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3Jan 201913:43
[철학] 『권력에의 의지』 : 니힐리즘은 문 앞에 있다
(...) 위대한 사물이 말하는 바는, 그것에 관하여 사람이 침묵하거나, 많이 이야기하는 것이다. <말이>란, 말하자면, <냉소적으로> 혹은 <무구(無垢, mit Unschuld)하게>라는 뜻이다.내가 이야기하는 것은, 다음 2세기의 역사이다. 나는, 그 다가오는 것...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1 -
18Sep 201802:37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1 : 탈레스에서 데모크리토스까지
(...) 메소포타미아의 고대인들이 불멸의 것에 큰 가치를 둔 이유는 현세 이외에 어딘가 내세가 있으리라는 종교적 믿음 때문이다. 같은 시기의 이집트인들이 죽은 사람의 무덤에 내세의 길잡이인 <사자의 서>를 넣은 것과 같은 이유다. 고대인들에게는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96 -
22Nov 201718:16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사목권력의 특징, 복종 · 예속 · 배려 · 봉사
(...) 고대세계가 끝나갈 무렵 근대 세계가 탄생할 무렵까지 그리스도교 사회보다 더 사목적인 문명이나 사회는 결코 존재했던 적이 없습니다. 이런 사목, 이런 사목권력은 인간을 법이나 주권자에게 예속시키기 위해 사용된 절차와 동일시되거나 혼동되...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880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