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 : 모쒀 여자는 멋지다

by 이우 posted Jul 18, 2018 Views 143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어머니의나라_900.jpg


  (...) 모쒀 여성은 팔색조다. (중략) 모쒀 여성들은 외모를 과시하지 않았다. 수수하게 입고, 팔찌나 부적이 들어 있는 소박한 목걸이 정도를 제외하면 장신구를 하지 않았다. 다른 여성들과 경쟁적으로 미모를 가꾸는 다른 문화권과는 달리, 모쒀 여성들은 치장을 삼갔다. 이들은 화장도 하지 않았는데, 외모에 이목이 집중되기를 별로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리커 마을의 호숫가로 산책을 나갔던 어느 날, 나는 자신의 배에 태울 관광객을 기다리며 여물통 모양의 배에 앉아 있는 모쒀인에게 립스틱을 하나 선물했다. 그는 미소를 지었지만 거절했다. "괜찮아요." 그는 쑥스러워하며 말했다. '이렇게 빨간 건 민망해서 못 써요." (중략)

  하지만 모쒀인들은 지인들과 있을 때면 완전 다른 얼굴을 했다. 모쒀 여인은 당당한 태도를 취했다. 이들의 자신감은 공격적인 느낌과는 거리가 멀었고,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자기 확신에서 비롯된 자신감이었다. 이들이 자신감은 꼿꼿한 자세로 성큼성큼 걷는 그들의 걸음걸이와 모닥불을 둥그랗게 둘러싸고 춤을 추는 부족 사람들 사이로 자연스럽게 끼어들 때 보이는 우아한 모습에서 드러났다. 모쒀인들은 절대 구부정하게 앉지 않았고, 윗몸을 팽팽히 당겨 앉았다. 내가 본 모쒀 여인 중에서 펑퍼짐한 몸매를 가진 이는 없었고 대부분 마르고 강직했다. 농장에서 고되게 이어가는 생활이 몸으로 나타난 결과였다. (중략) 모쒀인을 묘사하는 또 다른 단어로는 강인한 신체와 정신이 있다. 나의 모쒀인 동생, 구미가 적절한 예다. 구미는 30킬로그램짜리 쌀포대를 아무렇지 않게 등에 지고 나른다. 이토록 강한 내 동생에게 너무 힘든 작업이나 너무 부담스러운 농장일 같은 건 존재하지 않는다.(중략)

  주도권을 쥐는 것은 자신감 넘치는 모쒀인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모쒀 여성들은 사회 내에서 높은 위치를 점했고, 일상에서 흥미로운 특유의 에티켓을 지키며 살아갔다. 이는 중국 사회나 서구 사회를 살아가는 여성들에게서 거의 보지 못했던, 가히 화려한 기교라 할 만했다. 어느 날 마을 술집에서 여자들의 밤을 보내는데, 구미의 언니가 모쒀 남자들이 있는 테이블로 성큼성큼 다가가서는 맥주를 몇 병 샀다. 중국 다른 지역에서 으레 볼 수 있는 광경과는 반대로, 구미의 언니는 남자들에게 먼저 다가갔다. "리-처" 구미의 언니는 우렁찬 목소리로 건배를 외쳤다. 수줍음 따위는 타지 않았다. 그는 남자들과 함께 앉아서, 주변으로 번지는 웃음을 익살맞게 던지는 추파로 그날 저녁 분위기를 이끌어 갔다.

  놀라운 점은 모쒀 여성들은 자신들이 부족사회 내에서 자기 주장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깥 세상에 나가서도 똑같이 자신감을 유지했다는 것이다. 얼쉬마와 함께 리장이나 쿤밍에 여러 번 간 적이 있는데, 그때마다 나는 얼쉬마가 친숙하지 않은 장소와 상황에서 얼마나 능란하고 편안하게 행동하는지 감탄을 금치 못했다. 특히 얼쉬마가 글을 모르므로 식당 메뉴나 길에 세워진 표지판을 한 단어도 읽지 못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랬다. (중략) 어느 날은 쿤밍에서 열린 성대한 결혼식에 두오지에 라마의 누나와 동행한 적이 있었다. 그날의 손님 목록에는 저명한 사업가, 정치가, 문호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날, 나는 저녁 식사에서 두오지에의 누나가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모습에 참으로 놀랐다. 시골 출신에 글도 모르는 이 여성에게서 자신이 없다거나 수줍어 하는 태도는 단 한 순간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는 진정 자신감의 혁신이었다. (중략)

  어느날 나는 얼쉬마와 얼쉬마의 가족들이 가족 소유의 땅을 분배하는 중요한 문제를 두고 토의하는 것을 우연히 들었다. 이 땅 문제에는 자신의 민박집이 위치한 자리 역시 포함되어 있었다. 열딘 대화가 계속 이어지던 가운데, 누군가 이런 질문을 했다. "자시는 뭐래?" "자시는 이 문제에 발언권이 없어. 가족이 아니잖아." 얼쉬마가 대꾸했다. 자시는 얼쉬마의 오랜 아샤오*였는데도 그랬다. 비록 가모장제이기는 했지만, 모쒀 여성들은 전통 중국문화서처럼 성별 간에 우열을 두는 것이 아니라 성평등의 세계에서 살았다. 이들의 상호작용을 바라보노라면, 가부장제 사회에서보다 권력구조가 더 균형 잡혀 있는 예를 많이 목격할 수 있었다. 이 사회 속에서 모두가 모두를 동등하게 대했다. 여성이 남성을, 여성이 여성을, 남성이 여성을, 남성이 남성을, 나이 많은 이가 적은 이를 대등한 사람으로 취급했다. 지주오의 집에 가면, 할머니가 손주를 대할 때 아이가 아니라 동등한 성인에게 할 때와 똑같이 하는 모습을 자주 보았다. (중략)

  기본적으로 모쒀 여성이 자신의 존재를 완성하는 핵심 요소엄마가 될 수 있는, 즉 그로 인해 모계 혈족 식구를 늘려갈 수 있는 능력이었다. 처음으로 엄마가 되는 순간은 모쒀 여성의 삶에서 가장 축복할 만한 사건이었기에 친지와 친구들로부터 축하가 쏟아졌다. 반대로 아이를 낳은 적 없는 여성은 주변으로부터 동정심을 샀다. 모쒀족 엄마들은 어머니로서의 자신을 자랑스러워 했다. 그래서 이들은 언제나 아이를 띠로 매어 등에 업고 다니는 옛날 방식을 고수했다. 리커에 사는 얼처가 갓 태어난 자기 자식이자 나의 대녀를 자랑스레 데리고 다닐 때도 그랬다. 아기에게 젖 먹일 시간이 되면 루구호에 사는 모든 엄마들이 그러하듯, 얼처는 모두가 보는 앞에서 자연 그대로의 행동을 취했다. 아기띠를 풀고, 아기를 팔로 감사안은 다음, 블라우스를 들추고 양쪽 젖가슴을 번갈아가며 젖을 먹였다. 아무도 움찔한다거나 그를 바라본다거나 하지 않았다. (...)

  모쒀족 엄마에 대한 두드러진 특징이 하나 있다면, 바로 외부인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들이 언제나 독신모라는 점이다. 모쒀 여성이 낳은 아이는 어떤 아이든 간에 혼외자식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이드은 결혼을 하지 않고, 따라서 아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남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략) 모쒀족 아기는 결혼이라는 개념을 떠올릴 수조차 없는 엄마에게서, 누군가가 아버지가 되었음을 일체 염두해 두지 않는 사회에서 아버지 없는 자식으로 태어날 수밖에 없다.

  모쒀 여성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가장 흥미로운 사실이자, 중국을 비롯한 다른 사회가 관심을 집중한 사실은 바로 그들의 연애생활이다. 이것은 사실상 단순한 연애생활을 넘어서는 문제다. 모쒀 여남이 살아가는 동안 아샤오가 될 상대와 그 수를 고르는 건 철저히 그들의 자유다. 여남이 결혼을 해서 핵가족을 이루어야 할 필요로부터 자유로운 공동체에서 사는 모쒀 여성은 자신의 모계 가정에서 안락하고 사생활을 존중 받는 방식으로 연애 상대를 골랐다. 그에게는 꽃방의 문을 잠시 사랑을 나누었던 상대에게는 닫고 또 다른 이에게 열어줄 자유도 있다. (중략)

  무한한 가능성이 존재하는 이 공간에서, 모쒀 여성이 남성 아샤오를 고르는 기준이 결혼을 위해 영원히 삶을 할께할 배우자를 고르는 기준과는 근본적으로 다를 것이라 추측하는 건 매우 타당하다. 모쒀 여성에게 아샤오란 고된 일상에서 자신을 잠시 벗어나게 해 줄 즐거운 일탈이자 잠재적인 정자 기증자다. 그러니 아샤오를 고르는 기준은 이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중략)

  생산적인 관점에서 이야기하자면 짝짓기 상대를 찾아나선 여성은 신체적으로 매력적인 남성을 찾았다. 이들이 가진 목록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건 건장함과 아름다움이었다. 이보다 더 솔직하고 직설적일 수가 없다. 물을 가진 자, 즉 남자를 보면 여성의 마음 속에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이 떠으로게 된다. "키가 크고 건장한가?" '얼굴이 잘 생겼는가?" "크고 듬직한 손을 가졌는가?" "힘든 육체 노동을 할 만큼 튼튼한가?"

  밤에 여자들과 외출하기를 반복하면서, 나는 모쒀 여성들이 남자들을 상대로 던지는 외설적인 농담과 그들이 남자를 볼 때 위와 같은 이상형에 따라서 점수를 매기는 것을 듣게 되었다. "저 남자 어때?" 말소리가 들리지 않을 거리에서 남자가 지나가면 무리 중 한 명이 반드시 이렇게 물었다. "별로 잘 생기지 않았어." 누군가 이렇게 대답하면 모두가 왁자지껄하게 웃었다. "쟤 맛있게 생겼다." 무대 위에서 춤을 추는 늠름하고 잘생긴 남자를 보면서 한 젊은 모쒀인이 외쳤다. 우리의 밤은 이런 식으로 계속되었다. '물뿌리개'가 가족에 포함되지 않기에, 따라서 남성 아샤오가 가족의 부에도 기여할 수 없는 모쒀만의 가족 구성 때문에 모쒀 여성은 상대의 재력에는 신경을 쓰지 않았다. (중략) 보기 좋은 외관을 갖추는 것 말고도, 함께 보내는 시간이 더  즐겁기 위해서는 쾌할하거나 유머러스한 성격도 이점이 될 수 있었다.(중략) 모쒀 여성에게 사랑이란 스쳐 지나가는 순간의 사건이었다. (중략)

  모쒀 여성은 남성에 대한 욕망을 표현하는 데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 남성과 만날 때는 수줍어 해야 한다거나 하는 특별한 규칙도 존재하지 않는다. 뻔뻔하게 밀고나가는 데 창피함을 느낄 이유는 아무 것도 없었다. 이들에 대한 어떤 사회적인 비난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여성들은 아무 제약도 받지 않고 욕망하는 대상 혹은 대상들을 응시함으로써 마음이 자신을 이끄는대로 따라갔다. (...)

-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추 와이홍 · 흐름출판 · 2018 ·년  · 원제 : The Kingdom of Women(2017년)  <7. 모쒀 여자는 멋지다>  p.166~183



  .......................................

*아샤오 : 성별을 불문하고 '연인'을 뜻하는 모쒀어. 원래 모쒀어로 '함께 자는 사람'이란 의미이다.
















  1. 13
    Feb 2020
    09:29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마주침의 유물론

    (...) 에피쿠로스에서 맑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자신의 유물론적 기초를 어떤 마주침의 철학(따라서 다소간 원자론적인 철학. 원자는 '낙하' 중에 있는 개체성의 가장 단순한 현상이다) 속에서 찾은 하나의 심오한 전통이―그러나 자신의 발견 그 자체에 의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71 file
    Read More
  2. 20
    Jan 2020
    13:33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493 file
    Read More
  3. 19
    Jan 2020
    21:1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⑥, 성층화(成層化)·계급·분리와 단절

    (...)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려는 이 전투는 살아 있는 사람과 부유한 사람들의 계급 간 투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무책임하게 '계급 간 전쟁'을 정치에 도입했을 때, 워렌 버핏*은 흡족해하면서 "물론 계급 간의 투쟁이다. 그것은 맞지만, 전쟁을 일으킨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098 file
    Read More
  4. 19
    Jan 2020
    19:4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⑤, 자유 · 정보

    (...) 두 개의 단어가 확인된다. 하나는 '추출된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제된다'이다. 클라우드를 관리하려면 기능을 통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숨겨진다. 역설적인 것은 손안에서 사용되는 작은 기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057 file
    Read More
  5. 19
    Jan 2020
    19:00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④, 부채

    (...) 오늘날 자본주의는 유령에 쫓기고 있다. 유령은 부채라는 이름의 악령이다. 자본주의 강대국은 하나같이 이 유령을 쫓기 위한 숭고한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말 부채를 정리하고 싶을까? 마리치오 라자라토*는 국가에서 개인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922 file
    Read More
  6. 19
    Jan 2020
    01:5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1650 file
    Read More
  7. 18
    Jan 2020
    23:3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051 file
    Read More
  8.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50 file
    Read More
  9. 14
    Jan 2020
    15:3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과거와 현재의 관계(원뿔형 도식)

    (...) 우리는 커다란 실용적 이점 때문에 사실들의 실제 순서를 역전시키는 데 너무 익숙해져 있으며, 공간에서 이끌어낸 이미지들에 너무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기억이 어디에 보존되는 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이 뇌 속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18 file
    Read More
  10. 14
    Jan 2020
    00:4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순수 기억이 어떻게 잠재적 상태로 보존되는가 하는 것은 그것의 근본적인 무력함(impuissance)을 볼 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리가 무의식적 심리 상태들을 생각하는 데서 갖는 혐오감은 무엇보다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43 file
    Read More
  11. 13
    Jan 2020
    09:5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기억·지속·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생성

    (...) 우리는 순수기억, 이미지-기억, 지각이라는 세 항들을 구별하였는데, 이 항들 중 어느 것도 사실상 단독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지각은 결코 현재적 대상과 정신의 단순한 접촉이 아니다. 지각에는 항상 그것을 해석하면서 완결시키는 이미지-기억들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102 file
    Read More
  12.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79 file
    Read More
  13.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59 file
    Read More
  14. 30
    Dec 2019
    09:2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신체의 능동성, 기억(mories)

    (...) 식별이 주의적인 경우에, 즉 이미지-기억들이 현재적 지각에 규칙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지각은 기억들의 출현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기억들이 지각 앞으로 자발적으로 향해 가는가? (...) 외적 지각이 실제로 우리에게 그것의 핵심적 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77 file
    Read More
  15. 19
    Dec 2019
    21:41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사물의 실재성·기억·현대 유물론의 탄생

    (...) 우리 지각의 현실성(actuality)은 그것의 활동성(activities)으로, 즉 그것을 연장하는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것이지, 더 큰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과거는 단지 관념에 불과하고, 현재는 관념-운동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고집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00 file
    Read More
  16.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200 file
    Read More
  17. 21
    Nov 2019
    06:56

    [철학] 『사생활의 역사』 : 사생활의 경계와 공간(응접실·사생활·공적 생활·공간의 분절·사회적 성층 작용·노동)

    (...) 사생활은 태초부터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역사적 현실이다. 따라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러므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선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사생활은 공적 생활과 관련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287 file
    Read More
  18. 12
    Nov 2019
    03: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죽음, 해체와 탈중심화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가장 첨예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현대철학은, 주로 프랑스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 의미 부여자로서의 주체는 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230 file
    Read More
  19. 29
    Oct 2019
    12:53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서문

    (...) 시간은 유한한 존재의 진정한 한계인가, 아니면 유한한 존재의 신(神)과의 관계인가? 시간은 유한성과 반대로 무한성을, 결핍에 반대하여 자족성을 존재자에게 보장해 줄 수 없는 관계, 하지만 만족과 불만을 넘어서 덤으로서의 사회성을 뜻하는 관계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58 file
    Read More
  20.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0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