히스테리 증상이나 심신의학적 증상에 직면한 전통의학처럼 소박하고 무기력하다. 이점에 대해 설명해 보자.

  사물은 대체될 수 있는 객관적 기능 영역 밖에서는, 그리고 그 명시적(明示的) 의미의 영역 밖에서는, 달리 말해서 사물이 기호가치를 지니는 암시적 의미의 영역 안에서는 다소간에 무제한적으로 대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기는 도구로서 쓰이는 것과 함께 행복, 위세 등 요소로서의 역할도 한다. 바로 이 후기의 영역이 소비의 영역이다. 여기에서는 다른 모든 종류의 사물들이 의미표시적 요소로서의 세탁기를 대신할 수 있다. 상징의논리와 마찬가지로 기호의 논리에서도 사물은 이제 명확하게 규정된 기능이나 욕구와 더 이상 관련되어 잇지 않다. 바로 그 이유는 사물이 전혀 다른 것에 대응하고 있는데, 그것에 대해서 사물은 의미작용의 무의식적이고 불안정한 영역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 

  어떤 병이 기관에 관한 것이면, 증상과 기관 사이에는 필연적인 관계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구로서의 사물의 경우 사물과 그 기능 사이에도 필연적인 관계가 있다. 히스테리성 또는 심신의학적인 전환에서 증상은 시호와 마찬가지로 자의적이다. 두통, 결장염, 요통, 구협염, 전신피로 등의 신체적 기표의 연쇄가 있는데, 증상은 이 연쇄를 따라 거닌다. 기호로서의 사물 또는 상징으로서의 사물의 연쇄가 있는데, 욕구가 아니라 욕망이 그 연쇄를 따라 거니는 것과 완전히 똑같다. (...) 증상이 나타나는 기관에만 전통적인 치료를 행할 때와 독같은 오류를 범한다. 그 기관을 치료하면 그 증상은 이미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물 및 욕구의 세계는 보편화된 히스테리의 세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신체의 모든 기관과 모든 기능이 전환 속에서 증상이 약해지는 거대한 패러다임이 되는 것과 같이, 소비 속에서 사물은 또 하나의 언어가 거절당하고 다른 무엇인가가 되는 거대한 패러다임이 된다. (...)

  사물을 독차지하고 싶다는 원망(願望)에는 목적이 없다. 겉보기에는 대상과 향유에 쏠리고 방향잡혀진 소비행동이 사실은 욕망의 은유적 또는 우회적인 표현, 차이표시 기호를 통한 가치의 사회적 코드의 생산이라는 전혀 다른 목적에 대응한다. 따라서 결정적인 것은 사물의 모음으 통한 이해관심의 개인적 기능이 아니라 기호의 모음을 통한 가치들의 교환, 전달, 분배라는 직접적으로 사회적인 기능이다.

  소비는 향유의 기능이 아니라 생산의 기능이며, 따라서 물질의 생산과 마찬가지로 개인적 기능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또 전면적으로 집단적인 기능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소비에 대한 올바른 견해다. (...) 소비는 기호의 배열과 집단의 통합을 보증하는 체계다. 따라서 소비는 도덕(이뎅로로기적 가치들의 체계)인 동시에 의사소통의 체계 즉 교환의 체계이기도 하다. 바로 이러한 사실 위에, 그리고 그러한 사회적 기능과 구조적 조직이 개인 수준을 훨씬 넘어서서, 무의시적인 사회적 강제에 따라서 그 개인들을 압도하고 있다는 사실 외에 하나의 이론적 가설이 성립할 수 있다. 그러나 익서은 숫자의 나열도 아니며 기술적인 형이상학도 아니다. 

  역설적인 것처럼 보이겠지만, 이 가설에 따르면 소비는 향유를 배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논리로서의 소비 체계는 향유의 부인(否認)이라는 기반 위에 확립된다. 그곳에서는 향유는 더 이상 합목적성, 합리적인 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전혀 아니며, 그 목적이 딴 데 있는 과정의 개인적 수준으로서의 합리화가 나타난다. 향유라는 것은 아마도 자율적이고 합목적적이며 자기목적으로서의 소비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소비는 결코 그런 것이 아니다.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위해 즐기지만, 그러나 소비할 때에는 결코 혼자서 소비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견해는 소비에 대한 모든 이데올로기적 논의에 의해 교묘하게 유지되어온 소비자의 환상이다. 사람들은 모든 소비자들이 자기들도 모르는 사이에 서로 욘루되는, 코드화된 가치들의 생산 및 교환의 보편화된 체계 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소비는 언어와 마찬가지로, 또는 미개사회의 친족체계와 마찬가지로 의미작용의 질서이다. (...)

- <소비의 사회>(장 보드리야르 · 문예출판사 | 1992년 · 원제 : La societe de consommation, 1970년)  p. 95~113


















  1. 03
    Mar 2023
    15:51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가격 경제(혹은 시장경제)입니다. 이는 곧 재화의 생산과 분배가 여러 시장의 작동에서 나오는 여러 가격으로 통제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모든 유형의 재화에 대해 시장이 존재합니다. 모든 종류의 상품에 대해서는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1
    Read More
  2.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30 file
    Read More
  3.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00 file
    Read More
  4. 03
    Jul 2019
    02:14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노동존엄성과 노동, 폭력과 국가, 그리고 전쟁의 비밀스러운 상관관계

    (...) 신세대들인 우리는 그리스인들보다 두 가지 개념을 더 가지고 있는데, 이 개념들은 말하자면 완전히 노예처럼 행동하면서도 '노예'라는 낱말을 두려워하고 피하는 세계를 위로하는 수단으로 주어져 있다. 우리는 '인간의 존엄'과 '노동의 존엄'에 관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328 file
    Read More
  5. 08
    Dec 2018
    18:40

    [사회] 위험사회 : 위험 사회의 도래 · 대항담론과 대항지식

    (...) 마른 하늘에 날벼락이 당연한 시대, 아닌 밤중에 홍두깨가 조금도 이상하지 않은 사회. 세계보건기구가 홍역의 완전박멸을 선언하는 그 순간, 에즈볼라나 광우병이니 O-157이니 하는 신종 병역들이 화려하게 등단하여 그 같은 선언을 전혀 무색하게 만...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536 file
    Read More
  6. 04
    Dec 2018
    06:23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정신분석과 재현 · 욕망 기계 · 탈영토화

    (...) 분열-분석의 테제는 단순하다. 즉 욕망은 기계이며, 기계들의 종합이며, 기계적 배치체, 즉 욕망기계들이라는 것이다. 욕망은 생산의 질서에 속하며, 모든 생산은 욕망적인 동시에 사회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신분석이 이러한 생산의 질서를 으깼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74 file
    Read More
  7. 19
    Aug 2017
    23:50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생성하는 몸체는 머물지 않는다.

    (...) 즐겁도다., 광대한 바다에서 바람이 물들을 흔들 때, 육지에서 다른 이의 큰 노역을 바라보는 것은, 누군가 괴로움을 당하는 것이 달콤한 쾌락이어서가 아니라, 그대 자신이 어떠한 불행을 벗어나 있는지 깨닫는 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보기에 즐겁도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843 file
    Read More
  8. 19
    Aug 2017
    03:0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자연은 스스로 무한(無限)을 정립한다.

    (...) 자연은 사물들의 총체가 스스로 자신에게 한계를 놓을 수 없도록 한다. 그것은 물체의 빈 공간에 의해서, 그리고 빈 공간인 것은 다시금 물체에 의해 한정되도록 강제한다. 이렇게 번갈음으로 해서 전체를 무한하게 만들면서, 혹은 최소한 이들 중 어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41 file
    Read More
  9. 19
    Aug 2017
    00:33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그 어떤 것도 무에서 생겨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는다

    아무 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 않음 (...) 그러므로 정신의 이 두려움과 어둠을, 태양의 빛살과 비치는 창들이 아니라, 자연의 모습과 이치로 떨쳐버려야 한다. 그것의 첫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에서 우리를 위한 시작점을 얻어야 한다 즉 그 어떤 것도 신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007 file
    Read More
  10. 21
    Jun 2017
    09:29

    [사회] 미니마 모랄리아 : 전쟁은 사업이다. 전쟁, 산업, 국가는 합병된다.

    (...) 공습을 전하는 뉴스에서는 비행기를 생산한 회사들의 이름이 빠지는 적이 거의 없다. 이런 회사의 이름들, 포케-불프, 하인켈, 랑카스터는 저 옛날 갑옷 기병, 창기병, 경기병이 언급되던 자리에 나타난다. 삶의 재생산, 삶의 지배, 삶의 파괴라는 매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496
    Read More
  11. 08
    Jun 2017
    22:47

    [사회] 유토피아(Utopia) : 양들이 사람을 잡아먹고 있다

    (...)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의 <유토피아(Utopia)>(1516년) 제1부는 1500년 당시 영국 농민들이 겪던 처참한 삶의 현장을 고발한다. 사자가 사람을 잡아먹는 것도 아니고 양이 사람을 먹는다니.... 모어의 독한 풍자는 그의 머리에서 나온 것...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426 file
    Read More
  12. 29
    May 2017
    16:13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자본과 임금 노동은 하나이자 같은 관계의 두 측면이다

    (...) "자본은 온갖 종류의 원료들, 노동 기구들, 생활 수단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새로운 원료들, 새로운 노동도구들, 새로운 생활 수단들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자본의 이 모든 구성 부분들은 노동의 피조물들, 노동의 생산물...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825 file
    Read More
  13. 29
    May 2017
    14:50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노동의 가격은 필요 생활 수단의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상품의 가격)은 구매자들과 판매자들 사이의 경쟁에 의해, 공급에 대한 수요의 관계에 의해, 제공에 대한 열망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 똑같은 상품이 서로 다른 판매자들에 의해 제공된다. 똑같은 질의 상품을 가장 싸게 판매하는 사람이 나머지 판...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053 file
    Read More
  14. 20
    May 2017
    11:44

    [사회]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 바이오 필리아(bio-philia)

    (...) 프롬은 <사랑의 기술>에서 그의 사랑 이론을 상세히 피력했으나, 애니스와 사랑하며 결합되어 있던 27년 동안 이론을 더욱 한층 발전시켰다. 프롬은 1930년대에 프로이트의 충동 이론과 결별을 선언한 이래 인간의 핵심 문제가 충동적 욕구의 만족이 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493
    Read More
  15. 07
    Apr 2017
    18:19

    [사회] 소비이론 : 사물과 욕구 · 소비영역

    (...) 경제학자에게서 욕구란 효용이다. 소비를 목적으로한, 즉 재화의 효용을 소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러저러한 특정 재화에 대한 욕구이다. 따라서 욕구는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재화를 통해 터음부터 이미 어떤 목표-끝에 행해지며, 선호(選好)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691 file
    Read More
  16. 07
    Apr 2017
    05:05

    [사회] 생산성의 증대 · 경제성장으로 풍요로와질 수 있을까?

    (...) 살린스에 따르면 수렵채집자들(오스트레일리아, 칼라하리 사막 등에 살고 있는 미개 유목민 부족들)은 절대적인 빈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풍요를 알고 있었다고 한다. 미개인들은 어떠한 것도 소유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에 집착...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218 file
    Read More
  17. 31
    Aug 2016
    17:52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욕망 기계

    욕망 기계의 첫번째 양태 : 채취-절단, 채취하기 ... 욕망기계들은 기계들인데, 이 말은 은유가 아니다. (...) 욕망기계들은 그 어떤 은유와도 무관하게 참으로 기계들인 걸까? 기계는 절단들의 체계라고 정의된다. 현실과의 격리라 여겨지는 절단은 여기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691 file
    Read More
  18. 28
    Aug 2016
    22:15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사회체와 기관 없는 몸

    ... 모든 사회적 생산은 특정 조건들에서 욕망적 생산에서 유래한다고 우리는 말할 수 있다. 무엇보다 호모 나투라. 하지만 또 우리는, 정확하게 욕망적 생산은 무엇보다 사회적이며, 끝에서야 자신을 해방하는 데로 향한다고 말해야 한다. (...) 사회 기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5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