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 : 처자(妻子)공유제에 대한 비판

by 이우 posted Aug 24, 2016 Views 165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정치학.jpg

    ... 국가 구성원은 필연적으로 모든 것을 공유하거나 아무 것도 공유하지 않거나, 아니면 어떤 것은 공유하고 어떤 것은 공유하지 않게 마련이다. 그들이 아무 것도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가는 공동체인 만큼 그들은 최소한 영토는 공유해야 한다. 한 국가의  영토는 하나고, 시민들은 다름 아니라 한 국가를 공유하는 자들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국가가 잘 다스려지려면 공유가능한 모든 것을 공유하는 편이 나은지, 아니면 어떤 것은 공유하되 다른 것은 공유하지 않은 편이 나은지 하는 것이다. 플라톤의 대화편 <국가>애서처럼, 시민들은 아내와 자식과 재산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거기서 소크라테스가 아내와 자식과 재산은 공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니 말이다*. 따라서 문제는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나은지, 아니면 <국가>에서 제인된 법(法, nomos)를 따르는 것이 더 나은지 하는 것이다.  ...


-『정치학(Politika)』(아리스토텔레스·도서출판 숲·2009년) <제2권 이상국가 · 제1장 국가구성원의 재산 공유> p.63~64


   ... 부부를 공유하는 공동체에는 그런 제도를 옹호하는 자들이 아무리 조심해도 피하기 어려운 또 다른 폐해들이 있는데, 학대, 고의적 또는 우발적 살인, 말다툼, 비방 등이 그것이다. (...) 놀라운 것은 플라톤이 모든 젊은이들을 만인의 아들로 만든 다음 연인 관계인 연장자들에게 젊은이들과의 육체적 관계만 금할 뿐 연애를 하거나 애정 표시를 하는 것은 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자간 또는 형제간에는 애정을 품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므로 그런 애정 표시는 가장 부적절한데도 말이다. 그밖에도 놀라운 것은 플라톤이 단지 지나친 쾌락(hedone)을 추구한다는 이유만으로 남자 연인들끼리 동침을 금하면서도 이들이 부자간 일 수  있고 형제간일 수도 있다는 것은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밖에도 처자공유제는 치자들인 수호자들보다는 피치자들인 농민들에게 더 쓸모가 있는 것 같다. 처자를 공유하는 곳에서는 우애(phila)가 약해져 피치자들이 고분고분하고 변혁을 꾀하지 않을테니 말이다. 

  일반적으로 플라톤이 제안한 것과 같은 제도는 훌륭한 제도가 가져다줄 결과와는, 그리고 소크라테스가 그 때문에 처자공유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믿는 목적과도 정반대되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임에 틀림없다. 왜냐하면 우애야말로 국가를 위한 최고선이며 국가를 내분으로부터 지켜준다고 믿어지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도 국가의 통일성을 특히 찬양하는데 그것은 우애의 산물인 것 같고 그도 그렇다고 말하고 있다. 알다시피 사랑에 관한 플라톤의 또 다른 대화편 <향연(Symposion)>에서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는 사랑이 격렬해지면 연인들은 서로 유착되어 둘이 하나가 되기를 열망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럴 경우 필연적으로 둘다 또는 둘 중 하나가 소멸될 것이다. 반면 처자를 공유하는 국가에서는 우애가 묽어져, 아버지는 틀림없이 아들을 '내 아들'이라고 부르지 않고, 아들은 '내 아버지'라고 부르지 않게 될 것이다. 마치 소량의 감미로운 포도주를 다랭의 물로 희석해 놓으면 그 본래의 맛을 느낄 수 없듯이, 그런 이름들에 내포된 가족 간의 유대감도 플라톤이 구상한 것과 같은 그런 국가에서는 없어지고 말 것이다. ....

-『정치학(Politika)』(아리스토텔레스·도서출판 숲·2009년) <제2권 이상국가 · 제4장 처자(妻子)공유제에 대한 비판> p.71~73






  ......................

  *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Politeia)』에서 수호자 계급은 재산을 공유해야 하고, 처자도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한 여자는 지혜를 사랑하는데 다른 여자는 지혜를 사랑하지 않고, 한 여자는 기개가 높은데 다른 여자는 기개가 부족하지 않을까? (...) 그렇다면 수호자로 적합한 여자도 있고, 그렇지 못한 여자도 있을 것이네. 그런데 우리는 남자수호자들도 이런 자질을 보고 뽑지 않았던가? (...) 따라서 우리는 그런 자질을 타고난 여자들을 뽑아 그런 자질을 타고난 남자들과 동거하며 수호자 임무를 함께 수행하도록 해야 하네. 그런 여자들은 그럴 능력이 있고, 본성상 그런 남자들과 동류이기 때문일세. (...) 그렇다면 이전 주장으로 되돌아가서, 수호자들의 아내들이 시가 교육과 체육단련 교육을 받는 것은 자연의 이치에 어긋나는 것이 아니라는데 우리는 의견이 일치했네. (...)

  "어떤가? 그렇다면 모든 시민 중에서 수호자들이 가장 훌륭하지 않을까? 여자들은 어떤가? 여자들 중에서 여자 수호자들이 가장 훌륭하지 않을까? 그런데 가능한 가장 훌륭한 남자와 여자들이 생겨나는 것보다 국가 더 좋은 일이 있을 수 있을까? 그것은 우리가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시가 교육과 체력단련 교육의 결과물이겠지? 그러니 우리 여자 수호자들도 체력단련을 위해 옷을 벗어냐 하네. 그들은 옷 대신 미덕을 입게 될 테니까. 그들은 전쟁과 그 밖의 다른 수호자 업무에서 제구실을 하되, 오직 거기에만 전념해야 하네. (...) 지금 이 법과 그 선행 법들에는 아마도 다음과 같은 법이 수반될 것이네. 우리 남자 수호자들과 여자 수호자들은 딴 살림을 차려서는 안되고 모든 여자는 모든 남자의 공뮤물이며, 아이들도 공유물이어서 부모는 제 자식을 알아보지 못하고 자식은 제 부모를 알아보지 못한다는 법 말일세."

  "그들의 입법자로서 이미 수호자들을 뽑은 자네는 가능한 본성이 같은 여자들을 뽑아 남자수호자들에게 배정할 것이네. 그들은 한 집에서 살며 공동식사를 하되 그런 종류의 사유재산을 소유하지 않을 걸세. 그들은 함께하며 어우러져 체력단련을 하고 그 밖의 다른 수련을 받을 테니, 타고난 충동에 이끌려 필연적으로 성관계를 맺게될 걸세. (...) 우리가 합의한 우너칙들에 따르면, 가장 훌륭한 남자들은 가장 훌륭한 여자들과 자주 성관계를 맺어야 하지만 열등한 남자들은 열등한 여자들과 되도록 드물게 성관계를 맺어야 하네. 또한 우리 집단이 최상급이 되려면 우리는 전자의 자식들은 양육하되 후자의 자식들은 양육해서는 안 되네. 그리고 우리 수호자 집단이 되도록 파쟁에서 벗어나려면 이 모든 일은 치자들 말고는 아무도 모르게 처리되어야 하네. (…) 우리는 교묘한 제비뽑기를 고안해 내어야 하네. 혼례식이 있을 때마다 우리가 앞서 말한 열등한 자들이 운을 탓하고 치자들을 탓하지 못하도록 말일세. ...

  -『국가』(플라톤 · 도서출판 숲 · 2013년 ·원제 : Politeia) <제5권> p.276~284









  1. 18
    Apr 2019
    07:51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숭고미와 전쟁, 그리고 종교

    (...) 사람들은 어떤 대상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대상을 두려운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곧 우리가 순전히, 가령 어떤 대상에 저항을 해보려는 경우를 생각하고, 그 경우에 모든 저항이 어림없는 허사가 될 것으로 어떤 대상을 판정한다면 말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48 file
    Read More
  2.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88 file
    Read More
  3. 12
    Apr 2019
    04:39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상상력 · 지성 · 자연

    (...)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이 근거하는 주관적인 세 인식 원천이 있는데, 그것은 감각기능(감각기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이것들 중 어느 것이라도 경험적으로, 말하자면 주어진 현상들에 대한 적용에서 고...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30 file
    Read More
  4. 11
    Apr 2019
    15:06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선험적 인식 · 자연의 합목적성

    (...) 모든 지각들이 일관되고 합법칙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표상되는 오직 하나의 경험만이 있다. 그것은 거기에 현상들의 모든 형식과 존재 · 비존재의 모든 관계가 생기는 오직 하나의 공간 · 시간만이 있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이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73 file
    Read More
  5. 11
    Apr 2019
    01:48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칸트의 기획

    (...) 모든 경험들은 그것을 통해 무엇인가가 주어지는 감관의 직관 외에 또한 직관에 주어지는, 다시 말해 현상하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대상들 일반에 대한 개념들은 선험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경험인식의 기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2 file
    Read More
  6. 07
    Apr 2019
    01:34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논리학 · 진리의 문제

    (...) 일반 논리학은 인식의 모든 내용, 다시 말해서 인식의 대상과의 모든 관계 맺음을 도외시하고, 인식들 상호간의 관계에서의 논리적 형식, 다시 말해 사고 일반의 형식만을 고찰한다. 그런데 초월적 감성학이 밝혀주듯이 순수한 직관 뿐만 아니라 경험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170 file
    Read More
  7. 04
    Apr 2019
    07:2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감성학

    (...)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수단에 의해 언제나 인식이 대상들과 관계를 맺든지 간에, 그로써 인식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그리고 모든 사고가 수단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그런데 직관은 오로지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24 file
    Read More
  8. 30
    Mar 2019
    23:4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인식 · 순수 지성

    (...) 모든 인식은 재료(내용, Materie)와 이 재료를 정리 정돈하는 형식(틀, Form)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거니와, 인식이 사고의 산물인 한에서 인식의 형식은 사고의 형식이며, 이 사고의 형식은 이미 지성에 "예비되어 놓여 있다"(A66=B91). 그러므로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96 file
    Read More
  9.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60 file
    Read More
  10.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98 file
    Read More
  11. 13
    Mar 2019
    18:04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결론

    (...) 다수가 비천함과 가난 속에서 살 때 소수의 권력자와 부자가 권세와 부의 절정을 누리는 것은, 후자의 인간들이 자신이 누리는 것을 전자의 인간들이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만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민중이 비참하지 않게 되면 상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727 file
    Read More
  12.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8 file
    Read More
  13. 17
    Feb 2019
    00:38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 책의 결론, '공감(sympathy)'

    (...)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인간의 마음을 들끓게 하는 주요 원인은 쾌락과 고통이다. 이런 감각적인 감정이 우리의 사유나 감정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대개 정서도 느낄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으며, 욕구나 의욕 역시 보나마나 불가능해질 것이다. 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009 file
    Read More
  14. 14
    Feb 2019
    06:43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목적론 · 신학 · 교화와 훈육 · 도덕

    (...) 칸트에 따르면 어느 누구도 유기적 존재자들이 목적인의 "실마리"에 따라 판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B319~V389) (중략) '자연의 기술'이라는 개념은 곧 자연목적을 설명할 수 없음을 근거로 해서 "교조적"($74)으로 취급될 수는 없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38 file
    Read More
  15. 14
    Feb 2019
    05:07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목적론 · 목적론적 판단력

    (...) 과연 자연 안에 객관적 합목적성이 나타나는가? (중략) 자연은 목적의 표상에 따라 행위하는 지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자연 안에서 발생되는 합목적성은 특수한 것임에 틀림없다. 구성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의 모든 대상들은 어쨌든 작용 연결(nexus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18 file
    Read More
  16. 13
    Feb 2019
    18:12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예술 · 예술가 · 변증성 · 판단력

    (...) 미감적 판단은 보편적 동의를 요구하지만, 독창적 예술가만이 미적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예술 작품들은 자유에 의해 산출된다($43) 실천적 '할 수 있음'이 이론적 앎과 구별되듯이, 숙련의 기예는 학문과 구별된다. 그리고 예술은 언제나 자유로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26 file
    Read More
  17. 13
    Feb 2019
    05:50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의 감정(우아미)과 숭고의 감정(숭고미)

    (...) 미의 감정과는 달리 숭고의 감정은 질의 면에서 상상력과 이성의 부조화에 의거한다.($27) "미적인 것의 판정에 있어서 상상력과 지성이 그들의 일치에 의해 그렇게 하듯이, 이 경우에는 상상력과 이성이 그들의 상충에 의해 마음의 능력들의 주관적 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240 file
    Read More
  18. 07
    Feb 2019
    00:21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역사

    (...) 마지막 질문은 이런 것이다. 어떻게 궁극 목적은 또한 자연의 최종 목적인가? 다시 말해, 오로지 초감성적 존재로서, 또 가상체로서만 궁극 목적인 인간이 어떻게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일 수 있는가?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초감성계가 감성계와 통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650 file
    Read More
  19. 06
    Feb 2019
    21:59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자연목적론·합목적성·도덕목적론·신학

    (...) 세 개의 비판은 진정한 전환의 체계를 보여준다. 첫째, 능력들은 표상 일반(인식함, 욕구함, 느낌)의 관계에 따라 정의된다. 둘째, 능력들은 표상의 원천(상상력, 지성, 이성)으로서 정의된다. 첫번째 의미의 능력들 각각마다 반드시 두 번째 의미의 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94 file
    Read More
  20.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31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