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소비의 논리 : 개성화·차이화=몰개성화·집단화

by 이우 posted Apr 07, 2017 Views 5488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소비의사회_이미지.jpg   
  (...) "자기만을 위해 특별하게 설계된 세탁기를 꿈꾸지 않은 가정주부가 있겠습니까?" 어느 선전은 이렇게 묻는다. 사실 어느 주부가 그것을 꿈꾸지 않겠는가? 따라서 수백만 명의 가정주부들은 각각 자기만을 위해 특별하게 설계된 '똑같은' 세탁기를 꿈꾸었다는 것이 된다. "당신이 꿈꾸는 육체는 당신 자신의 육체다." 이 훌륭한 동어반복(실은 어느 브래지어의 선전문구)은 '개성화된' 나르시즘의 모든 모순을 집약하고 있다. 당신을 당신 자신이 기준으로 삼는 이상(理想)에 접근시킴으로써, '진정으로 당신 자신'이 됨으로써 당신은 집단의 명령에 가장 충실하게 따르며 또한 '강요된' 모델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다. 악마적인 계략이라고 해야 하는가? 아니면 대중문화의 변증법이라고 해야 하는가? (...)

  소비사회에서 개인의 자기 도취는 독자성의 향유가 아니라 집단적 특성의 굴절된 모습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최소한계차(P.P.D.M)를 통해 항상 자기 자신에의 자기도취적 열중의 형태로 나타난다. 어디에서나 개인은 우선 자신을 좋아하고 자기만족하도록 권유받는다.물론 자신을 좋아하게 되면 타인의 마음에 들 가능성도 크다. 그리고 마침내는 필시 자기만족과 자기유혹조차도 매혹적인 객관적 목적성을 완전히 대신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유혹의 시도는 일종의 완벽한 '소비'라고 하는 형태로 자기 자신에게로 돌아가지만, 그 시도의 준거틀은 여전이 타인이 심급(審級)이다. (...)

  에블린느 쉴르로가 잘 지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델로서의 여성을 여성에게 판다. 자신의 몸에 치장을 하고 향수를 뿌리고 옷을 입히고, 즉 자기 자신을 '창조한다'고 생각하면서 여성은 자기자신을 소비한다." 그런데 이 현상은 체계의 논리와 관계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타인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과의 관계가 소비되는 관계가 된다. 그러나 이것을 아름다움, 매력, 센스 등의 실제적 특성을 믿고 자기만족하는 것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그런 것과는 전혀 무관하다. 이 후자의 경우에는 소비가 없고 자발적이고 자연스런 관계가 있다. 소비는 이 자발적인 관계가 기호체계에 의해, 매개되는 관계로 대체되는 것에 항상 규정되는 것이다. 그때 여성이 자기 자신을 소비하는 것은 그녀의 자기 자신에 대한 관계가 기호에 의해 객관화되고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그 기호라는 것은 소비의 진정한 진정한 대상인 여성적 모델을 구성하는 기호이다. 자신을 '개성화'하면서 여성이 소비하는 것은 바로 이 모델이다. 결국 여성은 "자기 눈동자의 빛과 피부의 부드러움에 자신을 갖지 못하게 된다. 그녀 자신의 것인 그것들이 그녀에게 어떤 자신도 주지 않는다.(브로댕 <네프(La Nef)지>)" 자연적 특성에 의해 가치 있는 것과 어떤 모델이나 만들어진 코드에 순응하여 자신을 가치 있게 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여기서 문제되는 것은 '기능적 여자다움'이다. 여기서는 아름다움, 매력, 육감 등의 자연적 가치 모두가 사라지고, 그 대신에 (일부러 꾸민) 자연스러움, 에로티시즘, 육체의 선(線), 요염함 등의 지수적(指數的) 가치가 영향력을 행사한다. 폭력과 마찬가지로 유혹과 자기도취는 대중매체에 의해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눈에 띄는 가호로 만들어진 모델에 의해 미리 주어지고 있다.

  모든 처녀들이 자신을 브리짓 바르도와 같다고 생각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 머리형, 입술, 특징적인 복장 등이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그것은 필연적으로 모든 여성들에게 똑같은 것이어야 한다. 저마다 이 모델들을 실현하는 데서 자기 자신의 개성을 찾는다. (...) 기능적 여자다움에 대한 기능적 남자다움 또는 기능적 씩씩함이 대응한다. 매우, 당연한 것인데, 이 모델들은 하나가 되어 하나의 질서를 형성한다. (...)

  - <소비의 사회>(장 보드리야르 · 문예출판사 | 1992년 · 원제 : La societe de consommation, 1970년)  p.140~143














  1. 04
    Nov 2020
    03:21

    [철학] 『천 개의 고원』 : 책 · 예술 · 언표행위 · 기관 없는 몸체

    (...) 책에는 대상도 주체도 없다. 책은 갖가지 형식을 부여받은 질료들과 매우 다양한 날짜와 속도들로 이루어져 있다. 책이 어떤 주체의 것이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는 이 질료의 구실과 이 질료의 관계들의 외부성을 무시하게 된다. 지질학적 운동을 설명...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528 file
    Read More
  2. 29
    May 2019
    08:05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예술의 탄생·디오니소스적 세계관

    (...) 자신들의 세계관이 가지고 있는 비밀스런 이론을 자신들의 신을 통해 말하고 동시에 숨겼던 그리스인들은 예술의 이중적 원천으로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두 신을 내세웠다. 예술의 영역에서 이 이름들은 대립되는 양식들을 대변한다. 이 양식들은 상호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484 file
    Read More
  3. 04
    Dec 2018
    06:23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정신분석과 재현 · 욕망 기계 · 탈영토화

    (...) 분열-분석의 테제는 단순하다. 즉 욕망은 기계이며, 기계들의 종합이며, 기계적 배치체, 즉 욕망기계들이라는 것이다. 욕망은 생산의 질서에 속하며, 모든 생산은 욕망적인 동시에 사회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신분석이 이러한 생산의 질서를 으깼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73 file
    Read More
  4. 25
    Nov 2018
    03:53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패션 · 2

    물신 숭배에서 성(sexus)은 유기적인 세계와 무기적인 세계 사이의 장벽을 제거한다. 복장과 장식이 성과 결탁한다. 성은 죽은 것만큼이나 살아있는 육체도 편안하게 생각한다. 게다가 살아 있는 육체는 성에게 죽은 것 안에서 자리 잡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하...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5726 file
    Read More
  5. 24
    Aug 2018
    13:22

    [철학] 『말과 사물』 : 유사(類似)와 상사(相似), 그리고 기호(記號)

    1. 네 가지 유사성 (...) 16세기 말엽까지 서양 문화에서 닮음의 역할은 지식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에 대한 주석과 해석을 대부분 이끈 것은 바로 닮음이다. 닮음에 의해 상징 작용이 체계화되었고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 사물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45 file
    Read More
  6. 05
    Dec 2017
    21:35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기호(記號, sign), 그리고 기표(記標, signifiant)

    (...) 눈은 낱말을 본다. 눈은 읽지 않는다. 이 체계에서 낱말은 지시 기능을 갖고 있을 뿐, 자기 혼자 만으로는 기호를 구성하지 않는다. 기호가 되는 것은 오히려 그 몸 위에서 정의되었고, 낱말에 대한 표기 행위가 쓰인 미지의 얼굴을 그 몸이 드러내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725 file
    Read More
  7. 24
    Apr 2017
    16:55

    [미학] 『현대미학 강의』: 보드리야르 '역사의 종언', '예술의 종언'

    (...) 비록 마르크스주의와 정치적으로 거리를 두지만, 보드리야르의 사유의 바탕에는 아직 정치경제학의 흔적이 남아 있다. 가령 그의 '시뮬라시옹' 개념은 은은하게 마르크스의 '상품 물신성' 개념을 배음으로 깔고 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상품경제에서 ...
    Category예술 By이우 Views24787 file
    Read More
  8. 09
    Apr 2017
    00:23

    [사회] 소비의 사회 : 대중예술과 팝아트

    (...) 이미 본 바와 같이, 소비의 논리는 기호의 조작으로 정의된다. 창조의 상징 가치도, 상징적인 내면적 연관도 그곳에는 없다. 소비의 논리 전체가 외면성에 존재한다. 사물은 객관적 목적성과 기능을 상실하고 여러 가지 사물의 좀더 폭넒은 조합의 한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203 file
    Read More
  9. 08
    Apr 2017
    20:09

    [사회] 소비의 사회 : 대중문화와 매스커뮤니케이션

    (...) 퀴즈의 기능은 훈련(사회자와 매스이디어의 이데올로그들은 항상 그렇게 주장하지만)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렇다면 본래의 기능은 도대체 무엇인가? 티를리포의 경우 분명히 퀴즈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것 자체가 기능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9163 file
    Read More
  10. 07
    Apr 2017
    23:00

    [사회] 소비의 논리 : 개성화·차이화=몰개성화·집단화

    (...) "자기만을 위해 특별하게 설계된 세탁기를 꿈꾸지 않은 가정주부가 있겠습니까?" 어느 선전은 이렇게 묻는다. 사실 어느 주부가 그것을 꿈꾸지 않겠는가? 따라서 수백만 명의 가정주부들은 각각 자기만을 위해 특별하게 설계된 '똑같은' 세탁기를 꿈꾸...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54887 file
    Read More
  11. 02
    Oct 2011
    04:23
    No Image

    전승공예가 길을 묻다_ 사용·교환·기호, 그리고 상징의 경계를 걷다(1)

    여기 흙과 물, 바람과 나무의 미메시스(mimesis)를 섞어 전혀 경제성이 없는 전통 기법으로 만든 나전칠기가 있다. 이것을 만든 사람은 우리나라가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기능보유자이고, 그의 기능을 보전하고 전수하기 위해 국가는 전수교육관을 마련했...
    By이우 Views1968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