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들뢰즈 :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 · 표현 · 비신체적 변환 · 화행이론

by 이우 posted Dec 14, 2017 Views 233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들뢰즈.jpg   (...) 들뢰즈와 가타리는 '개인적 언표행위'란 없음을 입중하려고 엄청난 노력을 들인다. '개인적인 언표행위란 없으며, 언표행위의 주체라는 것조차 없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5/156). 결과적으로 언어는 근본적으로 사회적이며, 언표와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우리가 반복하는 것만큼도 말하지 못한다. 이때 강조점은 발화행위의 주체성(또는 주체화의 진행)에 상응하는 상대적 동일성(또는 안정성)의 효과뿐 아니라 언표의 잉여성에 있다. 주체(혹은 나)는 실제로 언어의 잉여 효과이며, 그것은 의사소통에서 상호주체성을 결정하고, 언표 행위의 집합적 배치는 이런 잉여성을 성립시키는 행위와 언표의 잉여적 복합체를 가리킨다.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라는 관념은 모든 언어의 사회적 본질을 함축하기에 들뢰즈와 가타리의 언어 화행 이론에서 최우선적 중요성을 지닌다. 언어가 갖는 일차적 의미는 사회적이라는 데 있으며, 이른바 개인적 발화란 주어진 사회적 장을 규정 짓는 언표와 수행인자(또는 '명령-어')의 차원에서 일어난 반복의 효과일 따름이다. '언어활동에 대해 정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을 주어진 순간에 한 언어 안에서 통용되는 명령-어들, 암묵적 전제와 화행들의 집합으로 정의하는 것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4/154).

  집합적 배치가 진짜로 의미하는 것, 즉 언어에서 명령-어의 제도성과 언표의 잉여성을 결정 짓는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들뢰즈와 가타리는 다시 한 번 스토아주의의 표현 이론으로 돌아간다. 그에 따르면 표현이란 신체의 차원과 언표적 의미의 차원 모두에서 비신체적 변환의 효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비신체적인 것이란 '존재-외적인'으로 규정되는데, 언표가 지닌 의미와 실제 신체가 차지하는 평면 사이에서 발생한다. 그 두 차원 모두에서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의미의 변환이라는 사건을 규정하는 것은 '존재-외적인 것'의 특수한 본성이다. 예컨대 피의자를 피고인으로 변환하는 것은 판사의 선고라는 비신체적인인 것이 표현될 때다. 또한 이는 아버지가 내리는 유죄 판결로서 선고의 언표가 아들 게오르크의 자살 행동으로 변환되는 작품 <선고>에서 카프카가 발견해 서술한 것이기도 한다.

  표현된 것은 그것의 표현과 분리될 수 없으며, 의미상의 변환을 설명하려고 피고의 신체 속에 속성을 위치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표현의 논리는 정확히 이 변환적 사건을 향한 것으로서, 의미와 신체의 차원, 아니면 차라리 표면과 깊이의 양쪽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의 차원을 향한 것이다. 언표행위의 배치는 사물 자체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사물의 차원과 내용의 차원에 대해 동시에 말한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과정에 따라 신체는 나이를 먹고  성숙해 가지만, '너는 이제 어린아이가 아니야'라는 언표는 연령 변화의 의미를 신체적 성장뿐 아니라 복종이라는 도덕적 범주로 바꾸어버린다. '너는 단지 소녀일 뿐이야'라는 언표가 신체적 성장에 따른 유사한 의미 변환을 포함하며, 그것은 젠더의 사회적 의미를 결정 짓는 다른 명령-어들의 집합에 그 신체적 의미를 삽입한다는 사실을 비교해 보자. 이와 비슷하게 피부색도 하나의 속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당신은 흑인이군요'라든지 '당신은 백인 남성이군요' 같은 언표가 보여주듯 피부색을 인종적으로 각인시키는 것은 신체의 특수한 사회적 의미를 변화시키고 결정짓는 비신체적 변환을 도입하는 것이다. '검다'와 '하얗다'가 그저 신체의 고유성으로서 흑색과 백색의 속성으로부터 결정되는 것만은 아닌, 사화적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이와 같은 언표 의미에 기반을 두고 사고할 때만 가능하다. 두 언표 모두에서 각각의 속성이 표현하는 것은 비록 서로 다르게 보일지라도 비신체적 변환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 변환은 신체에 직접 적용되며 주체의 행위와 정념에도 삽입된다. 요컨대 비신체적 변환은 신체를 '명령'에 예속.주체화시키는 것이다.

  사회는 이런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명령-어는 의미를 신체에 고정시키고, 신체를 개별화하면서 주어진 사회적 의미에 부응하게끔 강제한다. 들뢰즈와 가타리가 썼듯 '지배적 의미작용으로서 독립적인 주체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양자는 모두 주어진 사회적장에서 명령-어의 본성과 전달에 의존한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5/155). 이렇게 사회는 신체와 행위와 정념들의 혼합을 규정하는 명령-어들에 의해 정의된다. 주어진 사회에서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는 그것이 표현하는 언표와 비신체적 변환 혹은 탈신체적 속성들 사이의 즉각적인 관계를 보려준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1/I 86/158). 언어가 진정으로 표현적이게 되는 순간, 즉 언어가 실재적 속성을 표현하고 그 결정들을 직접 신체와 어떤 순간에도 사회적 장을 구성하는 사태의 상태에 적응할 수 있게 되는 순간이 바로 이때다.

  이런 변환이 신체에 직접 적용된다 해도, 들뢰즈와 가타리가 주장하듯 그것은 언표행위에 내재하며 비신체적이다. 예컨대 누구든 '나는 전쟁을 선언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선언은 신체들로 구성된 사회적 장을 사회 전체를 변형하는 폭발과정 일반으로 이끄는 상황 속의 한 변수일 뿐이다. '언어와 외부 사이의 관계를 설립하는 표현의 변수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정확히 그것들이 언어에 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2/I 88/161).

  이런 까닭으로 비신체적인 것은 단순히 사물(혹은 신체)의 상태에서 비롯된 게 아니고, 언표(혹은 언어)의 의미에서 생겨나지 않은 비언어적 존재로도 설명되지 않는다. 그것은 '존재-외적인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또한 존재의 두 평면이 서로 연관되게 하고 상호내재적 합일이라는 사건을 표현하도록 추동한다. 그런 의미에서('당신은 사형을 선고받았소'나 '나는 전쟁을 선언한다' 혹은 '나는 널 사랑해'와 같은 말을 포함해) '명령-어'를 가동시키는 것은, 바흐친도 주장했듯 '모든 언어학적 결정물이나 범주들 외부에 놓여 있는 존재-외적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또한 명령-어는 언표의 의미조건을 표현하는 동시에 신체의 실제 상태를 표현하며, 그 상태들을 규정하는 행위와 정념 속으로 개입해 들어간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2/I 88/161). 그러므로 들뢰즈와 가타리가 명령-어라고 정의한 것은 그 모든 기능들(묘사, 지칭, 지명 등)에서 결코 언어와 동일시될 수 없다. 차라리 그것은 '그 가능성의 조건을 유효화하는 것'(혹은 '표현의 초선형성'이라 부른 것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5/I 91/166).

 - <누가 들뢰즈와 가타리를 두려워하는가?>(그렉 램버트·자음과모음·2013년·원제 : Who's Afraid of Deleuze and Guattari?, 2006년) p.138~142














  1. 12
    Oct 2019
    02:5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제7판 서론* : 정신과 물질 사이의 교차점, 기억

    (...) 이 책은 정신(esprit)과 물질(matiers)의 실재성을 주장하고, 전자와 후자와의 관계를 하나의 정확한 예증, 즉 기억이라는 예증 위에서 규정하려고 시도한다. 따라서 이 책은 분명히 이원론적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 책은 물체(corps)와 정신을, 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180 file
    Read More
  2. 09
    Aug 2019
    02:22

    [철학] 니체의 「아침놀」 : 철학자

    468. 아름다움의 나라는 더 크다―우리는 모든 것에 고유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기 위해, 즉 그 아름다움을 현장에서 붙잡기 위해 자연 속을 교활하면서도 유쾌하게 돌아다닌다. 또한 우리는 어떤 때는 햇볕 아래서, 어떤 때는 폭풍우가 올 것 같은 하늘 아래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5611 file
    Read More
  3. 31
    Jul 2019
    08:43

    [사회] 『사랑, 예술, 정치의 실험 : 파리 좌안 1940-50』 : 사르트르와 카뮈가 본 미국 사회

    (...) 1945년 초부터 1946년 여름 사이에 사르트르는 미국을 두 번 방문했다. 합쳐서 거의 6개월을 보냈고 뉴욕에 여자 친구도 있었고, 전국을 돌며 최고 명문대학 여러 곳에서 강연했다. (중략) 사르트르는 미국에 심취했다. 그는 젊은 시절 미국 문학, 영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272 file
    Read More
  4. 31
    Jul 2019
    06:15

    [사회] 『사랑, 예술, 정치의 실험 : 파리 좌안 1940-50』 : 보부아르가 본 미국 사회

    (...) 리처드 라이트는 미국 순회강연의 첫 행선지인 뉴욕에 오는 시몬 드 보부아르를 환영하고 그녀와 정치를 논할 일을 고대했다. 그녀는 미국 여행을 위해 열을 내며 짐을 쌌다. 생애 처음으로 그녀는 경솔하게 행동했고 그 때문에 자신이 미웠다. 미국 여...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5114 file
    Read More
  5. 30
    Jul 2019
    23:19

    [사회] 『사랑, 예술, 정치의 실험 : 파리 좌안 1940-50』 : 사회민주주의·초현실주의, 혹은 추상미술

    (...) 1945년 10월 총선에서 프랑스 여성들이 처음으로 투표권을 행사했으며, 알베르 카뮈는 <<콩바>> 독자들에게 더 나은 선택이 없으므로 비공산 계열 사회주의자들에게 투표하기를 촉구했다. 그는 샤를 드골을 존경했지만 평화의 시기에 군 장성이 정치에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546 file
    Read More
  6. 25
    Jul 2019
    11:17

    [철학] 니체의 「아침놀」 : 노동과 자본

    203. 나쁜 식사법에 대한 반대―호텔에서든 사회의 상류층이 사는 어느 곳에서든 현재 사람들이 하는 식사는 엉망이다! 크게 존경받을만한 학자들이 모일 경우에조차 그들의 식탁은 은행가의 식탁과 동일하게 가득 채워진다. 다량으로 그리고 다양하게. 이것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96 file
    Read More
  7. 21
    Jul 2019
    19:54

    [사회] 발터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 : 수집가

    (...) 이러한 아케이드의 내부 공간은 종종 시대에 뒤쳐져가는 업종들의 피신처가 되는데, 지금 잘 나가고 있는 장사도 그러한 공간에서 왠지 낡고 허름한 분위기를 띠게 될 것이다. 이곳은 기업 상담소와 흥신소의 소굴로, 이들은 2층의 갤러리에서 내리비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050 file
    Read More
  8. 18
    Jul 2019
    21:17

    [철학] 니체의 「아침놀」 : 사회·국가·경제·정치·노동·법·예술, 그리고 고독

    171. 근대인의 음식물―근대인은 많은 것을, 아니 거의 모든 것을 소화할 줄 안다. 이것이 야심의 근대적인 형태다. 그러나 그가 거의 모든 것을 소화할 줄 모른다면 그는 좀더 고차적일 것이다. 모든 것을 먹는 인간(Homo pamphagus)은 가장 세련된 종이 아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53 file
    Read More
  9. 13
    Jul 2019
    15:05

    [사회] 『사랑, 예술, 정치의 실험 : 파리 좌안 1940-50』 : 1940년~50년 파리의 풍경

    (...) 『파리 좌안 1940-50』은 1905년~30년 사이에 태어나 1940~50년 사이에 파리에서 살고, 사랑하고, 싸우고, 놀고, 활약했으며 그때 내놓은 지적, 예술적 산출물로 지금까지 계속 우리의 사고방식, 생활방식, 심지어 옷 입는 방식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855 file
    Read More
  10. 06
    Jul 2019
    23:07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철학

    (...) 철학적 체계들은 오직 그 창설자에게만 전적으로 참이다. 훗날의 모든 철학자에게 그것은 으레 위대한 오류이고, 우둔한 사람들에게는 오류와 진리의 합계이다. (중략) 많은 사람들은 어떤 철학자라고 할지라도 비난하는데, 그것은 자신들의 목표가 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3735 file
    Read More
  11. 04
    Jul 2019
    16:37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경쟁 · 시기 · 질투 , 그리고 국가

    (...) 우리가 인간성에 관해 말할 때는 그것이 이미 인간을 자연에서 분리시켜 특정짓는 것일 수 있다는 생각이 그 밑바탕에 깔려 있다. 그러나 그러한 분리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자연적 특성들과 본래 인간적인 것으로 불리는 것들은 떼어놓을 수 없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5160 file
    Read More
  12. 03
    Jul 2019
    02:14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노동존엄성과 노동, 폭력과 국가, 그리고 전쟁의 비밀스러운 상관관계

    (...) 신세대들인 우리는 그리스인들보다 두 가지 개념을 더 가지고 있는데, 이 개념들은 말하자면 완전히 노예처럼 행동하면서도 '노예'라는 낱말을 두려워하고 피하는 세계를 위로하는 수단으로 주어져 있다. 우리는 '인간의 존엄'과 '노동의 존엄'에 관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323 file
    Read More
  13. 25
    Jun 2019
    02:51

    [철학] 니체의 「아침놀」 : 서문 · 당신은 왜 고독한가?

    1. 이 책에서 사람들은 '지하에서 작업하고 있는 한 사람'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뚫고 들어가며, 파내며, 밑을 파고들어 뒤집어엎는 사람이다. 그렇게 깊은 곳에서 향해지는 일을 보는 안목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그가 얼마나 서서히, 신중하게, 부드럽지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4479 file
    Read More
  14. 22
    Jun 2019
    02:33

    [문학] 시인 김수영, 「詩여, 침을 뱉어라-힘으로서의 詩의 존재」

    (...) 시를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시를 논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에 대한 답변을 하기 전에 이 물음이 포괄하고 있는 원주가 바로 우리들 오늘의 세미나*의 주제인, 시에 있어서의 형식과 내용의 문제와 동심원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8578 file
    Read More
  15. 29
    May 2019
    18:32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비극의 탄생 · 비극적 사유의 탄생

    (...) 자신들의 세계관이 가지고 있는 비밀스런 이론을 자신들의 신들을 통해 동시에 숨겼던 그리스인들은 예술의 이중적 원천으로 두 신, 아폴론과 디오니소스를 내세웠다. 예술의 영역에서 이 이름들은 대립되는 양식들을 대변한다. 이 양식들은 상호투쟁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107 file
    Read More
  16. 29
    May 2019
    08:05

    [철학] 니체의 『유고 (1870년-1873년)』 : 예술의 탄생·디오니소스적 세계관

    (...) 자신들의 세계관이 가지고 있는 비밀스런 이론을 자신들의 신을 통해 말하고 동시에 숨겼던 그리스인들은 예술의 이중적 원천으로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두 신을 내세웠다. 예술의 영역에서 이 이름들은 대립되는 양식들을 대변한다. 이 양식들은 상호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474 file
    Read More
  17. 17
    May 2019
    00:56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의 최종 목적

    (...) 우리는 앞 조항에서, 우리가 인간을 모든 유기적 존재자들들과 같이 한낱 자연목적으로뿐만 아니라, 이성의 원칙들에 따르면, 여기 지상에서는 그것과 관계해서 여타 모든 자연사물들이 목적들의 체계를 이루는, 자연의 최종목적으로, 비록 규정적 판단...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14 file
    Read More
  18. 16
    May 2019
    04:43

    [철학] 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 : 유기체와 지층

    (...) 우리는 한 지층에서 변화하는 것과 변화하지 않는 것이 무엇인가를 물어보아야 한다. 무엇이 한 지층에 통일성과 다양성을 부여하는가? 질료, 고른판(또는 안고른판)이라는 순수 질료는 지층들 바깥에 있는데 말이다. 하지만 한 지층 안에서 분자들은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799 file
    Read More
  19. 05
    May 2019
    01:0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의 외적 합목적성과 내적 합목적성

    (...) 한 사물이 오직 목적으로서 가능하다는 것을 통찰하기 위해서는, 다시 말해, 그 사물의 기원의 원인성을 자연의 기계성이 아니라 그 작용능력이 개념들에 의해 규정되는 어떤 원인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통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실이 요구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997 file
    Read More
  20. 25
    Apr 2019
    21:4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예술의 구분과 가치 비교

    $51. 미적기예(예술)들의 구분에 대하여 (...)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미를 자연미가 됐든 예술미가 됐든 미감적 이념들의 표현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다만, 예술에서는 이 이념이 객관에 대한 하나의 개념에 의해 유발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아름다운 자연에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22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