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생산성의 증대 · 경제성장으로 풍요로와질 수 있을까?

by 이우 posted Apr 07, 2017 Views 182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소비의사회s.jpg

  (...) 살린스에 따르면 수렵채집자들(오스트레일리아, 칼라하리 사막 등에 살고 있는 미개 유목민 부족들)은 절대적인 빈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풍요를 알고 있었다고 한다. 미개인들은 어떠한 것도 소유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에 집착하지 않으며 그것들을 차차 버리면서 좋은 곳으로 이동해 간다. 생산 장치도 '노동'도 없다. 그들은 말하자면 여유가 있을 때 수렵하고 채집하며, 손에 넣은 것은 나누어 가진다. 그들의 낭비는 완전하다. 그들은 경제적 계산도 저장도 하지 않고 모든 것을 단번에 소비한다. 수렵채취 생활자는 부르주아가 발명한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와는 완전히 무관하며, 경제학 기초도 전혀 모른다. 그들은 항상 인간의 에너지, 자연자원, 그리고 효과적인 절약가능성을 파악하지 못한다. 잠을 많이 자며, 자연자원의 풍부함을 믿는다. 이것이 미개인의 경제체제 특징이다. 반면에 우리의 체계는 인간이 쓸 수 있는 수단의 불충분함을 직면한 데서 나오는 절망에 의해, 시장경제와 보편화된 경쟁의 심각한 결과인 근원적이고 파국적인 극도의 불안에 의해, 그것도 기술의 진보와 함께 정점 강하게 특징지어진다.


  미개사회의 특징인 집단전체로서의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과 '낭비성'은 진정한 풍요의 표시다. 우리는 풍요의 기호(signes)만 가지고 있다. 우리는 거대한 생산기구를 통해, 빈곤과 희소성의 기호를 쫓아낸다. 그러나 살린스도 말한 바와 같이 빈곤은 재화의 양이 적은 데 있지 않으며, 또 단순히 목적과 수단의 관계에도 있지 않다. 빈곤은 무엇보다 인간들 간의 관계이다. 미개인들의 신뢰를 뒷받침해주고 또 그들이 기아 상태에서도 풍부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것은 결국 사회 관계의 투명성과 상호부조다. 그것은 자연, 토지, 도구 또는 노동의 생산물 등에 대한 그 어떠한 독점도 교환을 저지한다든가 희소성을 만들어낸다든가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항상 권력의 원천이 되는 축적은 여기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증여와 상징적 교환의 경제에서는 적은 양의, 또 항상 유한한 재화만으로도 보편적인 부를 만들어내기에 충분하다. 왜냐하면 그 재화들은 어느 사람에서 다른 사람에게로 끊임없이 이동하기 때문이다. 부는 재화 속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 간의 구체적인 교환 속에서 생긴다. 따라서 부는 무한하게 존재하는 것이 된다. 제한된 수의 개인들 사이에서도 각 교환의 순환마다 교환된 사물에 가치가 부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의 구체적이고 관계적인 변증법이 문명화되고 산업화된 우리 사회를 측정짓는 경쟁 및 차이화 속에서 결핍과 무한한 욕구의 변증법으로 역전되어 있음을 우리는 볼 수 있다. 미개사회에서의 교환은 각각의 관계가 부를 증가시키는데 비해, 현대의 차별 사회에서는 각각의 사회관계가 개인의 결핍을 증대시킨다. 왜냐하면 소유되는 모든 것은 다른 것들과 비교해서 상대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의 풍요로운 사회에서는 풍요가 상실되었으며, 그 잃어버린 풍요는 한없는 생산성의 증대에 의해서도, 새로운 생산력의 해방에 의해서도 회복되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은 역설적인 것이 아니다. 풍요와 부의 구조적인 정의(定義)는 사회조직 속에 있기 때문에 사회조직 및 사회관계의 혁명만이 이 정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


  - <소비의 사회>(장 보드리야르 · 문예출판사 | 1992년 · 원제 : La societe de consommation, 1970년) p.91~94














  1. 03
    Mar 2023
    15:51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가격 경제(혹은 시장경제)입니다. 이는 곧 재화의 생산과 분배가 여러 시장의 작동에서 나오는 여러 가격으로 통제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모든 유형의 재화에 대해 시장이 존재합니다. 모든 종류의 상품에 대해서는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1
    Read More
  2. 01
    Mar 2023
    22:37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아래에서의 위험-토지 시장과 노동 시장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이상으로 삼아 근접하고자 했던 시장경제란 자기조정을 원리로 삼는다. 이는 본질적으로 토지, 노동, 화폐의 시장들로 구성된 단일의 시장체제이다. (중략) 시장경제에서 비롯되는 위험은 여러 위험은 바로 시장경제의 확립을 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0
    Read More
  3. 24
    Jul 2020
    06:14

    [사회] 칼폴라니 『거대한 변환』 : 노동과 토지, 화폐의 상품화

    (...) 경제가 사회관계 속에 파묻혀 있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 관계가 경제체계 속에 파묻혀 있다. 경제체계가 특수한 동기들을 바탕으로 특별한 지위를 획득하여 독립된 제도들로 조직되면, 사회는 경제체계가 독자적인 법칙에 따라 기능하도록 허용하는 방...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539 file
    Read More
  4.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41 file
    Read More
  5.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94 file
    Read More
  6.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85 file
    Read More
  7. 18
    Jul 2019
    21:17

    [철학] 니체의 「아침놀」 : 사회·국가·경제·정치·노동·법·예술, 그리고 고독

    171. 근대인의 음식물―근대인은 많은 것을, 아니 거의 모든 것을 소화할 줄 안다. 이것이 야심의 근대적인 형태다. 그러나 그가 거의 모든 것을 소화할 줄 모른다면 그는 좀더 고차적일 것이다. 모든 것을 먹는 인간(Homo pamphagus)은 가장 세련된 종이 아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58 file
    Read More
  8. 21
    Aug 2018
    16:1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미개인과 야만인, 그리고 교환

    (...) 역사 안에서 올바르고 진실된 구성의 시점을 찾으면서 불랭빌리에가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던가? 그는 구성의 시점을 법 안에서 찾기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안에서 찾기도 거부하였다. 그것은 반법률주의이고 동시에 반자연주의였다. 불랭...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556 file
    Read More
  9. 07
    Apr 2017
    18:19

    [사회] 소비이론 : 사물과 욕구 · 소비영역

    (...) 경제학자에게서 욕구란 효용이다. 소비를 목적으로한, 즉 재화의 효용을 소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러저러한 특정 재화에 대한 욕구이다. 따라서 욕구는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재화를 통해 터음부터 이미 어떤 목표-끝에 행해지며, 선호(選好)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691 file
    Read More
  10. 07
    Apr 2017
    05:05

    [사회] 생산성의 증대 · 경제성장으로 풍요로와질 수 있을까?

    (...) 살린스에 따르면 수렵채집자들(오스트레일리아, 칼라하리 사막 등에 살고 있는 미개 유목민 부족들)은 절대적인 빈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풍요를 알고 있었다고 한다. 미개인들은 어떠한 것도 소유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에 집착...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21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