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소비의 사회 : 대중예술과 팝아트

by 이우 posted Apr 09, 2017 Views 181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소비의사회02.jpg


  (...) 이미 본 바와 같이, 소비의 논리는 기호의 조작으로 정의된다. 창조의 상징 가치도, 상징적인 내면적 연관도 그곳에는 없다. 소비의 논리 전체가 외면성에 존재한다. 사물은 객관적 목적성과 기능을 상실하고 여러 가지 사물의 좀더 폭넒은 조합의 한 항목이 된다. 이 조합 속에서 사물의 가치는 다른 사물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게다가 사물은 상징적 의미와 수천 년간 지속된 의인화된 지위를 잃고 여러 가지 파생적 의미작용의 언설(言說) 속에서 남김없이 고찰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 파생적 의미작용도 역시 서로 관계있기 때문에 전체주의적, 즉 그것들이 생겨난 모든 의미작용을 통합할 수 있는 문화 체계의 틀 속에서 남김없이 고찰된다. (...) 사물에 관한 언설에는 일상과는 다른 언설이 존재한다. 그것은 예술의 언설이다. (...)


  팝아트는 우리가 말하는 기호와 소비의 논리에 근거한 현대예술의 한 형식인가 아니면 단순히 유행의 산물에 불과한 것이어서 그것 자체가 순수한 소비대상인가? 이 두 개의 의문은 모순되지 않는다. 팝아트는 그 자체가 순수하고 단순한 사물이 되어버림으로써 사물의 세계를 다른 상태로 바꾼다는 것은 인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광고 역시 그런 양면성을 갖고 있다. (...) 팝 이전의 모든 예술은 '심층적인 세계상'이라는 것에 근거한 데 반해, 팝은 기호의 내재적 질서에 동의하려고 한다. 즉, 기호의 산업적 대량생산, 환경 전체의 인위적 · 인공적 성격, 사물의 새로운 질서의 팽창해버린 포화상태, 아울러 그 교양화된 추상작용에 동화하려 한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


  "팝은 아메리카 예술이다"라는 말이 있다. 사물의 소재(성조기에의 집착도 포함해서)에서든, 실용적이고 낙천적이며 경험주의적인 행동에서든, 자타가 '인정하는' 몇몇 문학예술 옹호자와 수집가들의 이론(異論)의 여지가 없이 명백한 아메리카 심취에서든 이 말을 보증하고 있는데, 이로한 논의는 일면적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반론을 제기해 보자. 가령 팝이 완전히 아메리카적인 것이라 해도 팝아티스트들은 자기 자신의 논리에 따라서 이 예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그들이 만드는 사물이 "미국 영어를 말해도" 그 사물들은 자신을 감싸고 있는 이 신화 이외에는 다른 진리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사물은 이 신화적 언설을 완성시키고 자지 자신도 그곳에 편입되는 것밖에는 할 수 없다. (...) 팝아티스트들은 실제로 눈에 비친 그대로 사물을 그린다. 왜냐하면 사물은 '공장의 조랍라인에서 막 나온 기성(旣成)의 기호로서, 신화적으로 기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이 사무드이 전달하는 대문자에 의한 약자(signes), 마크, 선전문구를 선호하면서 그리며, 극단적으로 말하면 그것밖에 그리지 못한다. 그것은 노이도 리얼리즘도 아니며 소비사회의 명백한 현실을 인정하는 것, 즉 사물과 제품의 진짜 모습은 그것들의 마크라는 것이다. (...)


  팝의 이데올로기는 완전히 혼란 속에 빠져 있는데, 눈에 보인 사물들의 단순한 나열(소비사회의 인상파와 같은 것이다)로 이루어진 일종의 행동주의에, 자아와 초자아를 벗기고 주변 세계의 무의식을 재발견하려는 선(禪) 및 불교의 몽롱한 신비주의가 부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묘한 혼합물도 역시 아메리카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 이데올로기에는 중대한 애매함과 모순이 있다. 왜냐하면 주위 세계를 있는 대로 보게 하지 않고, 즉 조작 가능한 기호의 인위적인 무대, 감각 및 시각 대신에 시차적 지각 및 의미작용의 전술적 조합이 작용하는 전적으로 문화적 인공물로 보게 하지 않고, 계시된 자연과 본질로 보게 함으로써 팝은 다음과 같은 이중의 함의를 갖기 때문이다.


  첫째, 팝은 통합된 완전한 사회의 이데올로기(현재의 사회=자연=이상사회)이다. 둘째로, 팝은 예술의 신성한 과정을 완전히 재생한다. 그런데 그렇게 하면 팝의 기본적 목표는 사라져 버린다. 팝은 평범함의 예술이고자 한다. 평범함이 숭고함이라는 범주의 현대판인 하나의 형이상학적 범주가 아니라면, 그 평범함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사물은 사용되고 무엇에 쓰일 때에만 평범한 것이며, 어떤 의미를 갖게 되면 곧바로 평범하지 않게 된다. (...)


  가장 급진적인 팝 아티스트인 앤디 워홀(Andy Wahol)도 역시 작품 제자상의 이론적 모순과 작품이 그 진짜 대상을 예상하는데 따르는 여러 곤란이 가장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화가이기도 하다. 그는 말한다. "캔버스는 이 의자나 저 포스터와 똑같이 완전히 일상적인 사물이다." 그는 이렇게 덧붙여 말하고 있다. "현실은 매개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현실을 환경에서 떼어내어 캔버스 위에 놓기만 하면 된다." 그런데 이 말에는 우리의 문제 모두가 들어 있다. 왜냐하면 그가 말하는 의자(또는 햄버거, 자동차의 흙받이, 핀업의 얼굴)의 일상성이라는 것은 당연히 그 의자가 놓여 있는 상황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며. 특히 비슷한 또는 약간만 다른 모든 의자를 차례대로 늘어놓는 계열적 맥락 외에 다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상성이라는 것은 반복 속에서의 차이다. 의자를 이 상황에서 떼어 놓고 캔버스 위에 그릴 때, 의자의 모든 일상성이 박탈되고 동시에 캔버스도 일상적인 사물로서의 일체의 성격을 잃는다. 이러한 진퇴양난의 상태는 잘 알려져 있다. 예술은 일상적인 것 속에 매몰(캔버스=의자)되어서는 안되며, 일상적인 것을 일상적인 것으로서 파악(캔버스상의 의자=실제 의자)해서도 안된다. 내재성과 초월성 그 어느 것도 불가능하다. (...)


  간단히 말하면 일상성의 본질도 평점함의 본질도 존재하지 않는 일상, 일상성의 예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신비주의적인 아포리아(aporie)이다. 워홀(그리고 그밖의 사람들)이 이 예술의 존재를 믿는다면 그것은 예술 및 예술창조의 정의 그 자체에 대해 잘못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제작 행위의 수준에서도 똑같은 신비주의적 향수가 보인다. "나는 기계가 되고 싶다"고 앤디 워홀은 말하는데, 그는 실제로 스텐실, 실크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한다. 그런데 예술에서 기계적이라는 것을 자부하는 것만큼 나쁜 오만은 없으며,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 없이 창조자의 지위를 누리는 자에게서 대량생산의 기계적인 동작에 몸을 맡기는 것만큼 부자연스러운 태도는 없다. (...)


  그들의 일관된 요구는 예술의 사회학적 · 문화적 정의라는 문제에 부딪히지 않을 수 없는데, 이 문제를 앞에 놓고 그들은 어떻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무력함이야말로 그들의 이데올로기의 표현이다. 팝아티스트들이 자신들의 활동으로부터 성스러움을 추방하려고 하면 할수록 사회는 그들을 신성화한다. 예술의 주제와 제작 활동에서 성스러움을 추방하려는 그의 시도는 제아무리 과격한 시도라고 해도 지금까지 보지 못한 예술의 예찬과 현시(顯示)에 이른다. 회화가 성스러운 초기호(超記號, super signe : 서명이 들어간 하나밖에 없는 사물, 고귀하고 주술적인 거래의 대상)가 되지 않으려면 작품의 내용과 작자의 의도만으로 불충분하다는 것을 그들은 잊고 있다. 그러한 사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문화창조의 구조 그 자체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다른 모든 산업의 경우와 같이 회화시장의 합리화만이 회화를 세속화하고 일상적인 사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그렇게 되면, 그림 그리는 것을 그만두든가, 예술창조라는 옛날부터 꾸며낸 이야기의 단계로까지 후퇴하는 대가를 치르면서 계속 그림을 그리든가 그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한다. (...)


  팝은 현실적인 것을 가지지 않고 의미작용의 수준만을 가지고 있다. 팝에는 실제적인 공간이 없다. 캔버스의 공간, 상이한 기호로서의 요소들의 나열 및 그것들의 상호관계로 만들어진 공간만이 있을 뿐이다. 마찬가지로 실제적인 시간도 존재하지 않는다. 유일한 시간은 독해의 시간이며, 그것은 사물 및 그 이미지를 어떤 이미지 및 그것이 반복된 이미지와 구별하는 지각의 시간, 이미지에 맞추어서 또 현실의 사물과 그 작위적 인공물의 관계에 맞추어서 정신을 교정하고 순응시키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다. (...)


  팝이 특히 팝적인 시도로서 행하는 활동은 우리의 '미적 감정'과는 거리가 멀다. 팝은 '차가운(cool)' 예술이다. 미적 도취, 감정적 또는 상징적 합일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구상적 관련, 도구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 호기심에는 어린 아이의 호기심이나 발견의 소박한 기쁨 같은 것이 들어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팝을 소비사회의 에피날(Epinal, 에피날은 프랑스 동북부에 위치하는 보주 지방의 중심지로 19세기초부터 민중 판화 제작으로 유명함) 판화집이나 기도서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팝이라고 하는 판화집은 앞에서 서술한 코드해설 등의 지적 반사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한마디로 잘라 말하면, 팝아트는 대중예술이 아니다. 왜냐하면 대중문화의 에토스는 바로 애매하지 않은 리얼리즘 및 직선적인 서술(반복 수준의 굴절이 아니라), 비유와 장식성, 그리고 도덕적 변화와 결부되어 있는 정서적 합일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팝아트가 구상(具象) 예술로 오해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소비사회의 유색판화집 및 소박한 연대기 등의 완전히 유치한 수준에서다. (...)


   - <소비의 사회>(장 보드리야르 · 문예출판사 | 1992년 · 원제 : La societe de consommation, 1970년) p.180~190












 




  1. 18
    Sep 2018
    02:52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2 : 에피쿠로스, 루크레티우스, 그리고 디오게네스

    (...) 객관적 진리에 집착하는 한 지식은 모조리 헛소리일 뿐이다. "진리를 묻기 전에 누가 진리를 묻는지를 물어라.' 이런 니체의 반지식적 입장은 이미 2천년 전에 배태된 것이다. 말이 나온 김에 덧붙이자면 "신은 죽었다"는 말도 니체가 원조는 아니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66831 file
    Read More
  2. 18
    Sep 2018
    02:37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1 : 탈레스에서 데모크리토스까지

    (...) 메소포타미아의 고대인들이 불멸의 것에 큰 가치를 둔 이유는 현세 이외에 어딘가 내세가 있으리라는 종교적 믿음 때문이다. 같은 시기의 이집트인들이 죽은 사람의 무덤에 내세의 길잡이인 <사자의 서>를 넣은 것과 같은 이유다. 고대인들에게는 그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6859 file
    Read More
  3. 07
    Sep 2018
    12:29

    [철학] 힐링(Healing)과 쇼펜하우어. 현대인은 '쇼펜하우어'이거나 '키에르케고르'일 지 모른다

    (...) 헤겔이 최고의 명성을 누리던 시절에 헤겔과 같은 강의 시간에 자신의 강의를 배정할 만큼 그의 권위에 도전하는 자세를 보였던―수강생의 수에서는 심하게 밀렸지만―쇼펜하우어(Althur Schopenhauser, 1788~1860)는 헤겔과 정반대인 비관주의적 입장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000 file
    Read More
  4. 24
    Aug 2018
    13:22

    [철학] 『말과 사물』 : 유사(類似)와 상사(相似), 그리고 기호(記號)

    1. 네 가지 유사성 (...) 16세기 말엽까지 서양 문화에서 닮음의 역할은 지식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에 대한 주석과 해석을 대부분 이끈 것은 바로 닮음이다. 닮음에 의해 상징 작용이 체계화되었고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 사물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29 file
    Read More
  5. 21
    Aug 2018
    18:0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의 전개(규율권력 · 생물권력 · 인종주의)

    (...) 생물정치는 규율적 메커니즘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들을 작동시키기 시작했다. 생물정치에 의해 작동된 메커니즘은 우선 예측과 통계, 그리고 전체적인 측정 다음에 그런 특정 현상이나 개별적인 개인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반적이고 글로벌한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643 file
    Read More
  6. 21
    Aug 2018
    16:1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미개인과 야만인, 그리고 교환

    (...) 역사 안에서 올바르고 진실된 구성의 시점을 찾으면서 불랭빌리에가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던가? 그는 구성의 시점을 법 안에서 찾기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안에서 찾기도 거부하였다. 그것은 반법률주의이고 동시에 반자연주의였다. 불랭...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538 file
    Read More
  7. 21
    Aug 2018
    15:22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봉건제의 발생 · 절대왕정제의 탄생

    (...) 로마인 문제 다음으로 내가 불랭빌리에의 분석 예로서 들고 싶은 것은, 그가 프랑크족에 관해 제기한 문제이다. 골에 들어온 프랑크인은 과연 누구인가? 내가 방금 여러분에게 했던 질문, 즉 비교적 적은 숫자로 골에 침입하여 그때까지 강했던 제국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3 file
    Read More
  8. 19
    Aug 2018
    02:41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주권의 문제 · 홉스의 리바이어던

    (...) 오늘은 16세기말과 17세기초에 어떻게 전쟁이 권력관계의 분석틀로 나타나기 시작했는지를 살펴보겠다. 물론 여기서 우리가 곧장 만나는 하나의 이름이 있다. 홉스의 이름이 그것이다. 그는 일견 전쟁관계를 권력관계의 원칙과 기초로 삼은 사람인 것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31 file
    Read More
  9. 18
    Aug 2018
    06:49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계보학 · 인종주의적 담론의 역사

    (...) 내 생각에는 중세의 전통적인 세 축 안에서 역사적 담론의 이 두 기능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계보학적 축은 왕권의 유구함을 말해주고, 위대한 선조들을 일깨워주며, 제국이나 왕국의 개국 영웅들의 위엄을 다시 발견하게 한다. 이런 식의 계보학...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326 file
    Read More
  10. 05
    Aug 2018
    12:45

    [철학] 『담론의 질서』 : 나눔의 문제, 분절(articulation)

    (...) 나눔의 문제는 학문의 세계에서나 일상적인 삶의 세계에서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의 철학적 사유가 처음으로 개화할 때 우리는 존재의 문제에 부딪힌다. '왜 존재할까?'라는 물음은 해결할 수 없는 궁극적인 물음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92 file
    Read More
  11. 02
    Aug 2018
    17:49

    [철학] 『담론의 질서』 : 배제(exclusion)의 과정(금기, 분할과 배척, 진위의 대립)

    (...) 어떤 사회든 담론의 생산을 통제하고, 선별하고, 조직화하고 나아가 재분배하는 일련의 과정들―그의 힘들과 위험들을 추방하고, 그의 우연한 사건을 지배하고, 그의 무거운, 위험한 물질성을 피해 가는 역할을 하는 과정들―이 존재한다. 유럽과 같은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21 file
    Read More
  12. 01
    Aug 2018
    22:57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헤미안 · 여행 · 산책자 · 구경꾼

    (...) "내가 이해하기로 보헤미안들이란 사는 것이 문제이고, 그들을 둘러싼 상황이 신화이며, 재산은 수수께끼에 휩싸여 있는 개인들의 계층을 가리킨다. 그들은 도대체 정해진 거처도, 공인된 안식처도 없다.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지만 어디에서든 만날 수...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930 file
    Read More
  13. 30
    Jul 2018
    23:39

    [문학]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들레르

    (...) 나다르는 1843년~1845년에 보들레르가 살던 피모당 호텔 근처에서 그를 만났을 때의 복장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반작반짝 윤이 나는 장화 위에 바짓가락을 바짝 댄 검은 바지, 농민과 서민들이 입던 조잡하고 헐렁한 옷, 인부들이 주로 입는 청색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47595 file
    Read More
  14. 28
    Jul 2018
    14:24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도시재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휴가 강박증

    (...) 나플레옹 3세 치하에서 파리의 근본적인 개조는 무엇보다 콩코르드 광장과 시청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이루어졌다. 아마 70년전쟁(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은 파리의 건축상의 경관을 위해서는 하늘의 축복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나플레옹 3세는 모든 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287 file
    Read More
  15. 25
    Jul 2018
    12:25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양태(modus) · 변용(affections) · 감정(affectus, affects)

    (1) 변용들은 양태들 그 자체다. 양태들은 실체 혹은 그 속성들의 변용들이다(<윤리학>, 1부, 명제25, 보충 : 1부, 명제 30, 증명). 이 변용들은 필연적으로 능동적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적합한 원인으로서의 신의 본성에 희해서 설명되는데, 신은 수동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7435 file
    Read More
  16. 25
    Jul 2018
    11:09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추상(abstractions, abstractions)

    (...) 핵심은 스피노자가 <윤리학>에서 확립하고 있는 추상 개념과 공통 개념 사이의 본성의 차이이다(2부, 명제 40, 주석1). 공통 개념은 서로 적합한 신체들, 다시 말해 법칙들에 따라 자신들의 각 관계를 결합하고 이 내적인 적합 혹은 결합에 상응하여 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81671 file
    Read More
  17. 24
    Jul 2018
    16:57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슬픔과 기쁨, 나쁨과 좋음, 그리고 윤리(Ethics)

    (...) 슬픔에는 부정적이지도 외적이지도 않은 환원불가능한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체험된 실제적인 이행, 지속이다. <나쁨>의 궁극적인 환원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행위 능력 혹은 변용 능력의 감소로서의 슬픔이다. 이 슬픔은 악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05 file
    Read More
  18. 19
    Jul 2018
    09:27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③

    (...) 일어난 모든 것이 자신들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킨 다음, 사람들은 모든 사물들 안에서 그들에게 가장 유용했던 것을 특별한 것으로 판단해야 했고, 또한 그들에게 가장 큰 이익을 주었던 것을 가장 탁월한 것으로 평가해야 했다.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37962 file
    Read More
  19. 19
    Jul 2018
    08:31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②

    (...) 이제는 자연이 자신 앞에 설정한 어떠한 목적도 없고 모든 목적인은 인간이 꾸며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논의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왜냐하며 정리161)과 정리 32의 따름정리2)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이 편견이 그 기원을 어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3121 file
    Read More
  20. 19
    Jul 2018
    06:56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①

    (...) 그들은 신이 모든 것을 인간 때문에 만들었으며 또한 신이 자신을 공경하기 위해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내가 고찰할 첫번째 논점은 우선 왜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런 편견에 만족해 하며 또한 모든 이들이 왜 같은 편견을 그렇게 자연스럽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7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