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사23] 헤겔의 『역사철학 강의』

by 이우 posted Feb 13, 2013 Views 1397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사철학강의(歷史哲學講義)>(Vorlesungen ?ber die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VPW)이란 독일의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의 주요 작품 중 하나로, 베를린 대학에서 1822년부터 1831년까지, 모두 5회에 걸쳐 행해진 강의를 토대로 하여 쓰여졌다. 이 책은 역사가 이성의 지배를 따르며, 역사의 자연적 과정은 절대정신(絶對精身)의 외화(外化)에 기인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헤겔 철학의 용어로 세계의 역사를 제시하고 있다. 헤겔을 처음 공부하는 학생에게 헤겔의 철학을 소개할 때 <역사철학강의>는 좋은 입문서가 된다. 다른 저작들에서 보이는 헤겔의 난해한 문체가 이 책에서는 비교적 잘 드러나지 않으며, 책의 내용상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사건들을 다루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 책은 헤겔이 죽고 6년이 지나서 학생들의 강의록과 헤겔 자신의 강의노트를 편집하여 1837년에 편집자 에두아르트 간스(Eduard Gans)에 의해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독일어 2판은 원 강연자 헤겔의 아들인 카를 헤겔(Karl Hegel)에 의해 1840년에, 또 독일어 3판은 게오르크 라손(Georg Lasson)에 의해 1917년에 출판되었다.

 

 

헤겔_역사철학.jpg

 

주제 : 정신과 역사

 

  이 책의 많은 부분은 정신(독일어: Geist)이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특징짓기 위해 할애된다. 이 '정신'은 인류의 '문화'와 유사하며, 끊임없이 그 자신을 사회의 변화와 발맞추어 재구성해 나가는 동시에 그 변화를 헤겔이 ‘이성의 간계’라 부르는 것을 통해 생산한다. 이 책의 다른 중요한 주제는 세계의 역사로, 이는 지역이나 국가의 역사라기보다는 '세계' 자체의 역사이다. 일찌기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Johann Gottfried Herder, 1744-1803)나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Johann Gottlieb Fichte, 1762-1814)와 같은 사상가들은 세계의 역사와 국민 의식의 개념과 중요성에 관하여 저술을 남겼으며, 헤겔의 철학은 이 책에서 이러한 추세를 계승해 나간다. 다만, 이 책에서는 정신의 현시로서 인류의 문화사와 지성사의 전 영역을 이해하려 노력했다는 점이 차별화된다.

 

 

역사 발전의 세 단계

 

  헤겔이 말하는 역사 발전의 세 단계는 각각, 현실적으로 개인이 생겨나는 첫 단계, 과거의 세계사적 민족과 접촉하는 가운데 대외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어 국가의 독립과 행복을 구가하는 둘째 단계, 후대의 세계사를 담당할 민족과 맞부딪쳐 쇠퇴와 몰락의 아픔을 맛보는 셋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단계에서는 외부의 앞선 문명으로부터 지식과 문화를 흡수하여 내부에서 일어나는 힘과 융합되며 민족이 차근히 발전해 나간다. 그 끝 무렵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유입과 내부로부터의 분출이 성공적으로 융화되어 선행하는 문명과 대결할 수 있는 독자적 역량을 북돋운다. 둘째 단계에서는 마침내 선행 문명에 대한 승리를 거두어 행복의 시기를 구가하나, 이렇게 민족이 외부를 향하게 되면 내부의 정치기구가 느슨해지고 긴장이 이완되어 내부 분열이 생겨난다. 그러한 단계를 거쳐 마침내 마지막 단계에서는 좀 더 고도의 정신을 소유한 민족과 충돌하여 몰락하게 된다. 헤겔은 이러한 과정을 세계사의 모든 민족에게서 동일한 양상으로 발생하는 보편적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신정론

 

  헤겔은 그의 <역사철학강의>를 명시적으로, 신의 섭리와 역사적인 악의 화해를 다루는 신정론으로서 제시한다. 이것은 헤겔을 역사적 사건들을 보편적 이유의 견지에서 고려하도록 한다: "몇 가지 전제를 승인하면 이러한 것들은 허용되며(중략)그것이 이치에 닿는지 아닌지는 역사철학을 논하는 가운데 증명될 것이기 때문이다. 신의 첫 번째 섭리가 세상 사건들을 관장한다는 것임은 이성의 원리에 걸맞은 진리이다. 왜냐하면 신의 섭리란 세계의 절대적, 나아가 이성적인 궁극 목적을 실현하는 전능한 지혜이기 때문이다. 이성은 지극히 자유롭게 자기를 실현하는 사고인 것이다." 세계는 궁극적으로,  여기에서는 신으로 이해되는 ‘절대정신’이 역사의 승리와 비극 안에서 자신을 알아 가며 그 안에서 완전히 참된 자신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헤겔은 이성의 목표를 변신론적으로 파악하는 과정에 관해서도 언급한다: "변신론은, 세계 안의 해악 일반을 개념적으로 이해하여 사유적 정신과 악이 유화되는 일종의 신의 변명 … 세계사만큼 이와 같은 유화적 인식이 요구되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 이 화해는 … 부정적인 것이 지니고 있는 힘을 잃게 하여 … 긍정적인 인식에 의해서만 달성된다. … 무엇이 진정 세계의 궁극적 목적인가 하는 의식, 다른 한편으로는 그 궁극 목적이 세계 안에 실현되는 과정…, 죄악은 결국에는 그 존립기반을 잃는다는 것을 의식함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 이같은 설명은 세계사를 선과 악에 대한 변증법적 과정으로 파악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자유와 발전

 

  헤겔에 따르면, "세계사란 정신이 스스로를 자유라고 의식하는 자유의식의 발전과정과 이 의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자유의 실현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실현과정은 수천년에 걸쳐서 발전해 온 다양한 문화들을 연구하고 자유가 그것들을 통해 자신을 외화하는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관찰된다. 역사에 관한 설명은 고대 세계에서부터, 헤겔이 그들을 이해한 대로 진행된다. 그의 문명에 대한 설명은 19세기 유럽 학문에 의존해 있었으므로, 피할 수 없는 유럽 중심적 편견을 포함하고 있다. 동시에, 그는 그 특유의 진보 사관에 의해 단순히 고대 문명들과 비유럽 문화들을 업신여기는 것을 굳이 의도했다기보다, 오히려 그것들을 (그것들이 불완전하거나 미개하다면) 절대정신의 외화에 있어서 필수적인 단계로 보았다. 이러한 사관에 입각해서, 다음과 같이 헤겔은 유명하고 논쟁의 소지가 다분한 자유 개념을 주장한다.

 

  “세계의 역사란, 정신이 본래의 자기를 차츰 정확하게 알아가는 과정을 서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동양인들은 정신 그 자체, 또는 인간 자신이 그 자체로서 자유임을 알지 못한다. 자유임을 모르기 때문에 자유롭지 않은 것이다. 그들은 한 사람만이 자유임을 알 뿐이다. … 그리스인에게서 비로소 자유 의식이 등장했다. 따라서 그리스인은 자유로웠다. 그러나 그리스인이나 로마인은 특정 사람만이 자유라고 생각했지, 인간 그 자체로서 자유임은 알지 못했다. … 게르만 국가가 받아들인 그리스도교 안에서 인간이 그 자체로서 자유이며, 정신의 자유야말로 인간의 가장 고유한 본성을 이룬다는 의식이 생겼다.”


  달리 말해서, 헤겔은 역사에서 단 한 사람에게만 자유가 주어지는 전제정으로부터, 자유가 소수의 특권인 상태로, 다시 인간 자신이 그 자체로서 자유라는 굳건한 자유 개념으로 자유의 의식이 진행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헤겔은 인간의 자유정신이 정신과 피치자의 열망을 구체화시킨 대영 제국이나 프러시아와 같은 게르만 민족의 입헌 군주정 하에서 가장 잘 함양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사관 하에서 헤겔의 자유가 "하나, 약간, 전체"로 퍼져나간다는 명제는, 그의 역사철학 전반에 걸쳐서 그가 취한 기본적인 지리적 은유, 즉, "세계사는 동에서 서로 향한다. 유럽은 세계사의 끝자락을 쥐고 있음에 불만이 없으며, 아시아는 세계사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그냥 동쪽이라고 하면 상대적이지만 세계사에서는 절대의 동이 존재한다."에 조응하고 있다. 동양이 언급될 때, 그가 이따금 중국을 언급하고 매우 많은 지면을 인도와 인도 종교를 논의하는 일에 할애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페르시아의 역사적 문화를 염두에 두는 것으로 보인다.

 

  기타의 여러 자유 의식을 가진 민족들과 대비할 목적으로, 서문의 끄트머리 부분에서 헤겔은 흑인에 관해 잠시 언급하기도 한다. 이때 흑인은 자유를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도덕적 감정이 매우 희박하고, 극도로 감각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서문에서는 몇 가지 기본 개념들이 헤겔의 방식으로 정립되고, 후에 탐구할 주제들에 관하여 기본적인 논구가 이루어진다. 헤겔은 먼저 역사 고찰의 종류를 '사실 그대로의 역사', '반성적 역사', '철학적 역사'의 세 가지로 구분하는데, 이때 헤겔이 주장하는 '철학적 역사'란 일반적으로 역사철학이라 불리는 것과 관련이 있다. 헤겔은 사실 그대로의 역사와 반성적 역사가 갖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성이 세계를 지배하고, 세계 역사가 이성적으로 진행한다는 사상'을 철학적 역사의 요지로서 제시한다.

 

 

  □ 세계사적 개인

 

  헤겔은 정신의 본성과 세계사의 진행에 대하여 논하는데, 이에 관해 먼저 중요한 화두로 세계사적 개인이 등장한다. 이에 관해 헤겔의 언급을 들어 보자: "세계사적 개인은 이렇게 저렇게 고민하지 않는다. 아무 것도 고려하지 않고 그 목적을 향하여 한길로 돌진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과 관계없는 일에 대해서는 위대한, 때에 따라서는 신성한 것마저도 경솔하게 다루는 경우도 있다. 이런 태도는 물론 도덕적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위인이, 자신이 가는 길 앞에 놓인 많은 죄 없는 꽃을 짓밟고, 많은 것을 밟아 뭉개는 것도 하는 수 없는 일이다." 즉 헤겔의 개념에서 세계사적 개인은, 세계사적 일반 이념의 실현을 위해 다른 사소한 것들을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는 인물이다. 이와 같은 인간의 행위에서 그가 정념에 사로잡혀 행동하였거나 개인적 명예욕, 정복욕 등에 따라 행위하였다고 비난받는 것은 이러한 일반 이념의 관점에서 볼 때는 사소한 일이다. 또한, 이러한 세계사적 개인들이 활동하는 세계사의 전환기에서 역사는 행복을 생산하지 않는다는 것은 헤겔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세계사에 있어서 행복한 시대란 내실이 없는 시대, 대립 없는 균형의 시대인 것이다. … 절대적 목적 같은 것이 문제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 것이 이성적인 세계질서의 한 계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 … 역사는 행복이 자라는 토양이 아니다. 역사 속에서 행복의 시기는 역사의 빈 페이지이다". 세계사적 개인의 예로, 헤겔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나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같은 예를 든다.

 

 

  □ 국가

 

  헤겔은 현실에서 '정신의 완전한 실현형태'로서 국가를 제시한다. 이때 국가는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공동생활로서, 공동의지 자체로 법, 도덕과 함께 존재한다. 국가는 일반적이고 본질적인 의지와 주관적인 의지의 통일체이고 이 안에서 공동정신이 성립하는 토대가 되는데, 헤겔에게는 이 공동체의 법칙은 우연한 존재(들)이 아니라 '이성' 그 자체라는 점이 중요하다. 그에 따르면, 국가의 목적은 이러한 공동정신이 인간의 현실적 생활이나 심정 안에서 생생히 존재하고 존속하게끔 하는 것이다. 나아가 헤겔은 '국가야말로 절대 궁극 목적인 자유를 실현한 자주독립의 존재'이고, '인간이 지니는 모든 가치와 정신의 현실성은 국가를 통해 주어지'며, '국가는 신의 이념이 지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라는 주장을 한다.

 

 

민족과 정신

 

  서문에서는 민족개념 역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헤겔은 국가를 논의하면서, '세계사에서는 국가를 형성한 민족만을 문제로 삼'으며, '한 민족의 정치체제는 그 종교나 예술, 철학, 또는 적어도 그 겉모습이나 사상, 교양일반과 연관되어 하나의 실체, 하나의 정신을 형성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민족의 일반적인 정체성의 기저를 구성하는 민족정신은 국가로 주어진 공동체와 국가기구 하에서 국가정신과 통일되는데, 이를 통해 개인은 '민족의 자식임과 동시에 국가가 발전하는 한, 시대의 자식'이 된다. 이 민족정신 개념은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본질적인 모습이 신으로 형상화되어 숭배받아, 받아들여지기에 이르면 그것이 종교이고, 상(像)으로서 직관적으로 표현되면 그것이 예술이며, 인식의 대상이 되어 개념화되면 그것은 철학'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교, 예술, 철학은 국가정신과 불가분의 통일을 이룬 민족정신에 의해 태어난 것이므로, 이것들의 현재 형태와 가장 적합한 것은 바로 현재의 이 국가형태가 된다.

 

  그러나, 보편적인 문제의식에 관해서는 한 민족에 한정되는 민족정신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민족이 단지 존속해 있을 뿐일 때는 이러한 보편적인 문제의식이 생겨나지 않는다. 그 민족정신이 어떤 새로운 것을 바라지 않기 때문인데, 헤겔은 이러한 현행 원리를 넘어설 수 있는 원리로서 정신을 제시한다. 헤겔은 보편적 정신이 여러 민족들의 자연사를 거치며 습관화된 생활을 넘어서 자기의 작품이 무엇인지를 알고, 자기를 사고하기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동양 세계와 그리스

 

  헤겔은 동양 세계의 원리가 공동정신이 권위로 등장한다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서 개인의 돌출행동이 권위에 의해 억제되고, 법률은 민의에 관계없이 오직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구성된 강제법이 된다. 즉, 명령을 내리는 의사는 존재하지만 내면의 명령에 따라 의무를 실행할 만한 의사는 존재하지 않고, 정신이 내면성을 획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신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겔은 동양세계를 내면과 외면, 법률과 이해력이 미분화의 상태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종교와 국가 역시 미분화의 상태에 놓이게 되어서, 동양의 국가들은 전체적으로 신정 정치의 형태를 띤다고 주장된다. 동양 세계는 지역적으로 중국, 인도, 페르시아, 이집트의 네 부분으로 나뉜다.

 

  ○ 중국 : 중국은 황제를 국가의 중심으로 하며, 강력한 관료제가 존재하여 자연의 운행과 비슷한 단조롭고 획일적으로 꽉 짜인 행정이 운영되고 있으나, 황제의 인격이 고결하지 못할 경우 도처에서 힘의 누수가 생겨나 무질서가 판을 치게 되는 국가이다. 또한 중국인들에게는 어떠한 미신도 허용할 정도로 내면의 비자립성과 정신적 부자유, 정신의 상실이 나타나 있다고 주장된다. 헤겔은 승려가 점과 무속에 종사하며, <역경>에 나오는 운명의 예언이 사실상 별다를 것 없는 우연한 것인데도 중국인들은 거기에서 마술적인 의미를 찾아내려 하는 것을 그 예로 든다. 헤겔은 중국의 학술 역시, 자유롭고 관념적인 정신의 세계가 그곳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존재하는 것은 경험적인 성질의 것들만이라고 주장한다. 한자는 문자와 소리가 분리되어 있어 그 결합이 매우 불완전하며, 수천 개의 문자를 배우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학문의 진전을 방해할 뿐이다. 중국에서 이와 같이 미숙한 국민을 통제하고 지배하는 원리는 바로 가부장제이다.

 

  ○ 인도 : 인도는 '꿈꾸는 정신'을 원리로 하는, 공상과 감정의 나라이다. 극히 일반적인 범신론을 세계관으로 하여 나와 대상이 서로 대립하지 않고, 그 일반적인 본질이 구별되는 일도 없는 미분화의 상태의 남아 있어서 상호간에 정돈된 관계를 이루지 않는다. 확고한 현실에 뿌리내린 산문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부지런히 역사를 기록하는 중국과는 달리, 인도에서는 윤곽이 확실한 현실적 대상은 하나도 없고 모든 것이 상상력에 의해 분별할 수 없는 것으로 바뀌며, 명확하게 대상을 객관화하는 힘이 부족하여 역사 같은 것은 완전히 무시된다. 또 인도에서는 카스트 제도에 의해 출신 성분이 본질적으로 결정되어 버리므로, 구별에 의해 실현될 것처럼 보이는 자유가 완전히 부정된다. 헤겔은, 인도는 서양세계 전체의 출발점이며 이러한 전파는 역사 이전에 일어난 것이라고 주장한다.

 

  ○ 페르시아 : 페르시아는 중국과 인도가 줄곧 정체되어 자연 그대로의 식물적인 상태로 존속했음에 반해, 역사의 존재를 나타내는 발전과 변혁의 경험을 갖고 있는 지역이다. 헤겔은 발전의 원리가 페르시아 역사와 함께 시작되기 때문에 페르시아 역사가 세계사의 진정한 시작이라고 주장한다. 중국과 인도에서 오직 보편자와의 합일 하에서 의식이 존재했던 상태에서 벗어나 페르시아에서는 비로소 보편적인 것을 대상화하고 의식적으로 그 본질을 파악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난다. 페르시아에서 마침내, 정신은 단순한 자연과의 일체화에서 벗어나고, 자연적 결합과는 구별되는 통일원리, 즉 서로 대립되는 보편자들의 통일이 나타난다.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은 젠드족의 조로아스터교인데, 이 교파의 가르침이 담고 있는 페르시아의 정신은 '빛'과 '어둠'의 형식에 각각 상응하는 아후라 마즈다와 아흐리만의 두 신을 각기 대립하는 보편자로 파악하며, 나아가 그 대립을 극복되어야 할 것으로 여긴다. 이 사유 형식과 함께 정신의 직관이 시작되었고, 정신은 자연에게 이별을 고한다. 헤겔은, 이러한 페르시아적 사상원리의 결점은 대립의 통일이 완전한 형태로 인식되지 않는 점에 있다고 말한다.

 

  페르시아 편에서 헤겔은 시리아인, 페니키아인, 유대인들에 대해서도 묘사한다. 이들에 대한 묘사는 분량이 적고 상대적으로 좀 더 피상적이다. 그러나, 여기서 유대인들에 대한 언급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헤겔은 유대인들이 절대정신을 아직 구체적 정신으로 파악하지 않아서, 구체적인 개인 차원에서는 아직 자유롭지 않다고 논하며, 자기 존재의 본질을 오직 유일신에게만 둔다고 주장한다. 유대교에서는 정신적인 것이 감각적인 것과 단호히 손을 끊고, 자연은 외적인 것, 신성하지 않은 존재로 격하된다. 이러한 토양 하에서 유대민족은 순수한 추상적 사고를 발전시킨다.

 

  ○ 이집트 : 이집트는 페르시아에서 그리스적인 생활로 옮겨갈 때 그 내면적 매개 역할을 한다. 이집트에서는 대립하는 원리들 간의 상호 침투와 해체는 있으나, 이러한 대립자들의 통일은 아직 일어나지 않는다.이집트의 역사는 어마어마한 모순으로 가득 차 있고 신화와 역사가 뒤범벅이 되어 있다. 또한 이집트인 역시 인도인들과 유사하게 몇 개인가의 카스트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이집트의 제도는 그 합리성으로 인해 고대인들로부터 질서있는 공동체의 모범으로 간주되었다. 이때 이집트인들의 정신은 '자기 안에서 스스로를 객관화하려고 하는 무한한 충동을 갖는 아프리카적 과단성'을 기저로 하지만, 이 정신은 사상 안에서 자기 본질을 자유로이 자각하지 못하고, 정신의 본질은 단지 과제 또는 수수께끼로 내세워져 있는 데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된다.

 

  ○ 그리스 세계 : 헤겔은 그리스 세계를 세계사의 청년기에 비유하며, 이 그리스 세계에서 정신은 비로소 스스로를 의지와 지식의 내용으로 삼는 데까지 성숙하고, 국가, 가족, 법, 종교가 동시에 개인의 목적이 되며, 개인은 그것들과 관계함으로써 개인으로서 인정을 받는 관계가 성립한다고 말한다. 헤겔은 그리스 문화에 있어서 여러 청년적인 요소들을 강조하며, 윗부분에서 논한 역사 발전의 세 단계를 여기서 제시한다.

 

 

 


  1. 18
    Jul 2018
    08:32

    [사회]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 : 생명 · 공동체 · 노동력 교환 · 재산의 공유

    (...) "농부, 닭 잡아와." 어린 농부는 지체 없이 달려가서 애를 쓰다가 닭 한 마리를 잡아 왔다. 손쉽게 닭의 양 발을 붙잡은 농부는 곧 점심거리가 될 닭을 엄마에게 넘겨 주었다. 구미는 닭의 다리를 묶고 옆으로 눕혔다. 나는 의아했다. 구미가 닭을 그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824 file
    Read More
  2. 18
    Jul 2018
    06:24

    [사회]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 : 세이세이

    (...) 모쒀족의 이야기 중 가장 인상 깊은 것은 이들의 사랑이야기다. 이들은 걷는 결혼, 즉 '주혼'이라는 상상치 못했던 방식으로 사랑을 나눈다. 주혼은 모쒀인들의 삶의 방식 중 가장 자주 오르내리는 주제다. 인류학자와 사회학자들은 이 현상을 집중적으...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379 file
    Read More
  3. 18
    Jul 2018
    04:55

    [사회]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 : 모쒀 남자도 멋지다

    (...) 이 말(편집자 주: 종난취뉘, 重男輕女)을 빌려와 약간만 바꾼다면 모숴 사회 속 여아와 남아의 지위를 가장 잘 드러낸 말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바로 '종뉘부친난(重女不輕男)'이다. 문자 그대로 '여아를 중시하지만 남아를 경시하지 않는다'라는 뜻이...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5354 file
    Read More
  4. 18
    Jul 2018
    03:19

    [사회]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 : 모쒀 여자는 멋지다

    (...) 모쒀 여성은 팔색조다. (중략) 모쒀 여성들은 외모를 과시하지 않았다. 수수하게 입고, 팔찌나 부적이 들어 있는 소박한 목걸이 정도를 제외하면 장신구를 하지 않았다. 다른 여성들과 경쟁적으로 미모를 가꾸는 다른 문화권과는 달리, 모쒀 여성들은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335 file
    Read More
  5. 13
    Jul 2018
    03:55

    [문학] 『사포(SAPPHO)』 : 레즈비언 · 멘토 · 멘티 · 동성애 · 페미니즘 · 여성운동 · 종교

    (...) 레스보스 태생의 사포(기원전 615~570/60년경)가 창작한 문학작품은 전문가들과 애호가들 사이에서 이구동성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비록 그녀가 쓴 방대한 작품들 중에서 우리에게 남겨진 것은 소수에 불과하지만, 그 소수의 작품들과 얼마 안 되...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3844 file
    Read More
  6. 07
    Jun 2018
    05:21

    [문학] 『나의 우파니샤드, 서울』 : '여성'이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自序 시는 아마 길로 뭉쳐진 내 몸을 찬찬히 풀어, 다시 그대에게 길 내어주는, 그런 언술의 길인가보다. 나는 다시 내 엉킨 몸을 풀어 그대 발 아래 삼겹 사겹의 길을…… 그 누구도 아닌 그대들에게, 이 도시 미궁에 또 길 하나 보태느라 분주한 그대들에게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1445 file
    Read More
  7. 05
    Jun 2018
    05:09

    [문학] 『미덕의 불운』 : '사회체'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그들 중 한 사람의 목소리가 들려 왔습니다. “열두 살이나 열세 살이 된 아이의 신경에 고통을 가하는 순간, 즉각 그 아이의 몸을 가르고, 아주 조심스럽게 관찰하지 않으면, 절대 그 부분은 해부학적으로 완벽히 밝혀질 수 없어. 쓸데없는 생각 때문에...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36915 file
    Read More
  8. 05
    Jun 2018
    05:05

    [문학] 『미덕의 불운』 : '종교체'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모든 종교는 거짓된 원칙에서 출발하고 있어요, 쏘피.’ 그가 말하였습니다. “모든 종교는 창조자에 대한 숭배를 필요 조건으로 하고 있어요. 그런데 만약, 이 우주 공간의 무한한 평원에서 다른 천체들 속에 섞여 둥둥 떠다니는 우리의 영원한 지구가,...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40873 file
    Read More
  9. 05
    Jun 2018
    04:55

    [문학] 『미덕의 불운』 : '자연'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아가씨의 그 어처구니없는 논리가 얼마 안 가서 아가씨를 병원으로 데려가고 말거예요.’ 뒤부와 부인이 눈살을 찌푸리며 말하였습니다. “분명히 말하건대, 하늘의 심판이라든지, 천벌, 아가씨가 기다리는 장래의 보상 등, 그 모든 것은 학교의 문턱을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3344 file
    Read More
  10. 03
    Jun 2018
    20:30

    [철학] 『향락의 전이』 : 뭉크와 여성의 비밀

    (…) 1893년 뭉크*는 오슬로(Oslo)의 와인 장사꾼의 아름다운 딸과 사랑에 빠졌다. 그녀는 매달렸으나 그는 결합을 두려워 해 결국 그녀를 떠났다. 폭풍우 치던 어느 날 밤, 범선이 그를 데리러 왔다. 젊은 여성이 죽음에 임박하여 마지막으로 그에게 말하기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078 file
    Read More
  11. 03
    Jun 2018
    20:20

    [철학] 『향락의 전이』 : 오토 바이닝거, “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공중들이 철학자가 성교를 한다고 해서 무가치하고 품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희망해보자…”(237)*. 이러한 진술은 바이닝거*의 작업에 일종의 좌우명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는 성차와 성관계를 철학의 중심 주제로 격상시켰다. 그러나 그가...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50 file
    Read More
  12. 28
    May 2018
    09:15

    [철학] 『향락의 전이』 : 상상적 과잉성장, 상징적 허구 혹은 창조적 허구

    (...) 현대적 매체의 문제는 우리가 허구와 현실을 혼동하도록 유혹하는 데 있지 않고 오히려 그 매체의 초현실적 성격에 있으므로 그것들은 상징적 허구를 위한 공간을 개방하는 공동을 채운다. 상징계는 그것이 궁극적으로 허구의 지위를 가지기 때문에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142 file
    Read More
  13. 03
    May 2018
    09:26

    [철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 왕도정체 · 귀족정체 · 금권정체 · 참주정체 · 혼합정체 · 민주정체

    제10장 정체의 종류 (...) 정체(政體)에는 세 종류가 있고, 그것들이 왜곡된 또는 타락한 형태도 셋이다. 세 종류의 정체란 왕도정체와 귀족정체(aristokratia, 최선자정체), 그리고 세번째로 재산평가에 근거한 정체이다. 세번째 정체는 금권정체*라고 부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9541 file
    Read More
  14. 03
    May 2018
    08:37

    [철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 분배적 정의(正義, justice)와 조정적 정의, 정치적 정의

    제3장 기하학적 비례에 따른 분배적 정의 (...) 분배에서의 정의는 어떤 가치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데는 누구나 동의한다. 그러나 누구나 같은 종류의 가치를 염두에 두지는 않는다. 민주정체 지지자들은 자유민으로 태어난 것이, 과두정체 지지자들은 부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07 file
    Read More
  15. 02
    May 2018
    20:54

    [철학] 『도래하는 공동체』 : 도래하는 존재는 임의적 존재이다

    (...) 도래하는 존재는 임의적 존재이다. 스콜라 철학이 열거하는 초범주개념들 가운데 개별 범주 내에서 사유되지 않지만 다른 모든 범주의 의미를 조건 짓는 단어가 바로 형용사 ‘쿼드리벳(quodlibet)*’이다. 이 단어를 통상 “어떤 것이든 무관하다”는 뜻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925 file
    Read More
  16. 02
    May 2018
    20:52

    [철학] 『도래하는 공동체』 :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모순은 언어에 기원을 둔다

    (...)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모순은 언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실제로 '나무'란 단어가 모든 나무를 무차별적으로 지칭할 수 잇는 것도 그 단어가 특이한(singular) 불가언적적 나무들 대신에 그들의 보푠적 의미를 가장하기 때문이다. (...) 보편자와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686 file
    Read More
  17. 02
    May 2018
    20:49

    [철학] 『도래하는 공동체』 : 파시즘과 나찌즘은 극복된 것이 아니다

    (...) 만일 우리가 인류의 운명을 다시 한 번 계급의 개념으로 사유하고자 한다면 오늘날에는 더 이상 사회 계급이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모든 사회 계급이 용해되어 있는 단일한 행성적(planertaria) 소시민 계급 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88 file
    Read More
  18. 02
    May 2018
    20:47

    [철학] 『도래하는 공동체』 : 모든 귀속의 조건을 거부하는 임의적 특이성

    (...) 중국의 5월 시위(천안문 광장의 반정부 시위)에서 가장 인산적이었던 점은 그들의 요구 사항에서 확실한 내용이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는 점이다. 민주주의 자유는 실제 투쟁 대상이 되기에 너무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개념들이었고 유일하게 구체적인 요...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291 file
    Read More
  19. 01
    May 2018
    15:02

    [철학] 플라톤의 「향연」 : 사랑은 결핍이다

    (...) "친애하는 아가톤, 자네는 먼저 에로스가 어떤 분인지 밝힌 다음 그분이 하는 일을 논하겠다고 말함으로써 이야기를 훌륭하게 시작한 것으로 생각되네. 자네가 그렇게 이야기를 시작한 것에 나는 감탄을 금할 수 없었네. 자네는 그분이 어떤 분인지 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5898 file
    Read More
  20. 26
    Apr 2018
    03:49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의미, 그것은 사용이다.

    오이디푸스와 믿음 (...) 중요한 것은, 오이디푸스는 잘못된 믿음이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이란 것이 필연적으로 잘못된 어떤 것이요, 실효적 생산을 빗나가게 하고 질식시킨다고 말하는 것이다. 바로 이런 까닭에 견자(見者)란 가장 덜 믿는 자이다. 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042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