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인정투쟁 : 이 환원적인 철학을 보라. 우리는 인정하거나 인정받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by 이우 posted Jun 19, 2017 Views 1944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인정투쟁.jpg


  (...) 헤겔은 개인적 의지가 자신을 살아 있는 주체로 경험할 수 있는 첫 번째 발전단계, 즉 사랑이라는 인정 관계 또한 그 내적 경험 잠재력을 확장하는 두 가지 형식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한다. 우리가  본 바와 같이 에로틱한 사랑 관계가 확립되면서 '타자 안에서 이루어지는 자기 인식'은 두 당사자의 공통된 인식으로 발전한다. 이제 상호 주관적으로 공유된 인식은 제도적인 부부관계에서 나타나는 협동적 행위를 통해 다시 한 번 반성적 형태를 취하게 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인식은 대상적인 '제삼자' 속에서 실현되기 때문이다. 도구를 통한 개인의 노동과 마찬가지로 부부간의 사랑에서 '가족 소유'는 이 사랑을 '지속적 존속 가능성'으로 보게 하는 매체이다. 물론 노동 도구와 마찬가지로 가족 소유에는 한계가 있다. 즉 가족 소유라는 매체는 그 속에 구현되어 있는 경험 내용을 생명력 없게, 무감정하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하지 못하다. 즉,

  "그러나 이 대상은 아직 그에 대한 사랑을 담고 있지 못하다. 오히려 사랑은 극점들로 나누어져 있다. (...) 사랑 자체는 아직 대상이 되지 못한다."(Hegel, Jenaer Realphilosophie, p.203)

  그러므로 서로 사랑하는 부부는 외적인 매체를 통해 자신의 사랑을 제한 없이 느끼기 위해서 공동의 대상화라는 단계를 필요로 한다. 즉 후손의 탄생을 통해 '인식하는 인식'이 된다. 왜냐하면 부부는 아이를 통해 상대방의 사랑을 서로 알고 있다는 살아 있는 증거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헤겔은 여기서 완전히 고전적인 시민가족 이론가로서 자식을 남녀 간의 사랑이 낳은 가장 고차적인 구현물이라고 생각한다.

  "자식 속에서 부부는 사랑을 직관한다. 자식은 그들이 스스로 의식한 자기 의식의 통일체이다."(Hegel, Jenaer Realphilosophie, p.204)

  물론 헤겔에게는 사랑의 이러한 다양한 전개 형식 중 그 어느 것도 주관적 정신이 자신을 권리 인격체로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경험 맥락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물론 사랑 관계 속에서 성장한 최초의 상호 인정 관계는 이후의 모든 정체성 발전의 필연적인 전제이다. 왜냐하면 이 인격관계는 개인의 특수한 성향을 인정하고, 따라서 각 개인에게 포기할 수 없는 자기신뢰를 갖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족과 같이 협소하고 제한된 상호작용의 틀 속에서 주체가 한 사회의 사회적 맥락 속에 상호주관적으로 보증된 권리의 기능을 배우지는 못한다. (...) 왜냐하면 가족구성원에 대한 사랑관계 속에서 주관적 정신은 사회적 교류를 규율하는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규범들을 고려할 수밖에 만드는 식의 투쟁에 방해받지 않기 때문이다. (...) 따라서 헤겔은 주체의 형성과정을 세계에 대한 실천적 관계라는 추가적인 차원으로 확대할 수밖에 없었다.(...)

  주체는 가족이라는 인정관계 속에서 아직 자신을 권리 인격체로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헤겔은 주체를 이론적으로 사회적 영역으로 옮겨 놓는다. 이 사회적 영역의 현 상태는 적어도 외적으로 볼 때는 자연상태론에서 확립된 상황에 부합한다. 헤겔은 여기서 현명하게도 새로운 의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정신의 행위로 근거 지우려 하지 않고, 이를 오히려 단순한 방법적 조치라고 생각한다. 즉 한 가족에게 일련의 가족정체성은 부차적인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공동생활의 최초 상태가 도출된다. 함께 현존하는 각각의 가족이 한 마지기 땅이라도 자신의 경제적 재화로 장악하려 하는 한, 필연적으로 한 가족은 다른 가족이 자기 땅을 공동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수많은 가족 사이에는 일종의 사회적 경쟁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이러한 경쟁은 일견 자연법적 전통 속에서 기술되었던 바로 그 경쟁 상태(홉스의 '만인 대 만인의 투쟁)에 상응한다.

  "이러한 상태는 흔히 자연상태로 불린다. 여기서는 자유롭고 동등한 존재인 개인들이 서로 대립하고 있다. 여기서 자연법은 이 관계 속에서 개인들이 어떠한 권리와 의무를 상대방에 대해 갖고 있는가에 대해 대답해 주어야 한다."(Hegel, Jenaer Realphilosophie, p.205)

  (...) 헤겔은 하 걸음 더 나아가 상호경쟁이라는 위협적 상황에서 주체들이 어쩔 수 없이 갖게 되는 과제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홉스의 유명한 문장을 동조하는 투로 인용한다.

  "그들의 유일한 상태는 그러나 바로 이러한 상태를 지양하는 것이다. 즉 자연상태에서 탈출하는 것이다. (...) 권리란 타인에 대한 행위 속에 있는 개인의 관계이며, 이들이 자유롭게 존재하기 위한 보편적 요소이거나 이들의 공허한 자유에 대한 규정 또는 제한이다. 이러한 관계 또는 제한은 내가 스스로 생각해내거나 외부에서 끌어들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 대상 자체는 권리 전체, 즉 인정관계의 산물이다."(Hegel, Jenaer Realphilosophie, p.205)

  마지막 문장이 지적하고 있는 것은 자연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를 전통이론과는 다르게 파악하는 설명 틀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헤겔의 생각이다. 우리는 그의 사고과정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만약 기존의 전통적 사고와는 달리 주체들이 적대적 경쟁이라는 사회 조건 아래서도 스스로 사회계약 이념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식의 법적 갈등 해결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면, 우리는 최소한의 규범적 동의를 사전에 보장해주는 상호주관적 사회관계에 대해 이론적으로 주목해야 한다. 왜냐하면 사회적 관계의 토대를 이루는 계약 이전의 상호인정 관계만이 도덕적 잠재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덕적 잠재력은 자신들의 자유 영역을 서로 제한하려는 개인들의 자세를 통해 적극적으로 실현된다. (...) 자연 상태라는 사회적 상태에게 필연적으로 덧붙여 고려해야 하는 사실은, 주체들이 투쟁에 앞서서 어떤 방식으로든 서로를 인정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헤겔은 이미 그가 인정관계의 중요성을 지적했던 문장과 다음과 같은 주장을 직접 연결한다.

  "인정 행위 속에서 나는 개별자가가 아니다. 나는 당연히 인정 행위 속에서 존재하며, 더 이상 매개 없는 현존재가 아니다. 인정된 자는 이 존재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효하게 인정된 것이지만, 바로 이 존재는 개념상 산출된 것이며, 필연적으로 인정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필연성은 인간 본유의 것이며, 내용과 대립하는 우리 사고의 필연성이 아니다. 인간 자체는 인정 행위로서의 운동이며, 이러한 운동이 바로 인간의 자연 상태를 극복한다. 즉 인간은 인정 행위다."(Hegel, Jenaer Realphilosophie, p.205)

  (...) 그가 제시하는 결정적인 논거에 따르면, 모든 인간의 공동생활은 주체들 사이의 일종의 기초적인 상호 긍정을 전제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렇지 않을 때에는 어떠한 식의 '함께 존재함'도 성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호 긍정이 항상 어느 정도 개인의 자기 제한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기서는 아직 암묵적이지만 권리 의식의 최초의 형태가 대두한다. (...)

 - <인정투쟁-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악셀 호네트 · 사월의책 · 2011년, 원제 : Kampf um Anerkennung) p.90~98











  1. 18
    Sep 2018
    02:52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2 : 에피쿠로스, 루크레티우스, 그리고 디오게네스

    (...) 객관적 진리에 집착하는 한 지식은 모조리 헛소리일 뿐이다. "진리를 묻기 전에 누가 진리를 묻는지를 물어라.' 이런 니체의 반지식적 입장은 이미 2천년 전에 배태된 것이다. 말이 나온 김에 덧붙이자면 "신은 죽었다"는 말도 니체가 원조는 아니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66907 file
    Read More
  2. 18
    Sep 2018
    02:37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1 : 탈레스에서 데모크리토스까지

    (...) 메소포타미아의 고대인들이 불멸의 것에 큰 가치를 둔 이유는 현세 이외에 어딘가 내세가 있으리라는 종교적 믿음 때문이다. 같은 시기의 이집트인들이 죽은 사람의 무덤에 내세의 길잡이인 <사자의 서>를 넣은 것과 같은 이유다. 고대인들에게는 그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201 file
    Read More
  3. 07
    Sep 2018
    12:29

    [철학] 힐링(Healing)과 쇼펜하우어. 현대인은 '쇼펜하우어'이거나 '키에르케고르'일 지 모른다

    (...) 헤겔이 최고의 명성을 누리던 시절에 헤겔과 같은 강의 시간에 자신의 강의를 배정할 만큼 그의 권위에 도전하는 자세를 보였던―수강생의 수에서는 심하게 밀렸지만―쇼펜하우어(Althur Schopenhauser, 1788~1860)는 헤겔과 정반대인 비관주의적 입장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019 file
    Read More
  4. 24
    Aug 2018
    13:22

    [철학] 『말과 사물』 : 유사(類似)와 상사(相似), 그리고 기호(記號)

    1. 네 가지 유사성 (...) 16세기 말엽까지 서양 문화에서 닮음의 역할은 지식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에 대한 주석과 해석을 대부분 이끈 것은 바로 닮음이다. 닮음에 의해 상징 작용이 체계화되었고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 사물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47 file
    Read More
  5. 21
    Aug 2018
    18:0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의 전개(규율권력 · 생물권력 · 인종주의)

    (...) 생물정치는 규율적 메커니즘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들을 작동시키기 시작했다. 생물정치에 의해 작동된 메커니즘은 우선 예측과 통계, 그리고 전체적인 측정 다음에 그런 특정 현상이나 개별적인 개인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반적이고 글로벌한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847 file
    Read More
  6. 21
    Aug 2018
    16:1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미개인과 야만인, 그리고 교환

    (...) 역사 안에서 올바르고 진실된 구성의 시점을 찾으면서 불랭빌리에가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던가? 그는 구성의 시점을 법 안에서 찾기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안에서 찾기도 거부하였다. 그것은 반법률주의이고 동시에 반자연주의였다. 불랭...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556 file
    Read More
  7. 21
    Aug 2018
    15:22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봉건제의 발생 · 절대왕정제의 탄생

    (...) 로마인 문제 다음으로 내가 불랭빌리에의 분석 예로서 들고 싶은 것은, 그가 프랑크족에 관해 제기한 문제이다. 골에 들어온 프랑크인은 과연 누구인가? 내가 방금 여러분에게 했던 질문, 즉 비교적 적은 숫자로 골에 침입하여 그때까지 강했던 제국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7 file
    Read More
  8. 19
    Aug 2018
    02:41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주권의 문제 · 홉스의 리바이어던

    (...) 오늘은 16세기말과 17세기초에 어떻게 전쟁이 권력관계의 분석틀로 나타나기 시작했는지를 살펴보겠다. 물론 여기서 우리가 곧장 만나는 하나의 이름이 있다. 홉스의 이름이 그것이다. 그는 일견 전쟁관계를 권력관계의 원칙과 기초로 삼은 사람인 것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40 file
    Read More
  9. 18
    Aug 2018
    06:49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계보학 · 인종주의적 담론의 역사

    (...) 내 생각에는 중세의 전통적인 세 축 안에서 역사적 담론의 이 두 기능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계보학적 축은 왕권의 유구함을 말해주고, 위대한 선조들을 일깨워주며, 제국이나 왕국의 개국 영웅들의 위엄을 다시 발견하게 한다. 이런 식의 계보학...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337 file
    Read More
  10. 05
    Aug 2018
    12:45

    [철학] 『담론의 질서』 : 나눔의 문제, 분절(articulation)

    (...) 나눔의 문제는 학문의 세계에서나 일상적인 삶의 세계에서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의 철학적 사유가 처음으로 개화할 때 우리는 존재의 문제에 부딪힌다. '왜 존재할까?'라는 물음은 해결할 수 없는 궁극적인 물음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503 file
    Read More
  11. 02
    Aug 2018
    17:49

    [철학] 『담론의 질서』 : 배제(exclusion)의 과정(금기, 분할과 배척, 진위의 대립)

    (...) 어떤 사회든 담론의 생산을 통제하고, 선별하고, 조직화하고 나아가 재분배하는 일련의 과정들―그의 힘들과 위험들을 추방하고, 그의 우연한 사건을 지배하고, 그의 무거운, 위험한 물질성을 피해 가는 역할을 하는 과정들―이 존재한다. 유럽과 같은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51 file
    Read More
  12. 01
    Aug 2018
    22:57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헤미안 · 여행 · 산책자 · 구경꾼

    (...) "내가 이해하기로 보헤미안들이란 사는 것이 문제이고, 그들을 둘러싼 상황이 신화이며, 재산은 수수께끼에 휩싸여 있는 개인들의 계층을 가리킨다. 그들은 도대체 정해진 거처도, 공인된 안식처도 없다.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지만 어디에서든 만날 수...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931 file
    Read More
  13. 30
    Jul 2018
    23:39

    [문학]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들레르

    (...) 나다르는 1843년~1845년에 보들레르가 살던 피모당 호텔 근처에서 그를 만났을 때의 복장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반작반짝 윤이 나는 장화 위에 바짓가락을 바짝 댄 검은 바지, 농민과 서민들이 입던 조잡하고 헐렁한 옷, 인부들이 주로 입는 청색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47624 file
    Read More
  14. 28
    Jul 2018
    14:24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도시재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휴가 강박증

    (...) 나플레옹 3세 치하에서 파리의 근본적인 개조는 무엇보다 콩코르드 광장과 시청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이루어졌다. 아마 70년전쟁(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은 파리의 건축상의 경관을 위해서는 하늘의 축복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나플레옹 3세는 모든 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288 file
    Read More
  15. 25
    Jul 2018
    12:25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양태(modus) · 변용(affections) · 감정(affectus, affects)

    (1) 변용들은 양태들 그 자체다. 양태들은 실체 혹은 그 속성들의 변용들이다(<윤리학>, 1부, 명제25, 보충 : 1부, 명제 30, 증명). 이 변용들은 필연적으로 능동적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적합한 원인으로서의 신의 본성에 희해서 설명되는데, 신은 수동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7810 file
    Read More
  16. 25
    Jul 2018
    11:09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추상(abstractions, abstractions)

    (...) 핵심은 스피노자가 <윤리학>에서 확립하고 있는 추상 개념과 공통 개념 사이의 본성의 차이이다(2부, 명제 40, 주석1). 공통 개념은 서로 적합한 신체들, 다시 말해 법칙들에 따라 자신들의 각 관계를 결합하고 이 내적인 적합 혹은 결합에 상응하여 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81730 file
    Read More
  17. 24
    Jul 2018
    16:57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슬픔과 기쁨, 나쁨과 좋음, 그리고 윤리(Ethics)

    (...) 슬픔에는 부정적이지도 외적이지도 않은 환원불가능한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체험된 실제적인 이행, 지속이다. <나쁨>의 궁극적인 환원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행위 능력 혹은 변용 능력의 감소로서의 슬픔이다. 이 슬픔은 악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10 file
    Read More
  18. 19
    Jul 2018
    09:27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③

    (...) 일어난 모든 것이 자신들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킨 다음, 사람들은 모든 사물들 안에서 그들에게 가장 유용했던 것을 특별한 것으로 판단해야 했고, 또한 그들에게 가장 큰 이익을 주었던 것을 가장 탁월한 것으로 평가해야 했다.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38013 file
    Read More
  19. 19
    Jul 2018
    08:31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②

    (...) 이제는 자연이 자신 앞에 설정한 어떠한 목적도 없고 모든 목적인은 인간이 꾸며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논의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왜냐하며 정리161)과 정리 32의 따름정리2)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이 편견이 그 기원을 어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3125 file
    Read More
  20. 19
    Jul 2018
    06:56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①

    (...) 그들은 신이 모든 것을 인간 때문에 만들었으며 또한 신이 자신을 공경하기 위해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내가 고찰할 첫번째 논점은 우선 왜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런 편견에 만족해 하며 또한 모든 이들이 왜 같은 편견을 그렇게 자연스럽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8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