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사회체와 기관 없는 몸

by 이우 posted Aug 28, 2016 Views 182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안티오이디푸스_s.jpg

  ... 모든 사회적 생산은 특정 조건들에서 욕망적 생산에서 유래한다고 우리는 말할 수 있다. 무엇보다 호모 나투라. 하지만 또 우리는, 정확하게 욕망적 생산은 무엇보다 사회적이며, 끝에서야 자신을 해방하는 데로 향한다고 말해야 한다. (...) 사회 기계 또는 사회체는 토지의 몸, 전제군주의 몸, 돈의 몸일 수 있다. 그것은 결코 기관 없는 몸의 투사가 아니다. 기관 없는 몸은 오히려 탈영토화된 사회체의 궁극적인 잔여물이다. 사회체의 문제는 언제나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욕망의 흐름들을 코드화하고 기입하고 등록하여, 막히거나 수로화하거나 규제되지 않는 그 어떤 흐름도 흐르지 못하게 하기. 원시적인 토지 기계가 더 이상 충분한 것이 못 되었을 때, 전제군주 기계는 일종의 초코드화를 세웠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기계는, 그것이 전제군주 국가에서 다소 떨어진 폐허 위에 설립되었기에, 완전히 새로운 상황에 있다. 즉 흐름들의 탈코드화와 탈영토화라는 상황. 이 상황에 대해 자본주의는 바깥에서 맞서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본주의는 이 상황을 살펴, 이 상황 속에서 자신의 조건과 질료를 동시에 얻으며, 온 힘을 다해 이 상황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 즉 돈-자본이라는 형식를 지닌 생산의 탈코드화된 흐름과 <자유노동자>라는 형식을 지닌 노동의 탈코드화된 흐름이 만나서 탄생한다. 또한 예전의 사회 기계들과는 반대로, 자본주의 기계는 사회장 전체를 포괄하는 코드를 제공할 능력이 없다. 그것은 돈 속에서 코드라는 관념 자체를 사회체의 탈영토화 운동에서 늘 더 멀리 가는 추상량의 공리계로 대체했다. 이 문턱은 사회체를 해체하여 기관 없는 몸을 출현시키고, 또 이 몸 위에서 탈영토화된 장 속에 있는 욕망의 흐름을 해방시킨다. 이런 의미에서 마치 조울증과 편집증이 전제군주 기계의 생산물이고 히스테리가 토지 기계의 생산물이듯, 분열증은 자본주의 기계의 생산물이라고 말하는 것이 정확할까?


  그리하여 흐름들의 탈코드화, 사회체의 탈영토화는 자본주의의 가장 본질적인 경향성을 형성한다. 자본주의는 끊임없이 자신의 극한에 접근하는데, 이 극한은 참된 분열증의 극한이다. 자본주의는 기관 없는 몸 위에서 탈코드화된 흐름들의 주체인 분열자를 온 힘을 다해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이 주체는 자본가보다 더 자본주의적이고 프롤레타리아보다 더 프롤레타리아적이다. 이 경향성으로 늘 더 멀리 가면, 마침내 자본주의는 자신의 모든 흐름과 더불어 달나라에 이를 것이다. 물론 아직은 이렇게까지 되지는 않았다. 이는 그저 현대의 삶이 광기를 생기게 한다고 말하려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문제는 삶의 양식이 아니라 생산의 경과이다. 가령 분열자들에게 의미의 미끄러짐이라는 현상들과 산업사회의 모든 단계에서 증대하는 불협화음이라는 메커니즘들 사이에는 코드들의 파탄이라는 관점에서 병렬이 있다는 것이 아주 명확하지만, 그렇더라도 단순한 병렬은 더 이상 중요치 않다.


  사실 우리는 이렇게 말하고자 한다. 자본주의는 자신의 생산 과정에서 엄청난 분열적 부하(負荷)를 생산하는데, 그 탄압의 모든 무게로 이 부하를 늘려 보려 하지만, 이 부하는 경과의 극한으로서 끊임없이 재생산된다. 왜냐하면 자본주의는 자신의 경향성을 가속하는 동시에 끊임없이 이 경향성을 반대하고 금지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는 자신의 극한으로 향하는 동시에 끊임없이 이 극한을 억지한다. 자본주의는, 상상적이건 상징적이건, 온갖 종류의 잔여적 · 인조적 영토성들을 세우거나 재건하여, 이 영토성들 위에서, 추상량들에서 파생되는 인물들을 잘못 또는 잘 재코드화하고 틀어막으려 한다. 국가들, 고향들, 가족들, 이 모든 것이 다시 지나가고 다시 돌아온다.


  이것이 바로 자본주의가 그 이데올로기에 있어 <지금까지 믿어 온 것의 얼룩덜룩한 그림>이라 불리는 까닭이다. 현실계는 불가능하지 않다. 그것은 점점 더 인공적인 것이 된다. 맑스는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와 잉여가치의 절대량 증대라는 이중 운동을 상반된 경향의 법칙이라 불렀다. 이 법칙의 따름 정리로서, 흐름들의 탈코드화 내지 탈영토화와 이 흐름들의 격렬하고 인조적인 재영토화라는 이중 운동이 있다. 자본주의 기계가 여러 흐름들에서 잉여가치를 추출해 내기 위해 이 흐름을 탈코드화하고 공리화함으로써 탈영토화하면 할수록 관료 조직과 경찰 기구 같은 자본주의의 부속 장치들은 잉여가치의 증대하는 몫을 흡수하면서 더욱더 재영토화한다. ...


 - 『안티 오이디푸스』(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민음사 · 2014년  · 원제 : L’Anti-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1972년) <1장 욕망 기계들> p.69~72
















  1. 03
    Mar 2023
    15:51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가격 경제(혹은 시장경제)입니다. 이는 곧 재화의 생산과 분배가 여러 시장의 작동에서 나오는 여러 가격으로 통제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모든 유형의 재화에 대해 시장이 존재합니다. 모든 종류의 상품에 대해서는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2
    Read More
  2.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26 file
    Read More
  3.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94 file
    Read More
  4. 03
    Jul 2019
    02:14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노동존엄성과 노동, 폭력과 국가, 그리고 전쟁의 비밀스러운 상관관계

    (...) 신세대들인 우리는 그리스인들보다 두 가지 개념을 더 가지고 있는데, 이 개념들은 말하자면 완전히 노예처럼 행동하면서도 '노예'라는 낱말을 두려워하고 피하는 세계를 위로하는 수단으로 주어져 있다. 우리는 '인간의 존엄'과 '노동의 존엄'에 관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323 file
    Read More
  5. 08
    Dec 2018
    18:40

    [사회] 위험사회 : 위험 사회의 도래 · 대항담론과 대항지식

    (...) 마른 하늘에 날벼락이 당연한 시대, 아닌 밤중에 홍두깨가 조금도 이상하지 않은 사회. 세계보건기구가 홍역의 완전박멸을 선언하는 그 순간, 에즈볼라나 광우병이니 O-157이니 하는 신종 병역들이 화려하게 등단하여 그 같은 선언을 전혀 무색하게 만...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532 file
    Read More
  6. 04
    Dec 2018
    06:23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정신분석과 재현 · 욕망 기계 · 탈영토화

    (...) 분열-분석의 테제는 단순하다. 즉 욕망은 기계이며, 기계들의 종합이며, 기계적 배치체, 즉 욕망기계들이라는 것이다. 욕망은 생산의 질서에 속하며, 모든 생산은 욕망적인 동시에 사회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신분석이 이러한 생산의 질서를 으깼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72 file
    Read More
  7. 19
    Aug 2017
    23:50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생성하는 몸체는 머물지 않는다.

    (...) 즐겁도다., 광대한 바다에서 바람이 물들을 흔들 때, 육지에서 다른 이의 큰 노역을 바라보는 것은, 누군가 괴로움을 당하는 것이 달콤한 쾌락이어서가 아니라, 그대 자신이 어떠한 불행을 벗어나 있는지 깨닫는 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보기에 즐겁도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839 file
    Read More
  8. 19
    Aug 2017
    03:0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자연은 스스로 무한(無限)을 정립한다.

    (...) 자연은 사물들의 총체가 스스로 자신에게 한계를 놓을 수 없도록 한다. 그것은 물체의 빈 공간에 의해서, 그리고 빈 공간인 것은 다시금 물체에 의해 한정되도록 강제한다. 이렇게 번갈음으로 해서 전체를 무한하게 만들면서, 혹은 최소한 이들 중 어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37 file
    Read More
  9. 19
    Aug 2017
    00:33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그 어떤 것도 무에서 생겨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는다

    아무 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 않음 (...) 그러므로 정신의 이 두려움과 어둠을, 태양의 빛살과 비치는 창들이 아니라, 자연의 모습과 이치로 떨쳐버려야 한다. 그것의 첫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에서 우리를 위한 시작점을 얻어야 한다 즉 그 어떤 것도 신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8974 file
    Read More
  10. 21
    Jun 2017
    09:29

    [사회] 미니마 모랄리아 : 전쟁은 사업이다. 전쟁, 산업, 국가는 합병된다.

    (...) 공습을 전하는 뉴스에서는 비행기를 생산한 회사들의 이름이 빠지는 적이 거의 없다. 이런 회사의 이름들, 포케-불프, 하인켈, 랑카스터는 저 옛날 갑옷 기병, 창기병, 경기병이 언급되던 자리에 나타난다. 삶의 재생산, 삶의 지배, 삶의 파괴라는 매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492
    Read More
  11. 08
    Jun 2017
    22:47

    [사회] 유토피아(Utopia) : 양들이 사람을 잡아먹고 있다

    (...)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의 <유토피아(Utopia)>(1516년) 제1부는 1500년 당시 영국 농민들이 겪던 처참한 삶의 현장을 고발한다. 사자가 사람을 잡아먹는 것도 아니고 양이 사람을 먹는다니.... 모어의 독한 풍자는 그의 머리에서 나온 것...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389 file
    Read More
  12. 29
    May 2017
    16:13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자본과 임금 노동은 하나이자 같은 관계의 두 측면이다

    (...) "자본은 온갖 종류의 원료들, 노동 기구들, 생활 수단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새로운 원료들, 새로운 노동도구들, 새로운 생활 수단들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자본의 이 모든 구성 부분들은 노동의 피조물들, 노동의 생산물...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817 file
    Read More
  13. 29
    May 2017
    14:50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노동의 가격은 필요 생활 수단의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상품의 가격)은 구매자들과 판매자들 사이의 경쟁에 의해, 공급에 대한 수요의 관계에 의해, 제공에 대한 열망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 똑같은 상품이 서로 다른 판매자들에 의해 제공된다. 똑같은 질의 상품을 가장 싸게 판매하는 사람이 나머지 판...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049 file
    Read More
  14. 20
    May 2017
    11:44

    [사회]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 바이오 필리아(bio-philia)

    (...) 프롬은 <사랑의 기술>에서 그의 사랑 이론을 상세히 피력했으나, 애니스와 사랑하며 결합되어 있던 27년 동안 이론을 더욱 한층 발전시켰다. 프롬은 1930년대에 프로이트의 충동 이론과 결별을 선언한 이래 인간의 핵심 문제가 충동적 욕구의 만족이 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487
    Read More
  15. 07
    Apr 2017
    18:19

    [사회] 소비이론 : 사물과 욕구 · 소비영역

    (...) 경제학자에게서 욕구란 효용이다. 소비를 목적으로한, 즉 재화의 효용을 소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러저러한 특정 재화에 대한 욕구이다. 따라서 욕구는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재화를 통해 터음부터 이미 어떤 목표-끝에 행해지며, 선호(選好)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684 file
    Read More
  16. 07
    Apr 2017
    05:05

    [사회] 생산성의 증대 · 경제성장으로 풍요로와질 수 있을까?

    (...) 살린스에 따르면 수렵채집자들(오스트레일리아, 칼라하리 사막 등에 살고 있는 미개 유목민 부족들)은 절대적인 빈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풍요를 알고 있었다고 한다. 미개인들은 어떠한 것도 소유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에 집착...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210 file
    Read More
  17. 31
    Aug 2016
    17:52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욕망 기계

    욕망 기계의 첫번째 양태 : 채취-절단, 채취하기 ... 욕망기계들은 기계들인데, 이 말은 은유가 아니다. (...) 욕망기계들은 그 어떤 은유와도 무관하게 참으로 기계들인 걸까? 기계는 절단들의 체계라고 정의된다. 현실과의 격리라 여겨지는 절단은 여기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676 file
    Read More
  18. 28
    Aug 2016
    22:15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사회체와 기관 없는 몸

    ... 모든 사회적 생산은 특정 조건들에서 욕망적 생산에서 유래한다고 우리는 말할 수 있다. 무엇보다 호모 나투라. 하지만 또 우리는, 정확하게 욕망적 생산은 무엇보다 사회적이며, 끝에서야 자신을 해방하는 데로 향한다고 말해야 한다. (...) 사회 기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4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