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죽어가는 자의 고독 : 죽음에 대한 억압의 증후, 죽음의 배제

by 이우 posted Jul 20, 2017 Views 146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죽어가는자의 고독01.jpg


  (...) 삶을 마치는 것, 사망증명서와 묘지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천천히 죽어간다. 즉 많은 이들이 병약해지고 노쇠한다. 물론 임종하는 마지막 순간이 중요하기는 하다. 그러나 사람들과의 이별은 그보다 훨씬 더 일찍 시작된다. 종종 노쇠는 그 병약함으로 인해 삶과 다른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서서히 쇠락해 간다는 사실이 그 사람을 삶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점차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도 못하고 쓸쓸하게 느껴지면서 여전히 사람들이 주위에 남아있기를 바란다. 

  그것이 가장 힘든 것이다. 즉 살아있는 사람들의 공동체에서 나이 든 사람, 즉 죽어가는 사람들이 암묵적으로 분리되는 것, 친한 사람들과의 관계가 점점 차가워지는 것, 일반적으로 그들에게 삶의 의미와 안온함을 주었던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는 것, 이것이 가장 힘든 일이다. 말년은 고통 속에서 병마와 싸우는 사람들뿐 아니라 혼자 남겨진 사람에게도 가혹한 시간이다. 의도한 것은 아니더라도 특히 선진 사회에서 빈번하게 죽음의 때 이른 격리가 일어난다는 사실은 이 사회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

  검투사들이 행진하면서 황제에게 "죽으러 가는 자들이 황제께 인사드립니다"라고 예를 표했던 것은 유명한 사실이다. (...) 오늘날에도 일부 통치자들은 수많은 사람들의 생사를 결정하는 권력을 휘두른다. (...) 오늘날 죽음은 배제되었다. (...) 그들의 죽음이 우리의 죽음을 상기시킨다는 이유로 죽어가는 이들을 멀리하는 것이다. 죽어가는 사람의 모습을 보는 것은 나 자신의 죽음이라는 관념에 대해 방벽처럼 막아놓았던 방어적 환상을 흔들어 놓는다. (...) 죽어가는 사람과 너무 가까이 접촉하면 우리의 소망적 환상은 깨질 위험이 있다. (...) 개인적 수준에서 죽음의 문제를 죽음의 관념을 배제하는 문제 외에도 사회적 배제의 문제가 존재한다. 사회적 수준에서 죽음의 배제라는 개념은 다른 의미를 띤다.(...)

  (...) 지금으로부터 사오백 년 전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문명화 과정의 전개 속에서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 죽어가는 방식 자체도 다른 모든 것들과 더불어 변화를 겪었다. (...) 옛날에는 죽어가는 일이 오늘날보다 훨씬 공개되어 있었다. 그 당시 조건으로 보았을 때 다른 식으로 죽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무엇보다 사람들이 혼자 있는 경우가 드물었다. (...) 출생과 사망은 훨씬 공개적이었고, 따라서 오늘날과 비교했을 때 훨씬 사회적이었다. 그 영역들은 사적인 성격을 덜 가지고 있었다. 오늘날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죽음에 관한 사실을 알려주기 꺼려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개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죽음에 대한 억압의 징후로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어린아이들이 상처받을지 모른다는 모호한 감정 때문에 사람들은 아이들이 반드시 알고 이해해야 할 단순한 사실들을 감추려고 한다.

  그러나 위험은 아이들이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그 자신을 포함해 모든 존재의 유한성을 아는 것에 있지 않다. 모든 경우에 아이들의 환상(Phantasie)은 이 문제를 둘러싸고 있으며, 아이들의 강렬한 상상력으로 인해 죽음을 둘러싼 공포와 불안이 가중되는 경우도 많다.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오랫동안 삶을 살아가리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은 이러저러한 혼란스러운 환상에 사로잡히는 것보다 훨씬 유쾌한 일이다. 문제는 아이들에게 죽음에 대해 말해야 되는가 아닌가가 아니라 죽음을 말하는 방식이다. (...)

  우리 시대에 죽어가는 사람 곁에서 살아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각별하다고 할 당혹감은 죽음과 죽어가는 사람이 사회 생활에서 최대한 배제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죽어가는 사람을 다른 이들로부터 철저히 격리한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건강한 사롬과 죽어가는 사람, 산 자와 죽은 자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이 단계 특수적인 문제들이 각각 별도의 문제로 제시된다면 그것은 잘못된 구도일 것이다. (...)

  죽어가는 사람에게서 물러서는 살아 있는 자들, 그리고 그 주위로 점차 번지는 침묵은 임종 이후에도 계속된다. 시신 처리와 묘지 관리에서 그점이 잘 나타난다. 오늘날 이 둘은 대부분 가족, 친지, 친구의 손을 떠나 돈을받고 일하는 전문인의 손에 맡겨져 있다. 죽은 사람에 대한 기억이 아직 눈에 선한데도 그들에게 시신과 묘지는 별 의미를 갖지 않는다. 죽은 아들의 시신을 두고 슬퍼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그린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는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납득 가능하지만 실제 사건이라고 믿기는 어렵다.

  묘지관리업자들이 발핸한 홍보 책자를 보면 묘지 관리가 가족의 손에서 떠나 전문가의 일로 넘겨져 있음을 말해준다. 당연한 것이겠지만 이 책자에는 묘지를 장식하는 꽃의 양을 줄이려는 동종 경쟁업자들에 대한 경계의 말이 적혀 있다. 영릴르 목적으로 하는 그 업자들은 홍보 책자가 마음에 다가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죽은 사람이 묻힌 장소인 묘지의 의미에 대해 침묵하는 것이 거의 철칙이다. (...) 

  무덤 주변에서 재미있게 뛰노는 아이들은 잘 다듬어진 잔디와 화단을 관리하는 경비들로부터 죽은 자에 대한 존경을 표할 줄 모르는 버릇없음에 대해 꾸지람을 듣는다. (...) 장례식과 무덤을 둘러싼 경건함, 무덤 주변은 고요해야 한다는 생각, 묘지에서는 목소리를 낮추어야 한다는 관념, 이 모든 것은 죽은 자와 산 잘르 다로 떼어놓는 형식이자 죽은 자들의 인접성, 그리고 그 때문에 우리가 위협을 가능한 멀리 하려는 수단이다. (...)

  개인의 불멸성 환상은 최근에 와서 본격화되는 사회적 개인화 과정과 결합되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고도로 제도화된 불멸성 환상은 현재 우리 사회 속에서 다소 활력을 잃은 상태이지만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누군가 죽었을 때 사람들이 아이들에게 말해줄 수 있는 사회적으로 적절한 표현에 대해 한 교과서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할아버지는 천국에 계신단다." "엄마는 하늘에서 너를 굽어보고 계신단다." "네 여동생은 천사가 되었단다."

  이 예는 인간 존재의 돌이킬 수 없는 유한성을 집합적 소망의 관념으로 은폐하는, 특히 어린이들이 알지 못하게 감추는 경향, 즉 철저한 사회적 검열을 통해 확실히 은폐해버리는 경향이 우리 사회 속에 이미 안착해 있음을 보여준다. (...)

 - 『죽어가는 자의 고독』(노베르트 엘리아스 · 문학동네 · 2012년 · 원제 : Uber die Einsamkeit der Sterbenden, 1982년) p.8~47












  1. 18
    Apr 2019
    07:51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숭고미와 전쟁, 그리고 종교

    (...) 사람들은 어떤 대상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대상을 두려운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곧 우리가 순전히, 가령 어떤 대상에 저항을 해보려는 경우를 생각하고, 그 경우에 모든 저항이 어림없는 허사가 될 것으로 어떤 대상을 판정한다면 말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48 file
    Read More
  2.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88 file
    Read More
  3. 12
    Apr 2019
    04:39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상상력 · 지성 · 자연

    (...)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이 근거하는 주관적인 세 인식 원천이 있는데, 그것은 감각기능(감각기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이것들 중 어느 것이라도 경험적으로, 말하자면 주어진 현상들에 대한 적용에서 고...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30 file
    Read More
  4. 11
    Apr 2019
    15:06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선험적 인식 · 자연의 합목적성

    (...) 모든 지각들이 일관되고 합법칙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표상되는 오직 하나의 경험만이 있다. 그것은 거기에 현상들의 모든 형식과 존재 · 비존재의 모든 관계가 생기는 오직 하나의 공간 · 시간만이 있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이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73 file
    Read More
  5. 11
    Apr 2019
    01:48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칸트의 기획

    (...) 모든 경험들은 그것을 통해 무엇인가가 주어지는 감관의 직관 외에 또한 직관에 주어지는, 다시 말해 현상하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대상들 일반에 대한 개념들은 선험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경험인식의 기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2 file
    Read More
  6. 07
    Apr 2019
    01:34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논리학 · 진리의 문제

    (...) 일반 논리학은 인식의 모든 내용, 다시 말해서 인식의 대상과의 모든 관계 맺음을 도외시하고, 인식들 상호간의 관계에서의 논리적 형식, 다시 말해 사고 일반의 형식만을 고찰한다. 그런데 초월적 감성학이 밝혀주듯이 순수한 직관 뿐만 아니라 경험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170 file
    Read More
  7. 04
    Apr 2019
    07:2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감성학

    (...)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수단에 의해 언제나 인식이 대상들과 관계를 맺든지 간에, 그로써 인식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그리고 모든 사고가 수단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그런데 직관은 오로지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24 file
    Read More
  8. 30
    Mar 2019
    23:4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인식 · 순수 지성

    (...) 모든 인식은 재료(내용, Materie)와 이 재료를 정리 정돈하는 형식(틀, Form)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거니와, 인식이 사고의 산물인 한에서 인식의 형식은 사고의 형식이며, 이 사고의 형식은 이미 지성에 "예비되어 놓여 있다"(A66=B91). 그러므로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96 file
    Read More
  9.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60 file
    Read More
  10.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98 file
    Read More
  11. 13
    Mar 2019
    18:04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결론

    (...) 다수가 비천함과 가난 속에서 살 때 소수의 권력자와 부자가 권세와 부의 절정을 누리는 것은, 후자의 인간들이 자신이 누리는 것을 전자의 인간들이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만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민중이 비참하지 않게 되면 상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727 file
    Read More
  12.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8 file
    Read More
  13. 17
    Feb 2019
    00:38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 책의 결론, '공감(sympathy)'

    (...)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인간의 마음을 들끓게 하는 주요 원인은 쾌락과 고통이다. 이런 감각적인 감정이 우리의 사유나 감정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대개 정서도 느낄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으며, 욕구나 의욕 역시 보나마나 불가능해질 것이다. 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009 file
    Read More
  14. 14
    Feb 2019
    06:43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목적론 · 신학 · 교화와 훈육 · 도덕

    (...) 칸트에 따르면 어느 누구도 유기적 존재자들이 목적인의 "실마리"에 따라 판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B319~V389) (중략) '자연의 기술'이라는 개념은 곧 자연목적을 설명할 수 없음을 근거로 해서 "교조적"($74)으로 취급될 수는 없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38 file
    Read More
  15. 14
    Feb 2019
    05:07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목적론 · 목적론적 판단력

    (...) 과연 자연 안에 객관적 합목적성이 나타나는가? (중략) 자연은 목적의 표상에 따라 행위하는 지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자연 안에서 발생되는 합목적성은 특수한 것임에 틀림없다. 구성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의 모든 대상들은 어쨌든 작용 연결(nexus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18 file
    Read More
  16. 13
    Feb 2019
    18:12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예술 · 예술가 · 변증성 · 판단력

    (...) 미감적 판단은 보편적 동의를 요구하지만, 독창적 예술가만이 미적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예술 작품들은 자유에 의해 산출된다($43) 실천적 '할 수 있음'이 이론적 앎과 구별되듯이, 숙련의 기예는 학문과 구별된다. 그리고 예술은 언제나 자유로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26 file
    Read More
  17. 13
    Feb 2019
    05:50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의 감정(우아미)과 숭고의 감정(숭고미)

    (...) 미의 감정과는 달리 숭고의 감정은 질의 면에서 상상력과 이성의 부조화에 의거한다.($27) "미적인 것의 판정에 있어서 상상력과 지성이 그들의 일치에 의해 그렇게 하듯이, 이 경우에는 상상력과 이성이 그들의 상충에 의해 마음의 능력들의 주관적 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240 file
    Read More
  18. 07
    Feb 2019
    00:21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역사

    (...) 마지막 질문은 이런 것이다. 어떻게 궁극 목적은 또한 자연의 최종 목적인가? 다시 말해, 오로지 초감성적 존재로서, 또 가상체로서만 궁극 목적인 인간이 어떻게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일 수 있는가?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초감성계가 감성계와 통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650 file
    Read More
  19. 06
    Feb 2019
    21:59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자연목적론·합목적성·도덕목적론·신학

    (...) 세 개의 비판은 진정한 전환의 체계를 보여준다. 첫째, 능력들은 표상 일반(인식함, 욕구함, 느낌)의 관계에 따라 정의된다. 둘째, 능력들은 표상의 원천(상상력, 지성, 이성)으로서 정의된다. 첫번째 의미의 능력들 각각마다 반드시 두 번째 의미의 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94 file
    Read More
  20.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31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