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다이너마이트 니체 : 아, 이 위험하고 아름다운 '여성'

by 이우 posted May 23, 2017 Views 155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다이너마이트니체.jpg


  (...) 여성이란 무엇인가. 니체는 우선 여성 자체를 남성적 '계몽'과 대비한다. '계몽'이란 한 마디로 여성을 남성화하려는 시도이다. 계몽된 여성, 학문적 여성은 여성으로서 퇴화한 여성이다. 여성에게 학문(과학)은 본성상 맞지 않다. 학문의 권태로움이나 무례함은 여성에게는 끔찍한 것이다. 게다가 여성에게는 계몽하기 힘든, 다시 말해 문명적으로 길들이기 힘든 성향이 많다. "여성에게는 현학적인 것(세세하게 따지는 것), 표면적인 것, 교사 같은 것(까다로운 것), 작은 주제넘은 것, 작은 방종, 그리고 작은 불손함 등이 감추어져 있다. 그럼에도 여성이 무언가를 '말하고', '쓴다면', 그것은 '자신을 꾸미기 위해서'이거나(자신을 꾸미는 것이야말로 영원히 여성적인 것에 속한다), "자신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이다. 말하자면 '지배'를 위한 것이지 '진리'를 위한 것이 아니다. "여성에게 진리가 뭐가 중요하단 말인가!" 우리 정신의 '근본 의지'가 그렇듯이, 여성은 지배하기 위해 확대하고 축소하고 꾸며댄다. "여성의 큰 기교는 거짓말이요, 최고 관심사는 가상과 아름다움이다."

  따라서 '계몽'이니 '이성'이니 '말'이니 하는 것들은 결코 여성적이지 않다. 니체는 더 고발적으로 말한다. "나는 '여성'은 여성에 대해 침묵해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이야말로 여성의 친구라고 생각한다." 니체는 <차라투스트라>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여기서 '여성'에 대한 침묵을 가르쳤던 사람은 '늙은 여인'이다. "기이한 노릇이다. 여성들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는 차라투스트라인데도 여성들에 대한 그의 이야기는 옳으니! 그런 일은, 여성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가?" 그리고는 차라투스트라에게 '작은 진리', 즉 '여성에게 가려거든 채찍을 잊지 말라"는 말을 선물한다. 재미 있는 것은, 늙인 여인이 작은 진리가 "너무 소리치지 않도록" "입을 막으라"고 했다는 점이다. 차라투스트라의 '늙은 여인'은 언뜻 여성에 관해 두 가지 상반된 주장을 했다. 차라투스트라의 말이 옳은 이유가 '여성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에 관한 진리에 대해서는 "입을 막으라고 했다"고 했다. (...) 나는 이렇게 해석한다. 모든 말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성에 대한 '하나의 말'은 진리가 아니다. 즉 여성에 대한 '하나의 말'을 보편적 진리인 양 떠들어대는 말들은 여성이 내뱉을 때조차 독단적 남성의 말이다. (...)

  그러나 불행히도 여성 자신조차 여성을 착각한다. 이것은 '여성'이 '여성적인 것'애 너무 가까워일 수도 있다. 여성은 스스로 여성이라는 이유로 여성의 진실을 너무나 확신할 때가 있다. 그러나 여성적 진실을 믿는 한에서는 '하나의 말'을 보편적 진리인 양 던지고 싶어하는 독단적 남성을 닮는다. 여성이 진리, 깊이, 정의에 대한 편견에 빠져들 때, 다시 말해 오류와 위장, 거짓의 중요성을 망각할 때 이런 ㅇ리이 일어난다. 마치 생존에 있어 오류와 위장, 거짓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망각한 생명체처럼 위험한 일이다.

  니체의 여성비판, 특히 당대 페미니즘 비판은 이런 맥락에서 제기된 것이다. 그는 여성에 대한 자신의 착각, 여성이 여성 자신에게 갖는 독단성을 비판하고, 계몽과 진리에 관심을 가질 뿐 삶의 육성, 즉 '섭생'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여성, 아이를 '육성하는' 지혜를 잃어버린 여성을 문제 삼았다. 남성의 여성에 대한 착각은 말할 것도 없다. '영원히-여성적인 것, 남성들은 여전히 그러한 것을 '믿는다'. 이를테면 괴테는 <파우스트>에서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를 끌어올린다"고 했다. 하지만 절대적 헌신을 상징하는 영원한 여성은 남성의 유치한 몽상일 뿐이다. 니체에 따르면 남성이 자신의 '이상'을 투여한 '영원히 여성적인 것', 남성이 구원자로 상상하는 '여성이 여성적인 것'이란 "남자들만이 믿는 공상된 가치일 뿐이다." 오히려 '고상한 여성'이라면 이런 의미에서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란 '영원히 남성적인 것'임을 알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니체에 따르면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란 '꾸밈'과 '거짓'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남성은, 여성(진리, 자연, 본성)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니체는 <선악의 저편> 서문에서 '진리'에 대한 '철학자'의 잘못된 태도를 '여성'에 대한 '독단적 남성'의 태도에 비유한 바 있다. 237절은 이 비유를 다시 연상시킨다. 니체에 따르면 "이제까지 남성들은 여성들을 어떤 높은 곳에서 그들에게 잘못 내려온 새처럼 취급했다. 그것은 섬세하고 상처받기 쉽고 거칠며, 경이롭고 감미롭고 영혼이 넘치는 어떤 것"이었다. 남성들은 모두 이 새를 붙잡아 자기 것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새를 놓치거나 죽여 버렸다.

  '여성'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법, '여성을 통해 자신의 아이'를 낳는 법을 보여준 것은 아시아의 남성이었고, 또 '아시아를 휼륭하게 계승한 그리스'였다. 그리스 남성들은 혹독한 경쟁과 훈련, 강제 속에서만 여성(진리, 자연, 본성)을 다룰 수 있고 또 여성에게 다가갈 수 있음을 깨달았다. <차라투스트라>의 '늙은 여인'의 말을 빌리자면 여성에게 갈 때 우리는 '채찍'을 준비해야 한다. 무용수가 자유로운 발끝을 그렇게 얻었듯이 여성은, 자연은, 진리는 그때 우리에게 아이를, 즉 '새로운 우리 자신'을 낳아줄 것이다.

  그러나 니체는 오늘날 '여성'에게는 이런 면이 사라지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를 무르익게 하고, 우리의 아이를 낳아줄 비밀, 신비, 자연이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여성의 퇴화'는 물론 '남성의 퇴화'와 관련이 있다("남성 안에 잇는 남성을 더 이상 원하지 않고 남성이 크게 육성되지 않을 때"). '여성의 퇴보'와 '남성의 어리석음'은 동시대의 산물이다. 니체에 따르면,오늘날 자립한 여성, 해방된 여성이란 자립을 위해 점원이 되어야 하는 여성, 즉 "점원으로서의 여성"일 뿐이다. 현대의 여성은 '왜소한 남성'이 되고 말았다.

  제7장을 마무리하는 것은 '여성'이다. 내 생각에 니체는 '도래하는 철학자', '미래의 철학자', '우리, 새로운 신앙을 가진 자'만큼이나 '여성'을 사랑한다. 물론 모든 여성을 사랑하는 것은 아니다. 그가 사랑하는 여성은 이런 여성이다. "여성에게서 존경과 때로는 공포마저 일으키는 것, 그것은 남성의 자연보다 더 '자연적인' 그녀의 자연이며, 이러한 것으로는 진정으로 맹수같이 교활한 유연함과 장갑 아래 숨겨진 호랑이 발톱, 이기주의의 단순함, 교육시키기 어려운 속성과 내적인 야성, 욕망과 덕성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것, 폭넓은 것, 방황하는 것이 있다. (...) 이와 같은 여러 공포에도 불구하고 이 위험하고 아름다운 고양이인 '여성'에게 동정을 갖게 하는 것은 다른 어떤 동물보다 '여성'이 더 고통받고 상처받기 쉬우며, 사랑을 욕구하고 환멸하게끔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여성'은 매력을 급속히 잃어가고 있다. 우리에게 희망이 있는가, 우리에게 다른 역사가 가능한가. 니체는 '유로파'와 '뿔 달린 짐승'의 우화로 우리에게 희망과 우려를 전한다. "오, 유로파여! 유로파여! 너에게는 언제나 매력 있었으며 너를 거듭 위험에 빠뜨리던 뿔 달린 동물을 우리는 알고 있다! 너의 낡은 우화가 다시 한 번 '역사'가 될 수 있을지 모른다." (...)

 - <다이너마이트 니체-고병권과 함께 니체의 《선악의 저편》을 읽다>(고병권 · 천년의상상 · 2016년) p. 281~287












  1. 18
    Sep 2018
    02:52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2 : 에피쿠로스, 루크레티우스, 그리고 디오게네스

    (...) 객관적 진리에 집착하는 한 지식은 모조리 헛소리일 뿐이다. "진리를 묻기 전에 누가 진리를 묻는지를 물어라.' 이런 니체의 반지식적 입장은 이미 2천년 전에 배태된 것이다. 말이 나온 김에 덧붙이자면 "신은 죽었다"는 말도 니체가 원조는 아니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66907 file
    Read More
  2. 18
    Sep 2018
    02:37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1 : 탈레스에서 데모크리토스까지

    (...) 메소포타미아의 고대인들이 불멸의 것에 큰 가치를 둔 이유는 현세 이외에 어딘가 내세가 있으리라는 종교적 믿음 때문이다. 같은 시기의 이집트인들이 죽은 사람의 무덤에 내세의 길잡이인 <사자의 서>를 넣은 것과 같은 이유다. 고대인들에게는 그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200 file
    Read More
  3. 07
    Sep 2018
    12:29

    [철학] 힐링(Healing)과 쇼펜하우어. 현대인은 '쇼펜하우어'이거나 '키에르케고르'일 지 모른다

    (...) 헤겔이 최고의 명성을 누리던 시절에 헤겔과 같은 강의 시간에 자신의 강의를 배정할 만큼 그의 권위에 도전하는 자세를 보였던―수강생의 수에서는 심하게 밀렸지만―쇼펜하우어(Althur Schopenhauser, 1788~1860)는 헤겔과 정반대인 비관주의적 입장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019 file
    Read More
  4. 24
    Aug 2018
    13:22

    [철학] 『말과 사물』 : 유사(類似)와 상사(相似), 그리고 기호(記號)

    1. 네 가지 유사성 (...) 16세기 말엽까지 서양 문화에서 닮음의 역할은 지식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에 대한 주석과 해석을 대부분 이끈 것은 바로 닮음이다. 닮음에 의해 상징 작용이 체계화되었고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 사물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45 file
    Read More
  5. 21
    Aug 2018
    18:0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의 전개(규율권력 · 생물권력 · 인종주의)

    (...) 생물정치는 규율적 메커니즘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들을 작동시키기 시작했다. 생물정치에 의해 작동된 메커니즘은 우선 예측과 통계, 그리고 전체적인 측정 다음에 그런 특정 현상이나 개별적인 개인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반적이고 글로벌한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838 file
    Read More
  6. 21
    Aug 2018
    16:1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미개인과 야만인, 그리고 교환

    (...) 역사 안에서 올바르고 진실된 구성의 시점을 찾으면서 불랭빌리에가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던가? 그는 구성의 시점을 법 안에서 찾기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안에서 찾기도 거부하였다. 그것은 반법률주의이고 동시에 반자연주의였다. 불랭...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556 file
    Read More
  7. 21
    Aug 2018
    15:22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봉건제의 발생 · 절대왕정제의 탄생

    (...) 로마인 문제 다음으로 내가 불랭빌리에의 분석 예로서 들고 싶은 것은, 그가 프랑크족에 관해 제기한 문제이다. 골에 들어온 프랑크인은 과연 누구인가? 내가 방금 여러분에게 했던 질문, 즉 비교적 적은 숫자로 골에 침입하여 그때까지 강했던 제국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7 file
    Read More
  8. 19
    Aug 2018
    02:41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주권의 문제 · 홉스의 리바이어던

    (...) 오늘은 16세기말과 17세기초에 어떻게 전쟁이 권력관계의 분석틀로 나타나기 시작했는지를 살펴보겠다. 물론 여기서 우리가 곧장 만나는 하나의 이름이 있다. 홉스의 이름이 그것이다. 그는 일견 전쟁관계를 권력관계의 원칙과 기초로 삼은 사람인 것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40 file
    Read More
  9. 18
    Aug 2018
    06:49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계보학 · 인종주의적 담론의 역사

    (...) 내 생각에는 중세의 전통적인 세 축 안에서 역사적 담론의 이 두 기능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계보학적 축은 왕권의 유구함을 말해주고, 위대한 선조들을 일깨워주며, 제국이나 왕국의 개국 영웅들의 위엄을 다시 발견하게 한다. 이런 식의 계보학...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337 file
    Read More
  10. 05
    Aug 2018
    12:45

    [철학] 『담론의 질서』 : 나눔의 문제, 분절(articulation)

    (...) 나눔의 문제는 학문의 세계에서나 일상적인 삶의 세계에서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의 철학적 사유가 처음으로 개화할 때 우리는 존재의 문제에 부딪힌다. '왜 존재할까?'라는 물음은 해결할 수 없는 궁극적인 물음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503 file
    Read More
  11. 02
    Aug 2018
    17:49

    [철학] 『담론의 질서』 : 배제(exclusion)의 과정(금기, 분할과 배척, 진위의 대립)

    (...) 어떤 사회든 담론의 생산을 통제하고, 선별하고, 조직화하고 나아가 재분배하는 일련의 과정들―그의 힘들과 위험들을 추방하고, 그의 우연한 사건을 지배하고, 그의 무거운, 위험한 물질성을 피해 가는 역할을 하는 과정들―이 존재한다. 유럽과 같은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50 file
    Read More
  12. 01
    Aug 2018
    22:57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헤미안 · 여행 · 산책자 · 구경꾼

    (...) "내가 이해하기로 보헤미안들이란 사는 것이 문제이고, 그들을 둘러싼 상황이 신화이며, 재산은 수수께끼에 휩싸여 있는 개인들의 계층을 가리킨다. 그들은 도대체 정해진 거처도, 공인된 안식처도 없다.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지만 어디에서든 만날 수...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931 file
    Read More
  13. 30
    Jul 2018
    23:39

    [문학]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들레르

    (...) 나다르는 1843년~1845년에 보들레르가 살던 피모당 호텔 근처에서 그를 만났을 때의 복장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반작반짝 윤이 나는 장화 위에 바짓가락을 바짝 댄 검은 바지, 농민과 서민들이 입던 조잡하고 헐렁한 옷, 인부들이 주로 입는 청색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47624 file
    Read More
  14. 28
    Jul 2018
    14:24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도시재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휴가 강박증

    (...) 나플레옹 3세 치하에서 파리의 근본적인 개조는 무엇보다 콩코르드 광장과 시청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이루어졌다. 아마 70년전쟁(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은 파리의 건축상의 경관을 위해서는 하늘의 축복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나플레옹 3세는 모든 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288 file
    Read More
  15. 25
    Jul 2018
    12:25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양태(modus) · 변용(affections) · 감정(affectus, affects)

    (1) 변용들은 양태들 그 자체다. 양태들은 실체 혹은 그 속성들의 변용들이다(<윤리학>, 1부, 명제25, 보충 : 1부, 명제 30, 증명). 이 변용들은 필연적으로 능동적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적합한 원인으로서의 신의 본성에 희해서 설명되는데, 신은 수동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7807 file
    Read More
  16. 25
    Jul 2018
    11:09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추상(abstractions, abstractions)

    (...) 핵심은 스피노자가 <윤리학>에서 확립하고 있는 추상 개념과 공통 개념 사이의 본성의 차이이다(2부, 명제 40, 주석1). 공통 개념은 서로 적합한 신체들, 다시 말해 법칙들에 따라 자신들의 각 관계를 결합하고 이 내적인 적합 혹은 결합에 상응하여 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81727 file
    Read More
  17. 24
    Jul 2018
    16:57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슬픔과 기쁨, 나쁨과 좋음, 그리고 윤리(Ethics)

    (...) 슬픔에는 부정적이지도 외적이지도 않은 환원불가능한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체험된 실제적인 이행, 지속이다. <나쁨>의 궁극적인 환원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행위 능력 혹은 변용 능력의 감소로서의 슬픔이다. 이 슬픔은 악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10 file
    Read More
  18. 19
    Jul 2018
    09:27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③

    (...) 일어난 모든 것이 자신들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킨 다음, 사람들은 모든 사물들 안에서 그들에게 가장 유용했던 것을 특별한 것으로 판단해야 했고, 또한 그들에게 가장 큰 이익을 주었던 것을 가장 탁월한 것으로 평가해야 했다.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38013 file
    Read More
  19. 19
    Jul 2018
    08:31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②

    (...) 이제는 자연이 자신 앞에 설정한 어떠한 목적도 없고 모든 목적인은 인간이 꾸며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논의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왜냐하며 정리161)과 정리 32의 따름정리2)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이 편견이 그 기원을 어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3125 file
    Read More
  20. 19
    Jul 2018
    06:56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①

    (...) 그들은 신이 모든 것을 인간 때문에 만들었으며 또한 신이 자신을 공경하기 위해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내가 고찰할 첫번째 논점은 우선 왜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런 편견에 만족해 하며 또한 모든 이들이 왜 같은 편견을 그렇게 자연스럽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8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