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인정투쟁 : 미드의 사회심리학은 어떤가? 타인의 인정을 받아야 가치로운 삶인가?

by 이우 posted Jun 19, 2017 Views 226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인정투쟁.jpg


  "누군가가 날씨에 반응한다고 해서 이것이 날씨 자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의 행동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그가 자신의 태도와 반응습관을 의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가 올지 날이 좋을지에 대한 조짐을 의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공적인 사회적 행위는 타자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자신의 태도에 대한 의식이 필요한 영역이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143)

  "표정이나 몸짓이 타인에게 갖는 의미는 단지 불완전하게 감지될 뿐이지만 음성 행위는 귀를 통해 다른 사람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된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35)

  "자연적인 존재인 인간이 타인을 자극하듯 자기자신을 자극하고, 타인의 자극에 대해 반응하듯 자신의 자극에 반응에 반응할 수 있다는 사실은 바로 인간의 행위를 사회적 대상의 형태와 접목시켜 준다. 이른바 주관적 경험이 관련할 수 있는 '목적격 나*'란 이러한 사회적 대상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 '주격 나'*는 결코 의식 속의 대상으로 존재할 수 없다. 그러나 '주격 나'는 우리의내적 경험의 대화적 성격, 즉 우리가 우리 자신의 말에 대답하는 과정 속에 존재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과정은 우리의 의식 속에 등장하는 몸짓과 상징들에 대해 바로 무대 뒤에서 대답하는 '주격 나'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이러한 '목적격 나'는 먼저 형성돼서 나중에 타인에게 투영, 투사됨으로써 그들의 삶을 풍부하게 해주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사회적 대상들의 영역에서 우리가 내적 경험으로 간주하는 무정형적이고 비조직적인 영역으로 옮겨간 것이다. 사회적 대상, 즉 자기 정체성의 조직화를 통해 이 내적 영역이 조직화되고, 이른바 자기의식이라는 형태 속에서 개인의 통제 아래 놓이게 된다. (...) 몸짓이나 상징 속에서 의식된 것은 사회적 과정에서 작용하는 나의 정체성이며, 이것은 대상으로서의 '나'를 의미한다. 이러한 나는 지속적인 반작용 과정 속에 놓여 있는 다수의 정체성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결코 인지될 수 없는 하나의 가상적인 '나'를 포함한다. "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38~240)

  "어린아이가 자신의 행위를 좋은 것 또는 나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단지 그가 자기 부모의 말에 대한 기억을 통해서 자신의 행위에 반응할때이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46)

  "놀이(Play)의 단계에서 어린아이는 자기자신과 이야기하며 논다. 이는 어린아이가 구체적인 행위 상대자의 행위를 모방하고 또한 그것을 보충하여 자신의 행위를 통해 그 상대자의 행위에 반응한다는 점에서이다. 이에 반해 경기(Game)의 단계는 성장기의 청소년들로 하여금 모든 게임의 참가자들이 기대하는 행위를 바로 스스로 재현할 것을 요규한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 자신의 역할을 기능적으로 조직된 행위 맥락에서 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는 각각의 어린아이가 자신 속에서 예측해야만 하는, 규범적으로 기대되는 행위의 일반성 정도에 따라 구별된다. 첫번째 경우에서는 사회적으로 관련된 어떤 인물의 행위가 모범이 되는 데 반해, 두번째 경우에서는 사회적으로 규범적으로 기대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 개인의 행위 속에서 통제적인 방식으로 개입할 수밖에 없다. 첫번째 단계에서 두번째의 단계로 이행하게 되면서 성장기의 청소년들의 실천적인 자화상에는 타자의 사회적 행위 규범이 침투하게 된다. (...)
  놀이와 경기가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바로 경기에서 어린아이들이 다른 모든 참여자들의 태도를 사전에 알아야 한다는 점에 있다. 경기 참여자들이 가정하는 동료 경기자들의 태도는 통일적으로 조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직을 통해 다시 참여자 각각의 행위를 통제한다. 우리에게 야구 경기자들의 예가 필요하다. 야구 경기자 각각의 행위는 예상된 행위에 대한 가정을 통해 규정된다. 그리고 경기자들은 또한 각기 다른 소속 팀의 구성원이기도 하다는 사실 때문에 각 경기자들의 일거일동이 통제된다. 왜냐하면 적어도 소속 팀의 태도가 각 경기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동일한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개인의 태도를 조직하는 어떤 '타자'와 부딪히게 된다. (...)
  각각의 사회적 전체 또는 조직화된 사회의 광범위한 응집 활동을 여기에 참여한, 또는 여기에 포함된 모든 개개인의 경험 영역 속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바로 개인의 자기 정체성이 완전히 전개되기 위한 결정적인 토대이자 전제다. 각 개인은 오직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화된 사회 집단이 집단 내의 조직화된, 공동 작업에 기인한 사회적 활동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들을 수용할 때에만 완전한 자기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형성한 정체성을 소유할 수 있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197)

  "공동체에서 유지될 수 있는 개인의 자기정체성은 바로 그것이 타인을 인정하는 것일 때 인정된다. (...)어떤 사람이 한 사회 내에서 자신의 재산을 지키고자 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가 이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타인의 태도를 받아들이는 것이 자신의 권리가 인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 이를 통해 사람들은 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위치를 갖게 되며, 또한 그러한 존엄에 도달하게 된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40~242)

  "자신의 내부에 가장 깊숙이 있는 의식으로 돌아가서 우리의 자기존중을 지탱해주는 것을 찾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분명 깊고 확실한 토대가 존재한다. 사람들은 약속을 지키고 의무를 이행한다.  이것은 이미 자기존중의 한 토대를 제공한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 사회의 구성원 대부분에게 부여되어 있는 속성이다. 우리는 종종 약속을 어기기도 하지만 대체로 약속을 지킨다. 우리는 한 공동체에 속해 있으며, 우리의 자기존중은 우리가 우리를 자기의식을 가지고 있는 시민으로 보는 데 달려 있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48)

  "'목적격 나'와 '주격 나'는 대립해 있다. 각 개인은 시민, 즉 공동체의 구성원일 뿐만 아니라 이 공동체에 반작용을 가하며, 우리가 몸직의 전딜에서 보았듯이 반작용을 통해 공동체를 변화시킨다. 공동체의 태도가 개인의 경험 속에 나타나듯이 '주격 나'는 공동체의 태도에 대한 개인의 반작용이다. 그리고 개인의 반작용은 공동체의 조직적 태도를 다시 변화시킨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40)

  " (권리 인정 요구)는 규약이나 법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황이 가능한 것은 단지 각 개인이 이른바 협소하고 제한된 사회에서 더 넓은 사회로 나아갈 때이다. 더 넓다는 뜻은 논리적인 의미에서 덜 제한된 권리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제반 권리가 공공 영역에서 인정된 사회에서는 더 이상 의미 없는 경직된 규약에서 벗어나 다른 규약을 요청한다. 물론 이러한 요청은 후손들에게 제기된 것이지만, 익서을 요구할 때 우리는 이 요구에 반작용하는 조직된 타자의 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43)

  '이것이, 즉 상호 영향이 사회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상호 영향이 일어나는 것은 개인들이 결국 무엇인가를 생각할 때이다. 몇 가지 측면에서 우리는 지속적으로 우리의 사회적 체계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11)

  "원시사회와 문명화된 인간 사회의 차이점 가운데 하나는 이런 것이다.  원시사회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그들의 사고나 행동과 관련지어볼 때, 문명화된 사회에서보다 각각의 사회 집단이 수행하는 조직화된 사회 활동의 일반적 모형의 규정을 훨씬 많이 받는다. 달리 표현하면, 원시적 인간사회가 개성을 위해서, 즉 개인의 자기 정체성의 측면에서 볼 때 자신만의 고유하고도 유일한 창조적인 사고와 행위를 위해 제공하는 공간은 문명화된 사회보다 훨씬 더 협소하다는 것이다. 사실 원시사회에서 문명화된 사회로 발전하게 된 것은 주로 개인의 자기 정체성과 개인의 행위가 지속적으로 사회적 해방을 겪었기 때문이며, 또한 이러한 해방을 통해 가능해졌고 그 결과이기도 한 사회과정의 변화와 정교화 때문이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65)

  "위대한 인간들은 공동체 내의 자신의 역할을 통해 공동체를 변화시킨 사람들이다. 이들은 공동체를 풍부하게 하고 또 확대했다. 역사상 위대한 종교인들은 공동체 내의 자신의 역할을 통해 공동체의 가능한 넓이를 확대했다. 예수는 이웃에 대한 비유를 통해, 예를 들어 가족과 같은 공동체 개념을 확대했다. 가족 공동체 밖의 사람들이라 할지라도 이제는 일반화된 가족의 태도를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과 관련된 개인들을 자신의 공동체, 즉 보편종교의 구성원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60)

  "그러나 이것은 우리에게 충분하지 않다. 왜냐하면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의 차이 속에서 우리 자신이 안정되기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는 이러한 구분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한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 우리는 언어나 복장습관, 엄청난 기억력, 그리고 우리를 우리에게 유익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구별시켜주는 이러저러한 것들의 힘으로 자신을 지탱하고 있다. (...) 사회적 자기 정체성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실현된다. 자기 정체성은 타인의 인정을 받아야만 우리가 부여받고 싶어하는 가치를 얻게 된다." (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48~249)

  "현실적인 우월감을 갖는데서 중요한 것은 정해진 기능을 수행했을 때 느끼는 우월감이다. 누구는 좋은 외과의사이다, 누구는 좋은 변호사이다. 사람들은 바로 이러한 우월성을 통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 바로 이것이 사람들이 말하는 우월감이다. 만약 사람들이 자신의 공동체 내부에서 이렇게 행동한다면, 이 공동체에는 타인에 대한 자신의 우월성 때문에 유명해진 어떤 개인을 떠올릴 때 우리가 염두에 두는 이기적 요소 따위는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다."(G.H Mead, "Die definition des Psychischen", in : Gesammelelte Aufstze, p.252)

   - <인정투쟁-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악셀 호네트 · 사월의책 · 2011년, 원제 : Kampf um Anerkennung) p.147~177




  ...............
  *목적격 나 : '목적격 나(me)'는 대상화한 자기 자신읆 말한다. 즉, 타인이 가지고 있는 나의 상(像)이다. 나 자신에 대해 반응하는 상대방의 관점에서 인지되는 나의 모습니다. 상대어는 '주격 나(I)'. 스스로 존재하는 '나'로, 모든 현재적 행위에 규정되지 않은 '나'를 말한다. '주격 나'는 비록 인지될 수는 없지만 행위상의 문제에 대해 해석한다.












  1. 18
    Apr 2019
    07:51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숭고미와 전쟁, 그리고 종교

    (...) 사람들은 어떤 대상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대상을 두려운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곧 우리가 순전히, 가령 어떤 대상에 저항을 해보려는 경우를 생각하고, 그 경우에 모든 저항이 어림없는 허사가 될 것으로 어떤 대상을 판정한다면 말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42 file
    Read More
  2.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47 file
    Read More
  3. 12
    Apr 2019
    04:39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상상력 · 지성 · 자연

    (...)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이 근거하는 주관적인 세 인식 원천이 있는데, 그것은 감각기능(감각기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이것들 중 어느 것이라도 경험적으로, 말하자면 주어진 현상들에 대한 적용에서 고...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894 file
    Read More
  4. 11
    Apr 2019
    15:06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선험적 인식 · 자연의 합목적성

    (...) 모든 지각들이 일관되고 합법칙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표상되는 오직 하나의 경험만이 있다. 그것은 거기에 현상들의 모든 형식과 존재 · 비존재의 모든 관계가 생기는 오직 하나의 공간 · 시간만이 있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이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62 file
    Read More
  5. 11
    Apr 2019
    01:48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칸트의 기획

    (...) 모든 경험들은 그것을 통해 무엇인가가 주어지는 감관의 직관 외에 또한 직관에 주어지는, 다시 말해 현상하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대상들 일반에 대한 개념들은 선험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경험인식의 기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37 file
    Read More
  6. 07
    Apr 2019
    01:34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논리학 · 진리의 문제

    (...) 일반 논리학은 인식의 모든 내용, 다시 말해서 인식의 대상과의 모든 관계 맺음을 도외시하고, 인식들 상호간의 관계에서의 논리적 형식, 다시 말해 사고 일반의 형식만을 고찰한다. 그런데 초월적 감성학이 밝혀주듯이 순수한 직관 뿐만 아니라 경험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163 file
    Read More
  7. 04
    Apr 2019
    07:2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감성학

    (...)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수단에 의해 언제나 인식이 대상들과 관계를 맺든지 간에, 그로써 인식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그리고 모든 사고가 수단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그런데 직관은 오로지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14 file
    Read More
  8. 30
    Mar 2019
    23:4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인식 · 순수 지성

    (...) 모든 인식은 재료(내용, Materie)와 이 재료를 정리 정돈하는 형식(틀, Form)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거니와, 인식이 사고의 산물인 한에서 인식의 형식은 사고의 형식이며, 이 사고의 형식은 이미 지성에 "예비되어 놓여 있다"(A66=B91). 그러므로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80 file
    Read More
  9.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36 file
    Read More
  10.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77 file
    Read More
  11. 13
    Mar 2019
    18:04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결론

    (...) 다수가 비천함과 가난 속에서 살 때 소수의 권력자와 부자가 권세와 부의 절정을 누리는 것은, 후자의 인간들이 자신이 누리는 것을 전자의 인간들이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만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민중이 비참하지 않게 되면 상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684 file
    Read More
  12.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1 file
    Read More
  13. 17
    Feb 2019
    00:38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 책의 결론, '공감(sympathy)'

    (...)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인간의 마음을 들끓게 하는 주요 원인은 쾌락과 고통이다. 이런 감각적인 감정이 우리의 사유나 감정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대개 정서도 느낄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으며, 욕구나 의욕 역시 보나마나 불가능해질 것이다. 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98 file
    Read More
  14. 14
    Feb 2019
    06:43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목적론 · 신학 · 교화와 훈육 · 도덕

    (...) 칸트에 따르면 어느 누구도 유기적 존재자들이 목적인의 "실마리"에 따라 판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B319~V389) (중략) '자연의 기술'이라는 개념은 곧 자연목적을 설명할 수 없음을 근거로 해서 "교조적"($74)으로 취급될 수는 없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29 file
    Read More
  15. 14
    Feb 2019
    05:07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목적론 · 목적론적 판단력

    (...) 과연 자연 안에 객관적 합목적성이 나타나는가? (중략) 자연은 목적의 표상에 따라 행위하는 지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자연 안에서 발생되는 합목적성은 특수한 것임에 틀림없다. 구성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의 모든 대상들은 어쨌든 작용 연결(nexus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04 file
    Read More
  16. 13
    Feb 2019
    18:12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예술 · 예술가 · 변증성 · 판단력

    (...) 미감적 판단은 보편적 동의를 요구하지만, 독창적 예술가만이 미적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예술 작품들은 자유에 의해 산출된다($43) 실천적 '할 수 있음'이 이론적 앎과 구별되듯이, 숙련의 기예는 학문과 구별된다. 그리고 예술은 언제나 자유로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06 file
    Read More
  17. 13
    Feb 2019
    05:50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의 감정(우아미)과 숭고의 감정(숭고미)

    (...) 미의 감정과는 달리 숭고의 감정은 질의 면에서 상상력과 이성의 부조화에 의거한다.($27) "미적인 것의 판정에 있어서 상상력과 지성이 그들의 일치에 의해 그렇게 하듯이, 이 경우에는 상상력과 이성이 그들의 상충에 의해 마음의 능력들의 주관적 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219 file
    Read More
  18. 07
    Feb 2019
    00:21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역사

    (...) 마지막 질문은 이런 것이다. 어떻게 궁극 목적은 또한 자연의 최종 목적인가? 다시 말해, 오로지 초감성적 존재로서, 또 가상체로서만 궁극 목적인 인간이 어떻게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일 수 있는가?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초감성계가 감성계와 통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612 file
    Read More
  19. 06
    Feb 2019
    21:59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자연목적론·합목적성·도덕목적론·신학

    (...) 세 개의 비판은 진정한 전환의 체계를 보여준다. 첫째, 능력들은 표상 일반(인식함, 욕구함, 느낌)의 관계에 따라 정의된다. 둘째, 능력들은 표상의 원천(상상력, 지성, 이성)으로서 정의된다. 첫번째 의미의 능력들 각각마다 반드시 두 번째 의미의 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85 file
    Read More
  20.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14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