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그 어떤 것도 무에서 생겨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는다

by 이우 posted Aug 19, 2017 Views 389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사물의 본성에 관하여_900.jpg


  아무 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 않음

  (...) 그러므로 정신의 이 두려움과 어둠을,
  태양의 빛살과 비치는 창들이 아니라,
  자연의 모습과 이치로 떨쳐버려야 한다.
  그것의 첫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에서 우리를 위한 시작점을 얻어야 한다
  즉 그 어떤 것도 신들의 뜻에 의해 무(無)로부터 생겨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로 두려움이 모든 인간을 사로 잡고 있다.
  그것들이 땅과 하늘에서 많은 것들을 보는,
  그것들의 작용 원인을 그 어떤 이치로써도 살필 수 없고
  그것이 신의 능력에 의해 일어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따라서 우리가, 그 어떤 것도 무(無)로부터 생성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나면,
  그때는 이 사실로부터 우리가 쫒는 것을 대 제대로 보게 될 것이다.
  어디서 각 종(種)의 사물들이 생성될 수 있는지도,
  어떤 방식으로 각각이 신들이 애쓰지 않고도 만들어지게 되는지도.

  왜냐하면, 만일 이것들이 무로부터 만들어졌다면,
  모든 것들로부터 모든 종(種)이 생겨날 수 있었을 것이고, 어떤 것도 씨가 필요치 않았을 터이니 말이다.
  먼저 바다로부터 인간들이, 땅으로부터 비늘 가진 종이 생겨날 수 있었을 것이고,
  새들은 하늘로부터 튀어나올 수 있었으리라.
  밭 가는 짐승들과 다른 가축들, 온갖 종류의 야수들이
  알 수 없는 근원으로부터 나와 경작지와 황무지를 채울 것이다.
  과일들은 나무들에 의해 반복해 생겨나지 않고 바뀌어갈 것이며
  온갖 나무가 온갖 열매를 맺을 수 있으리라.
  진정, 각각의 것에게 낳아주는 몸이 없는 곳에서
  어떻게 사물들에게 분명한 어머니가 확립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지금 그러하듯 각각의 것들이 정해진 씨들로부터 생성되므로,
  각자의 재료와 첫 몸이 들어 있는 거기로부터
  그것들은 생겨나고 빛의 해안으로 나오도다.
  이런 연유로 모든 것으로부터 모든 것이 생겨나기는 불가능하도다.
  개별적 사물들에게 달리 나뉜 능력이 들어 있으므로.

  왜 우리는 봄에 장미가, 여름 열기에 곡식이
  가을이 권고할 때 포도가 쏟아져 나오는 것을 보게 되는가.
  만일 사물들의 특정한 씨앗이 자기 때에 함께 흘러나와
  무엇이든 생겨나는 것들을 펼쳐 놓는 게 아니라면. (...)

  그러므로 우리는 아무 것도 무(無)로부터 만들어질 수 없음을 시인해야 한다.
  사물들에게는 각각의 것이 거기서 생겨나
  공기의 부드러운 산들바람 속으로 보내질 수 있는 바. (...)


  아무 것도 무(無)로 돌아가지 않음

  여기에 다음 것이 덧붙여진다.
  즉, 자연은 각각의 것들을 다시금 그 자신의 알갱이로 해체된다는 것,
  사물들은 결코 무(無)가 되도록 파괴되지 않는다는 것.

  왜냐하면 만일 어떤 사물이 그 최종적인 부분까지 필멸(必滅)하는 것이라면,
  각각의 사물은 갑자기 눈 앞에서 채여가서 소멸할 테니까.
  그것의 부분들에게서 해체를 준비하고, 결합을 풀어헤칠 수 있는 그 어떤 힘도 필요치 않을 테니까.
  하지만 현재 그러하듯, 각각의 것들은 영원한 씨앗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물들을 타격으로써 흩어 나누거나,
  빈곳들을 통해 안으로 똟고 들어가 해체하는 힘이 닥쳐오지 않는 한,
  자연은 그 어떤 것의 파괴도 허용하지 않는다. (...)

  어디로부터 종에 따라 양식을 공급하며 키우고 자라게 하겠는가?
  토박이인 샘들과 멀리 바깥에서 오는 강들은 어떻게 바다를 채울 것인가?
  창공은 어떻게 별들을 먹일 것인가?
  지나가버린 무한한 세월과 날들이 스러지는 몸으로 모든 것을 소모해버렸어야만 하니 말이다.
  그러나 만일 그 시간과 지나가버린 세월에
  그것들로부터 사물들의 이 총체가 재생되어 유지된 그런 것들이 있었다면
  그것들은 확실히 불멸의 본성을 부여받은 것들이다.
  따라서 각각의 것들이 무로 돌려질 수는 없다. 
  만약 영원한 질료가 튼튼하든 느슨하든 그들 사이의 결합을 얽어 잡아주고 있지 않다면,
  같은 종류의 힘과 원인이 모든 것을 다함께 파괴했을 것이다. (...)

  기원들의 서로간의 결합은 각기 다르게 되어 있으며 질료는 영원한 것이므로,
  각 사물의 조직에 충분히 날카로운 것으로 밝혀진 힘이 다가오기까지는
  사물들은 손상되지 않은 몸체들로 이뤄진 채 남아 있다.
  그러므로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고,
  모든 것이 분해에 의해 질료의 알갱이로 돌아간다. (...)

  -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루크레티우스 · 아카넷 · 2012년 · 원제 : De Rerum Natura) p.37~44
  












  1. 18
    Apr 2019
    07:51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숭고미와 전쟁, 그리고 종교

    (...) 사람들은 어떤 대상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대상을 두려운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곧 우리가 순전히, 가령 어떤 대상에 저항을 해보려는 경우를 생각하고, 그 경우에 모든 저항이 어림없는 허사가 될 것으로 어떤 대상을 판정한다면 말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44 file
    Read More
  2.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63 file
    Read More
  3. 12
    Apr 2019
    04:39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상상력 · 지성 · 자연

    (...)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이 근거하는 주관적인 세 인식 원천이 있는데, 그것은 감각기능(감각기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이것들 중 어느 것이라도 경험적으로, 말하자면 주어진 현상들에 대한 적용에서 고...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897 file
    Read More
  4. 11
    Apr 2019
    15:06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선험적 인식 · 자연의 합목적성

    (...) 모든 지각들이 일관되고 합법칙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표상되는 오직 하나의 경험만이 있다. 그것은 거기에 현상들의 모든 형식과 존재 · 비존재의 모든 관계가 생기는 오직 하나의 공간 · 시간만이 있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이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66 file
    Read More
  5. 11
    Apr 2019
    01:48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칸트의 기획

    (...) 모든 경험들은 그것을 통해 무엇인가가 주어지는 감관의 직관 외에 또한 직관에 주어지는, 다시 말해 현상하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대상들 일반에 대한 개념들은 선험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경험인식의 기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41 file
    Read More
  6. 07
    Apr 2019
    01:34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논리학 · 진리의 문제

    (...) 일반 논리학은 인식의 모든 내용, 다시 말해서 인식의 대상과의 모든 관계 맺음을 도외시하고, 인식들 상호간의 관계에서의 논리적 형식, 다시 말해 사고 일반의 형식만을 고찰한다. 그런데 초월적 감성학이 밝혀주듯이 순수한 직관 뿐만 아니라 경험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165 file
    Read More
  7. 04
    Apr 2019
    07:2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감성학

    (...)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수단에 의해 언제나 인식이 대상들과 관계를 맺든지 간에, 그로써 인식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그리고 모든 사고가 수단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그런데 직관은 오로지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17 file
    Read More
  8. 30
    Mar 2019
    23:4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인식 · 순수 지성

    (...) 모든 인식은 재료(내용, Materie)와 이 재료를 정리 정돈하는 형식(틀, Form)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거니와, 인식이 사고의 산물인 한에서 인식의 형식은 사고의 형식이며, 이 사고의 형식은 이미 지성에 "예비되어 놓여 있다"(A66=B91). 그러므로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81 file
    Read More
  9.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41 file
    Read More
  10.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78 file
    Read More
  11. 13
    Mar 2019
    18:04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결론

    (...) 다수가 비천함과 가난 속에서 살 때 소수의 권력자와 부자가 권세와 부의 절정을 누리는 것은, 후자의 인간들이 자신이 누리는 것을 전자의 인간들이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만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민중이 비참하지 않게 되면 상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687 file
    Read More
  12.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4 file
    Read More
  13. 17
    Feb 2019
    00:38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 책의 결론, '공감(sympathy)'

    (...)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인간의 마음을 들끓게 하는 주요 원인은 쾌락과 고통이다. 이런 감각적인 감정이 우리의 사유나 감정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대개 정서도 느낄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으며, 욕구나 의욕 역시 보나마나 불가능해질 것이다. 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98 file
    Read More
  14. 14
    Feb 2019
    06:43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목적론 · 신학 · 교화와 훈육 · 도덕

    (...) 칸트에 따르면 어느 누구도 유기적 존재자들이 목적인의 "실마리"에 따라 판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B319~V389) (중략) '자연의 기술'이라는 개념은 곧 자연목적을 설명할 수 없음을 근거로 해서 "교조적"($74)으로 취급될 수는 없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32 file
    Read More
  15. 14
    Feb 2019
    05:07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목적론 · 목적론적 판단력

    (...) 과연 자연 안에 객관적 합목적성이 나타나는가? (중략) 자연은 목적의 표상에 따라 행위하는 지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자연 안에서 발생되는 합목적성은 특수한 것임에 틀림없다. 구성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의 모든 대상들은 어쨌든 작용 연결(nexus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07 file
    Read More
  16. 13
    Feb 2019
    18:12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예술 · 예술가 · 변증성 · 판단력

    (...) 미감적 판단은 보편적 동의를 요구하지만, 독창적 예술가만이 미적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예술 작품들은 자유에 의해 산출된다($43) 실천적 '할 수 있음'이 이론적 앎과 구별되듯이, 숙련의 기예는 학문과 구별된다. 그리고 예술은 언제나 자유로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08 file
    Read More
  17. 13
    Feb 2019
    05:50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의 감정(우아미)과 숭고의 감정(숭고미)

    (...) 미의 감정과는 달리 숭고의 감정은 질의 면에서 상상력과 이성의 부조화에 의거한다.($27) "미적인 것의 판정에 있어서 상상력과 지성이 그들의 일치에 의해 그렇게 하듯이, 이 경우에는 상상력과 이성이 그들의 상충에 의해 마음의 능력들의 주관적 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221 file
    Read More
  18. 07
    Feb 2019
    00:21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역사

    (...) 마지막 질문은 이런 것이다. 어떻게 궁극 목적은 또한 자연의 최종 목적인가? 다시 말해, 오로지 초감성적 존재로서, 또 가상체로서만 궁극 목적인 인간이 어떻게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일 수 있는가?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초감성계가 감성계와 통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617 file
    Read More
  19. 06
    Feb 2019
    21:59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자연목적론·합목적성·도덕목적론·신학

    (...) 세 개의 비판은 진정한 전환의 체계를 보여준다. 첫째, 능력들은 표상 일반(인식함, 욕구함, 느낌)의 관계에 따라 정의된다. 둘째, 능력들은 표상의 원천(상상력, 지성, 이성)으로서 정의된다. 첫번째 의미의 능력들 각각마다 반드시 두 번째 의미의 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86 file
    Read More
  20.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151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