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사유의 세 형식 : 철학·과학·예술

by 이우 posted Feb 28, 2015 Views 1078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들뢰즈_베이컨을_말하다.jpg    ... 먼저, 사유로서의 철학이 있다. (...) 철학자는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게 될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철학자에게 있어서 곧 개념-줄을 말한다. 마치 줄이 화가에게는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에게는 청각과 관련된 감각-줄(소리-줄), 요리사에게는 미각과 관련된 감각-줄(맛-줄)인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화가, 음악가, 요리사가 시각, 청각, 미각과 관련된 감각을 사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철학자는 개념을 통해 사유를 한다. (...)

  이러한 사실로부터 들뢰즈에게 있어서 철학이 어떻게 정의되는지가 분명해진다. 철학은 한마디로 말해 개념의 창조다. 즉 개념-줄을 그음으로서 개념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개념의 평면을 건설하는 것이 바로 철학이요, 철학이 하는 일이다. (...) 철학자는 이렇게 개념을 창조하고 도 창조된 개념을 통해 개념의 평면을 건설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세계를 사유 가능하게 해준다. 앞에서 우리는 사유되기 이전의 세계, 사유가 건설되기 이전의 세계를 카오스라고 했다. 그 자체로서의 세계, 그것은 카오스 세계인 것이다. 그런데 이 카오스 세계를 철학자는 개념을 창조하고 개념의 평면을 건설함으로써 일관되고 안정적인 세계로, 그리하여 사유와 소통이 가능한 세계로 만든다. 사유가 건드리게 되는 카오스 세계의 그 무한함을 가능한 하나도 놓치지 않으면서 말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들뢰즈가 생각하는 철학의 목적 또한 자연스럽게 부각된다. 그것은 카오스 세계를 구원하는 것이다. 죽어가는 세계를 살려낸다는 의미의 구원이 아니라, 카오스 세계를 사유와 소통이 가능한 세계로 만든다는 의미의 구원 말이다. (...)


   다음으로 사유로서의 과학이 있다. (...) 철학자가 그런 것처럼 과학자 또한 사유되기 이전 덩어리 상태의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탐구하게 될 것이다. 물론 이 경우 과학자의 줄은 철학자의 그것과 다르다. 과학자에게서 줄은 지시 관계-줄, 그중에서도 특히 인과적 지시관계-줄을 말한다. 따라서 과학자가 개념을 통해 사유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학자는 지시관계를 통해 사유를 한다. 이때 지시 관계를 통해 사유를 한다는 것은 과학자가 덩어리 상태로 있는 지시관계-줄들의 총체에 보다 깊게 줄을 긋는 행위,그리하여 과학자 고유의 내재성의 평면을,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과학자 고유의 지시관계의 평면을 건설하는 행우를 말한다. 철학자가 자기 고유의 개념 평면을 건설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하지만 철학자와는 달리 과학자는 지시관계의 평면을 건설하면서 카오스 세계의 무한함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그는 카오스 세계의 무한함에 대해 사유하는 것을 포기하고 단지 기능을 염두에 둔 지시 관계만을 추구할 뿐이다. 이를 위해 과학자는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순간적으로 고정시킨 다음 유용성과 실용성으로 짜인 그물망으로 줄을 건져 내어 지시관계의 함수를 만든다. (...) 이렇게 건설된 지시 관계의 평면에서 기능이 발생한다. 유용하고 실용적인 기능, 우리의 현실적 필요를 채우는 기능 말이다. 과학은 기능의 창조다.


책_들뢰즈_베이컨을_말하다02.jpg   마지막으로 사유로서의 예술이 있다. (...) 철학자와 과학자가 그런 것처럼 예술가 또한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그것을 구현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예술가의 줄은 철학자와 과학자의 그것과 달리 감각-줄을 말한다. 이때 감각을 통해 사유를 한다는 것은 예술가가 덩어리 상태로 있는 감각-줄들의 총체에 보다 깊게 줄을 긋는 행위, 그리하여 예술가 고유의 내재성 평면을,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예술가 고유의 감각의 평면(또는 감각으로 이루어진 구성의 평면)을 건설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렇게 해서 건설된 감각의 평면은 세계에 대한 예술가의 사유, 그러니까 무한한 카오스 세계를 사유한 예술가가 사유된 그 무한한 카오스 세계를 유한한 질료에 육화시켜 구현 또는 복원한 예술작품을 가리키게 된다. (...) 예술은 곧 감각의 구현이다. 즉 감각-줄을 그음으로써 감각을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한 감각에 질료를 입힌 예술 작품을 창조함으로써 감각을 구현하는 것이 바로 예술이요, 예술이 하는 일인 것이다.

  예술가는 이렇게 감각을 구현한 예술작품을 창조함으로써, 또는 창조된 예술작품을 통해 감각의 평면을 건설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세계를 구현 또는 복원한다. 앞에서 이미 말했듯이 사유되기 이전의 세계. 그자체로서의 세계는 카오스의 세계다. 그런데 이 카오스의 세계를 철학자가 하는 것처럼 예술가 또한 예술 작품을 창조하고 감각의 평면을 건설함으로써 일관되고 안정적인 세계로 구현 또는 복원한다. 사유가 건드리게 되는 카오스 세계의 그 무한함을 가능한 하나도 놓치지 않으면서 말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들뢰즈가 생각하는 예술의 목적 또한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그것은 무한한 카오스 세계를 유한한 예술 작품 속에 그 모습 그대로 담는 것, 말하자면 예술 작품을 통해 무한한 카오스 세계를 구현 또는 복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베이컨이 그의 그림을 통해서 존재 또는 무한한 카오스 세계를 그 모습 그대로 구현 또는 복원하는 것처럼 말이다. (...)

  따라서 우리는 들뢰즈를 따라서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사유의 세 형식인 철학, 과학, 예술이 있으며, 이 세 사유는 각가 개념을 통해, 지시 관계를 통해, 감각을 통해 사유한다고, 그리하여 이 세 사유는 각자에게 고유한 개념의 평면, 지시 관계의 평면, 감각의 평면을 건설한다고 말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철학, 과학, 예술은 서로 분명히 구분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세 사유 모두 세계를 동일한 개상으로 하고 있지만, 세계를 사유하는 방식이 각각 개념, 지시 관계, 감각으로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각자가 건설하는 본성 또한 서로 극명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요컨대 철학, 과학, 예술은 서로 간에 우열을 따질 여지가 없는, 따라서 서로에게 종속됨이나 귀속됨이 있을 수 없는 그런 동등한 라이벌 관계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

  하지만 특별히 철학만은 과학과 예술을 개념화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진다. 즉 과학과 예술이 건설하고 창조한 것을 철학은 그 모습 그대로 개념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세 사유 모두가 서로에게 간섭할 수 없는 사유임은 분명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은 과학이나 예술과는 달리 개념을 통한 사유, 따라서 결코 간섭함이 없는 상태에서 과하과 예술을 그 모습 그대로 개념을 통해 언어로 담아낼 수 있는 사유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들뢰즈의 프루스트론, 카프카론, 베이컨론, 회화론, 영화론 등은 모두 철학의 이런 개념화 작업의 산물이다. ...


  - <철학자 들뢰즈, 화가 베이컨을 말하다>(박정태, 이학사, 2012년) p. 115~124











  1. 18
    Sep 2018
    02:52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2 : 에피쿠로스, 루크레티우스, 그리고 디오게네스

    (...) 객관적 진리에 집착하는 한 지식은 모조리 헛소리일 뿐이다. "진리를 묻기 전에 누가 진리를 묻는지를 물어라.' 이런 니체의 반지식적 입장은 이미 2천년 전에 배태된 것이다. 말이 나온 김에 덧붙이자면 "신은 죽었다"는 말도 니체가 원조는 아니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66831 file
    Read More
  2. 18
    Sep 2018
    02:37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1 : 탈레스에서 데모크리토스까지

    (...) 메소포타미아의 고대인들이 불멸의 것에 큰 가치를 둔 이유는 현세 이외에 어딘가 내세가 있으리라는 종교적 믿음 때문이다. 같은 시기의 이집트인들이 죽은 사람의 무덤에 내세의 길잡이인 <사자의 서>를 넣은 것과 같은 이유다. 고대인들에게는 그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6859 file
    Read More
  3. 07
    Sep 2018
    12:29

    [철학] 힐링(Healing)과 쇼펜하우어. 현대인은 '쇼펜하우어'이거나 '키에르케고르'일 지 모른다

    (...) 헤겔이 최고의 명성을 누리던 시절에 헤겔과 같은 강의 시간에 자신의 강의를 배정할 만큼 그의 권위에 도전하는 자세를 보였던―수강생의 수에서는 심하게 밀렸지만―쇼펜하우어(Althur Schopenhauser, 1788~1860)는 헤겔과 정반대인 비관주의적 입장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000 file
    Read More
  4. 24
    Aug 2018
    13:22

    [철학] 『말과 사물』 : 유사(類似)와 상사(相似), 그리고 기호(記號)

    1. 네 가지 유사성 (...) 16세기 말엽까지 서양 문화에서 닮음의 역할은 지식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에 대한 주석과 해석을 대부분 이끈 것은 바로 닮음이다. 닮음에 의해 상징 작용이 체계화되었고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 사물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29 file
    Read More
  5. 21
    Aug 2018
    18:0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의 전개(규율권력 · 생물권력 · 인종주의)

    (...) 생물정치는 규율적 메커니즘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들을 작동시키기 시작했다. 생물정치에 의해 작동된 메커니즘은 우선 예측과 통계, 그리고 전체적인 측정 다음에 그런 특정 현상이나 개별적인 개인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반적이고 글로벌한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643 file
    Read More
  6. 21
    Aug 2018
    16:1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미개인과 야만인, 그리고 교환

    (...) 역사 안에서 올바르고 진실된 구성의 시점을 찾으면서 불랭빌리에가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던가? 그는 구성의 시점을 법 안에서 찾기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안에서 찾기도 거부하였다. 그것은 반법률주의이고 동시에 반자연주의였다. 불랭...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538 file
    Read More
  7. 21
    Aug 2018
    15:22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봉건제의 발생 · 절대왕정제의 탄생

    (...) 로마인 문제 다음으로 내가 불랭빌리에의 분석 예로서 들고 싶은 것은, 그가 프랑크족에 관해 제기한 문제이다. 골에 들어온 프랑크인은 과연 누구인가? 내가 방금 여러분에게 했던 질문, 즉 비교적 적은 숫자로 골에 침입하여 그때까지 강했던 제국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3 file
    Read More
  8. 19
    Aug 2018
    02:41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주권의 문제 · 홉스의 리바이어던

    (...) 오늘은 16세기말과 17세기초에 어떻게 전쟁이 권력관계의 분석틀로 나타나기 시작했는지를 살펴보겠다. 물론 여기서 우리가 곧장 만나는 하나의 이름이 있다. 홉스의 이름이 그것이다. 그는 일견 전쟁관계를 권력관계의 원칙과 기초로 삼은 사람인 것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31 file
    Read More
  9. 18
    Aug 2018
    06:49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계보학 · 인종주의적 담론의 역사

    (...) 내 생각에는 중세의 전통적인 세 축 안에서 역사적 담론의 이 두 기능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계보학적 축은 왕권의 유구함을 말해주고, 위대한 선조들을 일깨워주며, 제국이나 왕국의 개국 영웅들의 위엄을 다시 발견하게 한다. 이런 식의 계보학...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326 file
    Read More
  10. 05
    Aug 2018
    12:45

    [철학] 『담론의 질서』 : 나눔의 문제, 분절(articulation)

    (...) 나눔의 문제는 학문의 세계에서나 일상적인 삶의 세계에서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의 철학적 사유가 처음으로 개화할 때 우리는 존재의 문제에 부딪힌다. '왜 존재할까?'라는 물음은 해결할 수 없는 궁극적인 물음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92 file
    Read More
  11. 02
    Aug 2018
    17:49

    [철학] 『담론의 질서』 : 배제(exclusion)의 과정(금기, 분할과 배척, 진위의 대립)

    (...) 어떤 사회든 담론의 생산을 통제하고, 선별하고, 조직화하고 나아가 재분배하는 일련의 과정들―그의 힘들과 위험들을 추방하고, 그의 우연한 사건을 지배하고, 그의 무거운, 위험한 물질성을 피해 가는 역할을 하는 과정들―이 존재한다. 유럽과 같은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21 file
    Read More
  12. 01
    Aug 2018
    22:57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헤미안 · 여행 · 산책자 · 구경꾼

    (...) "내가 이해하기로 보헤미안들이란 사는 것이 문제이고, 그들을 둘러싼 상황이 신화이며, 재산은 수수께끼에 휩싸여 있는 개인들의 계층을 가리킨다. 그들은 도대체 정해진 거처도, 공인된 안식처도 없다.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지만 어디에서든 만날 수...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930 file
    Read More
  13. 30
    Jul 2018
    23:39

    [문학]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들레르

    (...) 나다르는 1843년~1845년에 보들레르가 살던 피모당 호텔 근처에서 그를 만났을 때의 복장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반작반짝 윤이 나는 장화 위에 바짓가락을 바짝 댄 검은 바지, 농민과 서민들이 입던 조잡하고 헐렁한 옷, 인부들이 주로 입는 청색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47595 file
    Read More
  14. 28
    Jul 2018
    14:24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도시재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휴가 강박증

    (...) 나플레옹 3세 치하에서 파리의 근본적인 개조는 무엇보다 콩코르드 광장과 시청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이루어졌다. 아마 70년전쟁(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은 파리의 건축상의 경관을 위해서는 하늘의 축복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나플레옹 3세는 모든 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287 file
    Read More
  15. 25
    Jul 2018
    12:25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양태(modus) · 변용(affections) · 감정(affectus, affects)

    (1) 변용들은 양태들 그 자체다. 양태들은 실체 혹은 그 속성들의 변용들이다(<윤리학>, 1부, 명제25, 보충 : 1부, 명제 30, 증명). 이 변용들은 필연적으로 능동적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적합한 원인으로서의 신의 본성에 희해서 설명되는데, 신은 수동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7435 file
    Read More
  16. 25
    Jul 2018
    11:09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추상(abstractions, abstractions)

    (...) 핵심은 스피노자가 <윤리학>에서 확립하고 있는 추상 개념과 공통 개념 사이의 본성의 차이이다(2부, 명제 40, 주석1). 공통 개념은 서로 적합한 신체들, 다시 말해 법칙들에 따라 자신들의 각 관계를 결합하고 이 내적인 적합 혹은 결합에 상응하여 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81671 file
    Read More
  17. 24
    Jul 2018
    16:57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슬픔과 기쁨, 나쁨과 좋음, 그리고 윤리(Ethics)

    (...) 슬픔에는 부정적이지도 외적이지도 않은 환원불가능한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체험된 실제적인 이행, 지속이다. <나쁨>의 궁극적인 환원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행위 능력 혹은 변용 능력의 감소로서의 슬픔이다. 이 슬픔은 악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05 file
    Read More
  18. 19
    Jul 2018
    09:27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③

    (...) 일어난 모든 것이 자신들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킨 다음, 사람들은 모든 사물들 안에서 그들에게 가장 유용했던 것을 특별한 것으로 판단해야 했고, 또한 그들에게 가장 큰 이익을 주었던 것을 가장 탁월한 것으로 평가해야 했다.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37962 file
    Read More
  19. 19
    Jul 2018
    08:31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②

    (...) 이제는 자연이 자신 앞에 설정한 어떠한 목적도 없고 모든 목적인은 인간이 꾸며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논의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왜냐하며 정리161)과 정리 32의 따름정리2)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이 편견이 그 기원을 어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3121 file
    Read More
  20. 19
    Jul 2018
    06:56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①

    (...) 그들은 신이 모든 것을 인간 때문에 만들었으며 또한 신이 자신을 공경하기 위해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내가 고찰할 첫번째 논점은 우선 왜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런 편견에 만족해 하며 또한 모든 이들이 왜 같은 편견을 그렇게 자연스럽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7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