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은 '여성'이라는 범주를 허무는 일이다.

by 이우 posted May 01, 2017 Views 234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젠더트러블.jpg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_시몬드 보부아르
  엄밀히 말해 '여성들'이 존재한다고 할 수 없다_쥴리아 크리스테바
  여성은 하나의 성을 갖지 않는다_뤼스 이리가레
  섹슈얼리티의 전개는 오늘의 성관념을 만들어 냈다_미셀 푸코
  성의 범주란 이성애적 사회에 기초한 정치적 범주이다_모니크 위티그   

  (...) 대체로 페미니즘 이론은 '여성의 범주'를 통해 이해되는 어떤 현존하는 정체성이 있다고 가정해 왔다. 그 여성의 범주는 담론 안에서 페미니스트의 이익과 목표를 창출해낼 뿐 아니라 페미니스트들의 정치적 재현이 추구하는 주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하지만 정치성과 재현은 논쟁적 용어들이다. 재현은 한편으로는 정치적 여성 주체의 가시성과 합법성을 확대하려는 정치적 과정에서 중요한 용어로 기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의 범주를 둘러싼 진실이라는 믿음을 알리거나 왜곡한다고 평가하는 규범적 언어의 기능을 한다. (...)

  최근 페미니즘 이론과 정치성 사이에 펼쳐진 이러한 전체적 관계에 대한 인식은 페미니즘 담론 내부로부터 도전을 받게 되었다. 여성이라는 주체는 더이상 고정되어 있거나 변하지 않는 용어로 생각되지 않는다. 재현되거나 실은 해방되어야 할 궁극적 후보인 주체가 생명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를 의문시하는 자료도 많았을 뿐 아니라, 무엇이 여성이라는 범주를 구성하고 또 구성해야 하는가에 대한 공통된 합의도 거의 없었다. 정치적이고 언어적인 재현이 허락되는 범주는 주체 자신이 형성되는 기준을 미리 세우고. 그 결과 재현은 주체로 승인될 수 있을 만큼만 펼쳐진다. 다시 말해. 재현이 펼쳐지려면 우선 주체가 되기 위한 필요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는것이다.

  푸코는 권력의 사법체계가 주체를 생산해내며, 그 주체들은 그 결과로 사법체계가 재현하는 것이라 지적한다. 권력의 사법적 개념들은 정치적 삶을 부정적 관념으로만 규제하는 것처럼 보인다. 즉 뜻하지 않은 사건이나 철회할 수도 있는 선택적 시행을 통해 정치체제와 연관된 개개인을 제한, 금지, 규제, 통제하고 심지어 보호함으로써 말이다. 이렇듯 체제에 의해 규정된 주체들은 그 체제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체제의 필요조건에 따라 형성되고 정의되고 재생산된다. 이 분석이 옳다면 여성을 페미니즘의 주체로 재현하는 언어와 정치학의 사법적 구성은 그 자체가 하나의 담론적 생산물이자 당면한 재현 정치학의 결과일 것이다. 그리고 페미니즘 주체는 자신이 해방시켜야 할 바로 그 정치체계에 의해 담론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판명된다. 이 체계가 다른 지배의 축을 따라 젠더화된 주체를 생산하는 것으로 드러난다면, 이는 정치적으로 문제가 될 것이다. 이런 경우 여성들의 해방을 위해 이런 체계에 무비판적으로 호소하는 것은 분명 자가당착일 것이다.

  주체의 문제는 정치학, 특히 페미니즘 정치학에서 중대한 문제다. 왜냐하면 사법적 주체라는 것은 정치학의 사법적 체계가 굳어지면 필경 '보이지 않는' 어떤 배타적 관행을 통해 생산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주체의 정치적 구조화는 특정한 합법화의 목표, 배타적 목표를 갖고 진행되는 것이며, 이 정치적 조작은 사법 권력을 자신의 기반으로 삼는 정치적 해석이 있기에 효과적으로 은폐되어 자연스러워 보이는 것이다. 사법적 권력은 자신이 그저 재현할 뿐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필연적으로 생산한다. 따라서 정치학은 권력의 이중적 기능, 즉 사법적 기능과 생산적 기능에 유의해야 한다.* 사실상 법은 '법 앞의 주체'라는 관념을 만들어 내고는 은폐해 버린다. 페미니즘 비평은 페미니즘 주체인 '여성들'의 범주가 해방을 추구하는 바로 그 권력체계에 의해 어떻게 생산되고 구속받는지도 알아야 한다.

  사실 '페미니즘 주제로서의 여성들'이 제기하는 문제는, 법이라는 범주 안에서의 재현이나 법에 의거한 재현을 기대하면서 법 앞에 맞서는 주체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아마도 그 주체는 시간적인 '앞'을 불러오는 동시에, 자신의 합법성을 주장하는 허구적 기반으로서의 법에 의해 구성되었을 것이다. (...)

  그러나 주체라는 개념을 지지하는 근본주의적 허구를 일단 제쳐두고라도 '여성들'이란 용어가 하나의 공통된 정체성을 의미한다는 가정에 있어 페미니즘이 부딪히는 정치적 문제가 있다. '여성들'은 복수형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표현하고 재현하려는 사람들의 합의를 모은 견고한 기표(signfier)라기보다는 문제의 소지가 많은 용어, 논쟁의 장, 불안의 원인이 되었다. 데니즈 라일리의 책 제목이 암시하듯 <나는 내 이름인가?>는 실제로 이름이 여러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만일 어떤 사람이 '여성이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분명 그 사람의 전부가 아니며, 따라서 그 용어는 완전한 의미가 될 수 없다. 그것은 이미 젠더화된 '사람'이 젠더의 특정한 고유장치를 초월한 존재이기 때문이 아니며, 젠더는 다른 역사적 맥락 속에서 늘 가변적이고 모순적으로 성립되었기 때문이며, 담론적으로 성립된 정체성의 인종적, 계급적, 민족적, 성적, 지역적 양상들과 부단히 마주치기 때문이다. (...)

  페미니즘에 분명 어떤 보편적 원리가 있으리라는 정치적 가정, 그리고 그 원리는 문화적 교차로 나타나는 어떤 정체성 안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정치적 가정은 종종 다음과 같은 생각을 수반하기도 한다. 여성의 억압이 보편적 체제나 가부장제, 혹은 남성 지배 구조에서나 발견되는 어떤 유일한 형태라는 생각 말이다. (...) 특별히 여성적인 영역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남성적인 것 자체와 구분되지만 일정한 표시도 없고, 따라서 '여성'이라는 보편성으로 추정되는 차이 안에서 인식되는 것인가? 남성성/여성성이라는 이원구조는 각각의 고유성이 인식될 수 있는 배타적 구조를 만들어내기도 하지만, 온갖 다른 방식으로 여성적인 것의 '특성'을 다시 한번 완전히 맥락에서 분리하여, 계급, 인종, 민족성 및 다른 권력 관계의 축들과 분석적, 정치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이때 이 계급, 인종, 민족성, 권력 관계의 축은 '정체성'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단일한 정체성 개념은 잘못된 명명으로 만들어버린다.

  나는 페미니즘 주체에 전제된 보편성과 통일성이, 주체가 작동되는 담론의 구속력 때문에 상당히 훼손되었다고 주장하려 한다. 실로 이음새 없는 여성의 범주로 생각되는 안정된 페미니즘의 주체를 어설프게 주장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그 여성 범주를 벋아들이는데 적잖은 거부가 생기기 마련이다. 이런 배타적인 영역은 심지어 그 구성이 해방의 목적으로 면밀히 검토되었다 하더라도 그 구성의 강압적이고 규제적인 결과를 드러낸다.

  사실 페미니즘 내부의 파편화나, 페미니즘이 재현하고자 하는 '여성들'이 페미니즘에 반대하게 되는 역설적 상황은 정체성의 정치학이 갖는 필연적인 한계를 시사한다. 페미니즘이 스스로 구성한 주체에 대해 더 폭넓게 재현할 수 있다는 주장은 모순된 결과를 초래한다. 그 결과란, 페미니즘 자체의 재현 주장이 갖는 구성의 힘을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페미니즘의 목표가 실패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전략적' 목적으로 여성의 범주에 도움을 청한다고 해서 개선될 문제가 아니다. (...) 페미니즘의 법적 주체로 간주된 것을 생산하고 또 은폐하는 정치적 작용을 추적하는 일은 바로 여성 범주의 페미니즘 계보학(feminist genealogy)이 맡아야 할 과제이다. (...) 

  - <젠더 트러블-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주디스 버틀러 · 문학동네 · 2008년 · 원제 : Gender Trouble, 1990년) p.83~94


  ..............
  *미셀 푸코는 <성의 역사(The History of exuality)> 마지막 장에서 법의 사법적 기능과 생산적 기능 간의 관계를 검토한다.












  1. 18
    Apr 2019
    07:51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숭고미와 전쟁, 그리고 종교

    (...) 사람들은 어떤 대상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대상을 두려운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곧 우리가 순전히, 가령 어떤 대상에 저항을 해보려는 경우를 생각하고, 그 경우에 모든 저항이 어림없는 허사가 될 것으로 어떤 대상을 판정한다면 말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43 file
    Read More
  2.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60 file
    Read More
  3. 12
    Apr 2019
    04:39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상상력 · 지성 · 자연

    (...)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이 근거하는 주관적인 세 인식 원천이 있는데, 그것은 감각기능(감각기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이것들 중 어느 것이라도 경험적으로, 말하자면 주어진 현상들에 대한 적용에서 고...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896 file
    Read More
  4. 11
    Apr 2019
    15:06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선험적 인식 · 자연의 합목적성

    (...) 모든 지각들이 일관되고 합법칙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표상되는 오직 하나의 경험만이 있다. 그것은 거기에 현상들의 모든 형식과 존재 · 비존재의 모든 관계가 생기는 오직 하나의 공간 · 시간만이 있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이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66 file
    Read More
  5. 11
    Apr 2019
    01:48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칸트의 기획

    (...) 모든 경험들은 그것을 통해 무엇인가가 주어지는 감관의 직관 외에 또한 직관에 주어지는, 다시 말해 현상하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대상들 일반에 대한 개념들은 선험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경험인식의 기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41 file
    Read More
  6. 07
    Apr 2019
    01:34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논리학 · 진리의 문제

    (...) 일반 논리학은 인식의 모든 내용, 다시 말해서 인식의 대상과의 모든 관계 맺음을 도외시하고, 인식들 상호간의 관계에서의 논리적 형식, 다시 말해 사고 일반의 형식만을 고찰한다. 그런데 초월적 감성학이 밝혀주듯이 순수한 직관 뿐만 아니라 경험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164 file
    Read More
  7. 04
    Apr 2019
    07:2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감성학

    (...)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수단에 의해 언제나 인식이 대상들과 관계를 맺든지 간에, 그로써 인식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그리고 모든 사고가 수단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그런데 직관은 오로지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17 file
    Read More
  8. 30
    Mar 2019
    23:4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인식 · 순수 지성

    (...) 모든 인식은 재료(내용, Materie)와 이 재료를 정리 정돈하는 형식(틀, Form)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거니와, 인식이 사고의 산물인 한에서 인식의 형식은 사고의 형식이며, 이 사고의 형식은 이미 지성에 "예비되어 놓여 있다"(A66=B91). 그러므로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81 file
    Read More
  9.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41 file
    Read More
  10.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78 file
    Read More
  11. 13
    Mar 2019
    18:04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결론

    (...) 다수가 비천함과 가난 속에서 살 때 소수의 권력자와 부자가 권세와 부의 절정을 누리는 것은, 후자의 인간들이 자신이 누리는 것을 전자의 인간들이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만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민중이 비참하지 않게 되면 상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687 file
    Read More
  12.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4 file
    Read More
  13. 17
    Feb 2019
    00:38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 책의 결론, '공감(sympathy)'

    (...)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인간의 마음을 들끓게 하는 주요 원인은 쾌락과 고통이다. 이런 감각적인 감정이 우리의 사유나 감정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대개 정서도 느낄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으며, 욕구나 의욕 역시 보나마나 불가능해질 것이다. 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98 file
    Read More
  14. 14
    Feb 2019
    06:43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목적론 · 신학 · 교화와 훈육 · 도덕

    (...) 칸트에 따르면 어느 누구도 유기적 존재자들이 목적인의 "실마리"에 따라 판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B319~V389) (중략) '자연의 기술'이라는 개념은 곧 자연목적을 설명할 수 없음을 근거로 해서 "교조적"($74)으로 취급될 수는 없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31 file
    Read More
  15. 14
    Feb 2019
    05:07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목적론 · 목적론적 판단력

    (...) 과연 자연 안에 객관적 합목적성이 나타나는가? (중략) 자연은 목적의 표상에 따라 행위하는 지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자연 안에서 발생되는 합목적성은 특수한 것임에 틀림없다. 구성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의 모든 대상들은 어쨌든 작용 연결(nexus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06 file
    Read More
  16. 13
    Feb 2019
    18:12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예술 · 예술가 · 변증성 · 판단력

    (...) 미감적 판단은 보편적 동의를 요구하지만, 독창적 예술가만이 미적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예술 작품들은 자유에 의해 산출된다($43) 실천적 '할 수 있음'이 이론적 앎과 구별되듯이, 숙련의 기예는 학문과 구별된다. 그리고 예술은 언제나 자유로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08 file
    Read More
  17. 13
    Feb 2019
    05:50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의 감정(우아미)과 숭고의 감정(숭고미)

    (...) 미의 감정과는 달리 숭고의 감정은 질의 면에서 상상력과 이성의 부조화에 의거한다.($27) "미적인 것의 판정에 있어서 상상력과 지성이 그들의 일치에 의해 그렇게 하듯이, 이 경우에는 상상력과 이성이 그들의 상충에 의해 마음의 능력들의 주관적 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221 file
    Read More
  18. 07
    Feb 2019
    00:21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역사

    (...) 마지막 질문은 이런 것이다. 어떻게 궁극 목적은 또한 자연의 최종 목적인가? 다시 말해, 오로지 초감성적 존재로서, 또 가상체로서만 궁극 목적인 인간이 어떻게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일 수 있는가?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초감성계가 감성계와 통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614 file
    Read More
  19. 06
    Feb 2019
    21:59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자연목적론·합목적성·도덕목적론·신학

    (...) 세 개의 비판은 진정한 전환의 체계를 보여준다. 첫째, 능력들은 표상 일반(인식함, 욕구함, 느낌)의 관계에 따라 정의된다. 둘째, 능력들은 표상의 원천(상상력, 지성, 이성)으로서 정의된다. 첫번째 의미의 능력들 각각마다 반드시 두 번째 의미의 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86 file
    Read More
  20.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149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