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들뢰즈 :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 · 표현 · 비신체적 변환 · 화행이론

by 이우 posted Dec 14, 2017 Views 233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들뢰즈.jpg   (...) 들뢰즈와 가타리는 '개인적 언표행위'란 없음을 입중하려고 엄청난 노력을 들인다. '개인적인 언표행위란 없으며, 언표행위의 주체라는 것조차 없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5/156). 결과적으로 언어는 근본적으로 사회적이며, 언표와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우리가 반복하는 것만큼도 말하지 못한다. 이때 강조점은 발화행위의 주체성(또는 주체화의 진행)에 상응하는 상대적 동일성(또는 안정성)의 효과뿐 아니라 언표의 잉여성에 있다. 주체(혹은 나)는 실제로 언어의 잉여 효과이며, 그것은 의사소통에서 상호주체성을 결정하고, 언표 행위의 집합적 배치는 이런 잉여성을 성립시키는 행위와 언표의 잉여적 복합체를 가리킨다.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라는 관념은 모든 언어의 사회적 본질을 함축하기에 들뢰즈와 가타리의 언어 화행 이론에서 최우선적 중요성을 지닌다. 언어가 갖는 일차적 의미는 사회적이라는 데 있으며, 이른바 개인적 발화란 주어진 사회적 장을 규정 짓는 언표와 수행인자(또는 '명령-어')의 차원에서 일어난 반복의 효과일 따름이다. '언어활동에 대해 정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을 주어진 순간에 한 언어 안에서 통용되는 명령-어들, 암묵적 전제와 화행들의 집합으로 정의하는 것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4/154).

  집합적 배치가 진짜로 의미하는 것, 즉 언어에서 명령-어의 제도성과 언표의 잉여성을 결정 짓는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들뢰즈와 가타리는 다시 한 번 스토아주의의 표현 이론으로 돌아간다. 그에 따르면 표현이란 신체의 차원과 언표적 의미의 차원 모두에서 비신체적 변환의 효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비신체적인 것이란 '존재-외적인'으로 규정되는데, 언표가 지닌 의미와 실제 신체가 차지하는 평면 사이에서 발생한다. 그 두 차원 모두에서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의미의 변환이라는 사건을 규정하는 것은 '존재-외적인 것'의 특수한 본성이다. 예컨대 피의자를 피고인으로 변환하는 것은 판사의 선고라는 비신체적인인 것이 표현될 때다. 또한 이는 아버지가 내리는 유죄 판결로서 선고의 언표가 아들 게오르크의 자살 행동으로 변환되는 작품 <선고>에서 카프카가 발견해 서술한 것이기도 한다.

  표현된 것은 그것의 표현과 분리될 수 없으며, 의미상의 변환을 설명하려고 피고의 신체 속에 속성을 위치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표현의 논리는 정확히 이 변환적 사건을 향한 것으로서, 의미와 신체의 차원, 아니면 차라리 표면과 깊이의 양쪽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의 차원을 향한 것이다. 언표행위의 배치는 사물 자체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사물의 차원과 내용의 차원에 대해 동시에 말한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과정에 따라 신체는 나이를 먹고  성숙해 가지만, '너는 이제 어린아이가 아니야'라는 언표는 연령 변화의 의미를 신체적 성장뿐 아니라 복종이라는 도덕적 범주로 바꾸어버린다. '너는 단지 소녀일 뿐이야'라는 언표가 신체적 성장에 따른 유사한 의미 변환을 포함하며, 그것은 젠더의 사회적 의미를 결정 짓는 다른 명령-어들의 집합에 그 신체적 의미를 삽입한다는 사실을 비교해 보자. 이와 비슷하게 피부색도 하나의 속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당신은 흑인이군요'라든지 '당신은 백인 남성이군요' 같은 언표가 보여주듯 피부색을 인종적으로 각인시키는 것은 신체의 특수한 사회적 의미를 변화시키고 결정짓는 비신체적 변환을 도입하는 것이다. '검다'와 '하얗다'가 그저 신체의 고유성으로서 흑색과 백색의 속성으로부터 결정되는 것만은 아닌, 사화적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이와 같은 언표 의미에 기반을 두고 사고할 때만 가능하다. 두 언표 모두에서 각각의 속성이 표현하는 것은 비록 서로 다르게 보일지라도 비신체적 변환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 변환은 신체에 직접 적용되며 주체의 행위와 정념에도 삽입된다. 요컨대 비신체적 변환은 신체를 '명령'에 예속.주체화시키는 것이다.

  사회는 이런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명령-어는 의미를 신체에 고정시키고, 신체를 개별화하면서 주어진 사회적 의미에 부응하게끔 강제한다. 들뢰즈와 가타리가 썼듯 '지배적 의미작용으로서 독립적인 주체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양자는 모두 주어진 사회적장에서 명령-어의 본성과 전달에 의존한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5/155). 이렇게 사회는 신체와 행위와 정념들의 혼합을 규정하는 명령-어들에 의해 정의된다. 주어진 사회에서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는 그것이 표현하는 언표와 비신체적 변환 혹은 탈신체적 속성들 사이의 즉각적인 관계를 보려준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1/I 86/158). 언어가 진정으로 표현적이게 되는 순간, 즉 언어가 실재적 속성을 표현하고 그 결정들을 직접 신체와 어떤 순간에도 사회적 장을 구성하는 사태의 상태에 적응할 수 있게 되는 순간이 바로 이때다.

  이런 변환이 신체에 직접 적용된다 해도, 들뢰즈와 가타리가 주장하듯 그것은 언표행위에 내재하며 비신체적이다. 예컨대 누구든 '나는 전쟁을 선언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선언은 신체들로 구성된 사회적 장을 사회 전체를 변형하는 폭발과정 일반으로 이끄는 상황 속의 한 변수일 뿐이다. '언어와 외부 사이의 관계를 설립하는 표현의 변수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정확히 그것들이 언어에 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2/I 88/161).

  이런 까닭으로 비신체적인 것은 단순히 사물(혹은 신체)의 상태에서 비롯된 게 아니고, 언표(혹은 언어)의 의미에서 생겨나지 않은 비언어적 존재로도 설명되지 않는다. 그것은 '존재-외적인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또한 존재의 두 평면이 서로 연관되게 하고 상호내재적 합일이라는 사건을 표현하도록 추동한다. 그런 의미에서('당신은 사형을 선고받았소'나 '나는 전쟁을 선언한다' 혹은 '나는 널 사랑해'와 같은 말을 포함해) '명령-어'를 가동시키는 것은, 바흐친도 주장했듯 '모든 언어학적 결정물이나 범주들 외부에 놓여 있는 존재-외적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또한 명령-어는 언표의 의미조건을 표현하는 동시에 신체의 실제 상태를 표현하며, 그 상태들을 규정하는 행위와 정념 속으로 개입해 들어간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2/I 88/161). 그러므로 들뢰즈와 가타리가 명령-어라고 정의한 것은 그 모든 기능들(묘사, 지칭, 지명 등)에서 결코 언어와 동일시될 수 없다. 차라리 그것은 '그 가능성의 조건을 유효화하는 것'(혹은 '표현의 초선형성'이라 부른 것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5/I 91/166).

 - <누가 들뢰즈와 가타리를 두려워하는가?>(그렉 램버트·자음과모음·2013년·원제 : Who's Afraid of Deleuze and Guattari?, 2006년) p.138~142














  1. 18
    Apr 2019
    07:51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숭고미와 전쟁, 그리고 종교

    (...) 사람들은 어떤 대상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대상을 두려운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곧 우리가 순전히, 가령 어떤 대상에 저항을 해보려는 경우를 생각하고, 그 경우에 모든 저항이 어림없는 허사가 될 것으로 어떤 대상을 판정한다면 말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48 file
    Read More
  2.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89 file
    Read More
  3. 12
    Apr 2019
    04:39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상상력 · 지성 · 자연

    (...)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이 근거하는 주관적인 세 인식 원천이 있는데, 그것은 감각기능(감각기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이것들 중 어느 것이라도 경험적으로, 말하자면 주어진 현상들에 대한 적용에서 고...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30 file
    Read More
  4. 11
    Apr 2019
    15:06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선험적 인식 · 자연의 합목적성

    (...) 모든 지각들이 일관되고 합법칙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표상되는 오직 하나의 경험만이 있다. 그것은 거기에 현상들의 모든 형식과 존재 · 비존재의 모든 관계가 생기는 오직 하나의 공간 · 시간만이 있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이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73 file
    Read More
  5. 11
    Apr 2019
    01:48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칸트의 기획

    (...) 모든 경험들은 그것을 통해 무엇인가가 주어지는 감관의 직관 외에 또한 직관에 주어지는, 다시 말해 현상하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대상들 일반에 대한 개념들은 선험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경험인식의 기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2 file
    Read More
  6. 07
    Apr 2019
    01:34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논리학 · 진리의 문제

    (...) 일반 논리학은 인식의 모든 내용, 다시 말해서 인식의 대상과의 모든 관계 맺음을 도외시하고, 인식들 상호간의 관계에서의 논리적 형식, 다시 말해 사고 일반의 형식만을 고찰한다. 그런데 초월적 감성학이 밝혀주듯이 순수한 직관 뿐만 아니라 경험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170 file
    Read More
  7. 04
    Apr 2019
    07:2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감성학

    (...)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수단에 의해 언제나 인식이 대상들과 관계를 맺든지 간에, 그로써 인식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그리고 모든 사고가 수단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그런데 직관은 오로지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24 file
    Read More
  8. 30
    Mar 2019
    23:4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인식 · 순수 지성

    (...) 모든 인식은 재료(내용, Materie)와 이 재료를 정리 정돈하는 형식(틀, Form)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거니와, 인식이 사고의 산물인 한에서 인식의 형식은 사고의 형식이며, 이 사고의 형식은 이미 지성에 "예비되어 놓여 있다"(A66=B91). 그러므로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96 file
    Read More
  9.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61 file
    Read More
  10.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98 file
    Read More
  11. 13
    Mar 2019
    18:04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결론

    (...) 다수가 비천함과 가난 속에서 살 때 소수의 권력자와 부자가 권세와 부의 절정을 누리는 것은, 후자의 인간들이 자신이 누리는 것을 전자의 인간들이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만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민중이 비참하지 않게 되면 상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727 file
    Read More
  12.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8 file
    Read More
  13. 17
    Feb 2019
    00:38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 책의 결론, '공감(sympathy)'

    (...)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인간의 마음을 들끓게 하는 주요 원인은 쾌락과 고통이다. 이런 감각적인 감정이 우리의 사유나 감정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대개 정서도 느낄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으며, 욕구나 의욕 역시 보나마나 불가능해질 것이다. 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009 file
    Read More
  14. 14
    Feb 2019
    06:43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목적론 · 신학 · 교화와 훈육 · 도덕

    (...) 칸트에 따르면 어느 누구도 유기적 존재자들이 목적인의 "실마리"에 따라 판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B319~V389) (중략) '자연의 기술'이라는 개념은 곧 자연목적을 설명할 수 없음을 근거로 해서 "교조적"($74)으로 취급될 수는 없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38 file
    Read More
  15. 14
    Feb 2019
    05:07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목적론 · 목적론적 판단력

    (...) 과연 자연 안에 객관적 합목적성이 나타나는가? (중략) 자연은 목적의 표상에 따라 행위하는 지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자연 안에서 발생되는 합목적성은 특수한 것임에 틀림없다. 구성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의 모든 대상들은 어쨌든 작용 연결(nexus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19 file
    Read More
  16. 13
    Feb 2019
    18:12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예술 · 예술가 · 변증성 · 판단력

    (...) 미감적 판단은 보편적 동의를 요구하지만, 독창적 예술가만이 미적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예술 작품들은 자유에 의해 산출된다($43) 실천적 '할 수 있음'이 이론적 앎과 구별되듯이, 숙련의 기예는 학문과 구별된다. 그리고 예술은 언제나 자유로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26 file
    Read More
  17. 13
    Feb 2019
    05:50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의 감정(우아미)과 숭고의 감정(숭고미)

    (...) 미의 감정과는 달리 숭고의 감정은 질의 면에서 상상력과 이성의 부조화에 의거한다.($27) "미적인 것의 판정에 있어서 상상력과 지성이 그들의 일치에 의해 그렇게 하듯이, 이 경우에는 상상력과 이성이 그들의 상충에 의해 마음의 능력들의 주관적 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240 file
    Read More
  18. 07
    Feb 2019
    00:21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역사

    (...) 마지막 질문은 이런 것이다. 어떻게 궁극 목적은 또한 자연의 최종 목적인가? 다시 말해, 오로지 초감성적 존재로서, 또 가상체로서만 궁극 목적인 인간이 어떻게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일 수 있는가?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초감성계가 감성계와 통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651 file
    Read More
  19. 06
    Feb 2019
    21:59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자연목적론·합목적성·도덕목적론·신학

    (...) 세 개의 비판은 진정한 전환의 체계를 보여준다. 첫째, 능력들은 표상 일반(인식함, 욕구함, 느낌)의 관계에 따라 정의된다. 둘째, 능력들은 표상의 원천(상상력, 지성, 이성)으로서 정의된다. 첫번째 의미의 능력들 각각마다 반드시 두 번째 의미의 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94 file
    Read More
  20.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31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