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학] 『미덕의 불운』 : '자연'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by 이우 posted Jun 05, 2018 Views 133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미덕의불운_900.jpg


  (...) ‘아가씨의 그 어처구니없는 논리가 얼마 안 가서 아가씨를 병원으로 데려가고 말거예요.’ 뒤부와 부인이 눈살을 찌푸리며 말하였습니다.

  “분명히 말하건대, 하늘의 심판이라든지, 천벌, 아가씨가 기다리는 장래의 보상 등, 그 모든 것은 학교의 문턱을 나서는 순간 잊어버리는 것이 좋으며, 세상에 나와서도 여전히 그따위 것들을 믿는 어리석음을 간직한다면 굶어죽기에 알맞을 것이니, 아예 그것들을 내던져 버려요. 아가씨, 부자들의 무정함이나 가난한 사람들의 못된 짓을 합법화해 줘요. 우리가 절실한 필요를 느낄 때 그들의 돈주머니가 열리고, 그들이 가슴 속에 인간을 사랑하는 정이 감돈다면, 우리들의 가슴 속에도 미덕이 자리잡을 거예요. 그러나 우리들의 불운, 그것을 겪는 우리들의 인내와 선의, 우리들의 예속 상태가, 우리들을 옭아매고 있는 족쇄를 강화시키고 있는 한 우리들이 저지른 범행은 바로 저들이 조장한 저들의 산물이며, 따라서 우리를 짓누르고 잇는 멍에를 조금이나마 가볍게 하기 위한 범행을 거절한다면, 그것은 우리들이 속임수에 떨어지는 꼴이 되는 거예요. 쏘피, 자연은 우리들 모두를 평등하게 태어나도록 하였어요. 만약 운명이 그 보편적 법칙에 의해 확립된 최초의 질서를 파괴하기를 즐겨한다면, 운명의 변덕스러운 짓을 바로잡아 주고 또 가장 강한 자들의 찬탈 행위를 우리의 민첩함으로 복수해야 하는 것이 바로 우리들의 책무예요…. 나 역시 그 부자들이나 법관들, 관리들의 말을 듣는 것이나, 그들이 우리들에게 미덕을 설교하는 것을 구경하기 좋아해요.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의 세 배 이상을 소유하고 있을 때 도난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받기가 지극히 어려우며, 아첨꾼이나 항복받은 노예들로만 둘러싸여 있을 때 살인사건을 생각지 않는다는 것이 매우 어렵고, 관능이 그를 도취케 하고 가장 기름진 음식이 그들을 둘러싸고 있을 때 절제하고 검약하기가 기실 엄청나게 고통스러운 것과 마찬가지로, 거짓말을 하여도 그것이 그들에게 더 이상 아무 이익도 가져다주지 못할 때 그들이 솔직하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에요. 그러나 우리들은, 쏘피, 당신이 미쳐서 당신의 우상으로 삼은 그 야만스러운 섭리가, 풀숲에 기어다니는 뱀처럼 이 지상에서 굽실거리며 기어다니도록 단죄한 우리들, 가난하다는 이유로 모두가 경멸하며, 힘이 없다고 하여 모두들 모욕하고, 이 땅 위 어디를 가나 쓰라림과 가시밭만이 기다리고 있는 것이 우리들인데, 범죄의 손길만이 오직 생명의 문을 열어주고, 그 생명에 우리를 의탁시켜 주며, 우리들을 그 속에 보존시켜 주거나 우리가 그것을 잃지 않도록 하는데도, 당신은 우리들이 범죄를 거절하기를 원하고 있어요! 우리들을 지배하고 있는 그 계급이 행운의 혜택을 몽땅 독점하고 있는 동안, 우리들은, 영원히 예속되고 짓밟힌 채, 오직 고통과 절망, 빈곤과 눈물, 비탄과 죽음만을 우리의 몫으로 차지하기를 바라고 있어요! 안 돼, 안 돼, 쏘피, 절대 안 돼! 당신이 숭배하는 그 섭리가 오직 우리들을 멸시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것이 진정한 의도일 수는 없어요…. 그 섭리를 더 깊이 알도록 해요. 쏘피, 그것을 좀 더 깊이 이해한 다음, 그 섭리가 우리들이 악행이 불가피한 처지 속에 던져 넣는 순간부터, 또한 동시에 그 악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우리들에게 부여한 순간부터, 그 악은 선과 마찬가지로 그의 법칙에 봉사하며, 선과 악이 모두 그 앞에서는 평등이에요. 그 평등한 상태를 어지럽히는 자가 그 상태를 회복시키려 노력하는 자보다 더 중죄인이라고는 할 수 없어요. 두 사람 모두 주어진 충동에 따라 행동할 뿐이고, 또한 그 충동에 순응해야 하며, 눈을 띠로 가리고 맘껏 즐겨야 해요”

  솔직히 고백하건대, 저는 난생처음으로 그 언변 좋은 여인의 유혹에 미음이 흔들렸습니다. (...)

 -  『미덕의 불운』(D. A. F. 드 사드 · 열린책들 · 2011년 · 원제 : Les infortunes de la vertu, 1787년) p.41~43


  (...) ‘잘 들어요, 쏘피.’ 브레삭 씨는 조용히 저를 달래면서 말을 계속하였습니다.

  “그러한 일에 대한 당신의 혐오감은 익히 짐작하고 있었어요. 그러나 당신은 사리가 밝기 때문에, 당신이 그토록 엄청나다고 생각하는 그 범죄도 기실 지극히 단순한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줌으로써 당신의 혐오감을 지워버릴 수 있으리라 생각하였어요. 별로 철학적이지 못한 당신의 눈에는 이 일이 내포하는 두 가지 죄악이 보일 것이에요. 그 하나는 자신의 유사체(類似體)를 파괴한다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 유사체가 내 어머니이므로 해서 증대되는 파괴의 괴로움이에요. 자신의 유사체를 파괴한다는 것, 쏘피, 분명히 확언하건대, 파괴한다고 믿는 것은 순전한 환상이에요. 파괴의 능력은 인간에게 허락되어 있지 않아요. 기껏해야 형태를 변화시킬 수는 있으되, 절멸시킬 수는 없어요. 그런데 자연의 눈에는 모든 형태가 평등해요. 다양성이 실현되는 이 거대한 도가니 속에서, 상실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어요. 그 속에 던져지는 모든 물질 덩어리들은 끊임없이 다른 모습으로 재생되며, 그것에 대한 우리의 작용이 어떻든 간에, 그 작용의 어느 것도 그 도가니를 손상하거나 모독할 수 없고, 우리의 파괴는 그의 능력에 활기를 줄 뿐만 아니라, 그의 에너지를 지속시켜 줄지언정, 어떠한 파괴도 그것을 약화시키지는 않아요. 오늘 여인의 모습을 하고 있는 이 살덩이가, 내일 각양각색의 수천 마리 공충으로 재생산된다고 하여, 끊임없이 창조를 계속하고 있는 자연의 눈에는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우리들과 같은 개체의 축조가 한 마리 구더기의 축조보다 자연에게 더 큰 수고를 끼치며, 따라서 자연이 우리들에게 더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노라고 당신은 말할 수 있겠어요? 그렇다면 애착의 도가, 아니 무관심의 도가 같을진대, 소위 죄라고 하는 것을 한 사람이 저질러, 다른 사람이 파리나 상추로 변한들 그것이 자연에게 무슨 영향을 끼칠 수 있겠어요? 우리 인간이라는 족속의 고귀함을 누가 내게 증명해 보인다면, 또 인간이 자연에게 하도 중요하여, 인간의 파괴에 대해 자연이 필연적으로 노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내게 보여 준다면, 나 역시 그러한 파괴가 하나의 범죄라고 생각할 수 있을 거에요. 그러나 자연에 대한 가장 심오한 연구 결과, 이 지구 표면에 붙어 서식하는 모든 생물들이, 비록 그것이 가장 불완전한 작품일지언정, 모두 자연의 눈에는 평등하다는 사실이 증명된 이상, 그 존재들을 수천의 다른 존재로 변화시킨다고 해서, 그것이 자연의 법칙을 위배한다고는 절대 생각할 수 없어요. 그리고 나는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거예요. ‘모든 인간, 모든 식물, 모든 동물이 모두 같은 방법으로 성장하고 서식하며 서로 파괴하는 과정에서, 절대 실질적인 죽음을 맞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변화시키는 것 속에서 하나의 다양성을 맞는 것 뿐이다. 다시 말해, 그들은 모두 무심하게 서로 밀치고 파괴하며 번식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형태를 취하며, 그들을 움직이기를 원하거나 혹은 그렇게 할 능력이 있는 존재의 뜻에 따라, 단 하루에도 수천 번씩 그 형태를 바꿀 수도 있으되, 자연의 어느 한 법칙도 그 일로 인해 단 한순간이나마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내가 공격하려는 존재는 나의 어머니이며, 그 존재가 나를 자기의 뱃속에 간직하고 있었어요. 그것이 어떻다는 말인가요? 그 무의미한 사실이 나의 뜻을 멈출 수 있어요? 도대체 무슨 자격으로 나를 막을 수 있나요? 이 어머니라고 하는 존재가 도대체, 음란함에 사로잡혀, 나를 탄생시킨 그 탯덩이를 잉태하던 순간, 내 생각을 하였단 말이에요? 그녀가 자신의 음탕한 쾌락에 골몰해 있던 사실에 대하여 감사해야 하나요? 게다가 어린애를 형성하는 것은 어머니의 피가 아니라 오직 아버지의 피뿐이에요. 암컷의 배는 열매를 맺게 하고, 보존하며, 성숙시키되 아무 것도 제공하지 못해요. 그러한 생각이 바로, 아버지의 생명에는 손을 대지 못하게 한 반면, 어머니의 생명을 해치는 것은 실 한 오라기를 끊는 일처럼 간단하게 생각하도록 한 소이예요. 따라서 어린아이의 심정이 어머니에 대한 몇 가지 감사의 마음으로 감동받을 수 있다면, 그것은 오직 그녀가 우리들을 위해, 우리가 그것을 즐길 수 있는 나이에 취해 준, 몇 가지 배려 때문이에요. 만약 어머니가 좋은 배려를 해주었다면 우리는 어머니를 사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마도 사랑해야 겠지요. 그러나 어머니가 좋지 못한 배려를 취할 경우에는, 우리 역시 그 어떤 자연법칙에도 속박되어 있지 않은 이상, 그녀에 대한 아무 의무도 없을 뿐 아니라,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에게 해로운 모든 것을 제거토록 하라는 명령을 자연스럽게, 또 거역할 수 없는 힘으로 전해주는 이기심의 강력한 힘에 따라, 그 어머니를 제거해 버리라고, 모든 것이 지시하고 있어요.”

  ‘오! 주인님!’ 저는 공포에 사로잡혀 후작에게 말하였습니다.

  “당신이 추측하는 자연의 무관심이란 것 역시 당신을 사로잡고 있는 정염의 소산이에요. 그 열정 대신 단 한 순간만이라도 당신의 가슴에 귀를 기울여 보세요, 제발. 그러면 당신의 방탕에서 연원한 그 교만한 생각들에 대해 당신의 심정이 어떤 심판을 내리는가를 깨닫게 될 것이에요. 제가 당신을 보내고자 하는 법정을 주관하고 있는 그 가슴, 그곳이 바로, 당신이 모독하고 있는 자연 역시 우리가 존경하고 그 명령을 경청하기를 바라는 성소(聖所) 아니겠어요? 만약 그곳에, 당신이 지금 획책하고 있는 범죄에 대한 혐오를 자연이 새겨 놓았다면, 그 범죄가 심판 받아 마땅하다는 데 동의하시겠어요? 정염의 불길이 한순간 그곳에 새겨진 혐오감을 지울 수는 있으되, 당신이 만족감을 느끼고 난 직후 혐오감은 그곳에서 다시 생겨날 것이며, 후회라는 거역 못할 생리를 통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높일 거예요. 당신의 감성이 예민하면 할수록 그만큼 후회는 당신의 오장육부를 갈가리 찢으며 당신 속에 군림할 거예요…. 당신의 야만스러운 손으로 무덤 속에 처박은 자애로운 어머니가, 매일, 매 순간, 당신 눈 앞에 어른거릴 거예요. 당신의 어린 시절, 그토록 자애롭게 들리던 당신의 사랑스런 이름을 비탄에 젖어 외치는 어머니의 음성을, 여전히 듣게 될 거예요…. 당신이 깨어있을 때에는 당신 앞에 나타나실 것이며, 잠들었을 때에는 꿈속에서 당신을 괴롭히시며, 당신이 그녀에게 입힌 상처를 피 묻은 손으로 열어 보이실 거예요. 그 순간부터는 당신이 이 지상에 있는 동안 단 일순간의 행복도 당신에게 빛을 던지지 않을 것이며, 당신의 모든 쾌락은 중독될 것이고, 당신의 사념은 항상 혼미 속에 빠질 것이에요. 당신이 그 능력을 인정치 않으려는 하늘의 손길이, 당신의 혈육을 독살한 것에 대한 보복을 가해 올 것이며, 당신은 당신이 저지른 죄악의 결실을 즐기지도 못한 채, 그것을 감행하였다는 깊은 후회에 빠져 죽어갈 거에요.”

  저는 이 마지막 말을 하며 눈물을 쏟았고, 후작의 무릎을 얼싸 안으며, 그에게 가장 귀한 모든 것의 이름으로 제발 그 수치스러운 방황을 잊어달라고 애원하였으며, 그러한 사실을 죽을 때까지 비밀 속에 묻어 두겠노라고 하였습니다. (...)

-  『미덕의 불운』(D. A. F. 드 사드 · 열린책들 · 2011년 · 원제 : Les infortunes de la vertu, 1787년) p.65~69


    (...) “(...) 자연이 태초에 강자와 약자를 만들 때, 그 의도는 양이 사자에 예속되고 곤충이 코끼리에게 예속되듯, 약자가 항상 강자에게 예속되리란 것이었어. 인간의 미천함과 지능이 각 개체의 원리를 다양하게 만들었으며, 계급을 결정지은 것은 이제 부유한 사람이 최강자가 되었고, 가장 가난한 사람이 최약자가 된 것이야. 약자를 얽어매고 있는 사슬이 부유한 자나 가장 강한 자에 의해 유지되고, 그 사슬이 가장 약한 자나 가난한 자를 짓밟아도 역시 자연의 법칙 앞에서는 평등할 뿐이며, 강자의 약자에 대한 우선권은 언제나 자연의 법칙 속에 있던 것이야. 그러나 쏘피, 네가 나에게 요구한 감사의 정 따위를 자연은 모르고 있어. 다른 사람에게 은혜를 끼치며 들긴 쾌락이, 은혜를 입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권리를 상대방에게 할애할 동기가 된다는 것은 절대로 자연의 법칙에는 존재하지 않았어. 죽을 때까지 우리들을 위해 일하는 짐승들에게서 지금 네가 그토록 뽐내어 내세우는 그러한 감정의 예를 볼 수 있어? 나의 부와 힘으로 내가 너를 지배할 수 있는 처지인데, 네가 네 자의로 네게 도움을 주었다든가 혹은 너의 기본 책략이 너로 하여금 나에게 봉사함으로써 너의 자유를 회복하라고 명령했다 해서, 내가 나의 권리를 너에게 양보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야? (...) 배은망덕이라는 것도 하나의 악덕이 아니라, 선행이 나약한 영혼의 미덕이듯, 기개 높은 영혼의 미덕이야. 노예는 자신의 필요에 이끌려 상전에게 자기의 미덕을 역설하지만, 자신의 정열과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는 상전은 오직 자기에게 봉사하고 자신의 비위를 맞추는 것에만 허리를 굽혀야 돼. 그 짓이 즐거우면 마음껏 은혜를 베풀 것이로되, 자신이 즐긴 것에 대한 보상을 추호라도 요구해서는 안돼.”

  그러한 말을 하면서 달빌르는 저에게 대꾸할 틈을 주지 않았습니다. 하인 두 사람이 그의 명령에 따라 저에게 달려들더니 저의 옷을 벗기고 저의 두 동료들처럼 쇠사슬로 묶었습니다. (...)

-  『미덕의 불운』(D. A. F. 드 사드 · 열린책들 · 2011년 · 원제 : Les infortunes de la vertu, 1787년) p.170~172












  1. 13
    Feb 2020
    09:29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마주침의 유물론

    (...) 에피쿠로스에서 맑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자신의 유물론적 기초를 어떤 마주침의 철학(따라서 다소간 원자론적인 철학. 원자는 '낙하' 중에 있는 개체성의 가장 단순한 현상이다) 속에서 찾은 하나의 심오한 전통이―그러나 자신의 발견 그 자체에 의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87 file
    Read More
  2. 20
    Jan 2020
    13:33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505 file
    Read More
  3. 19
    Jan 2020
    21:1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⑥, 성층화(成層化)·계급·분리와 단절

    (...)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려는 이 전투는 살아 있는 사람과 부유한 사람들의 계급 간 투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무책임하게 '계급 간 전쟁'을 정치에 도입했을 때, 워렌 버핏*은 흡족해하면서 "물론 계급 간의 투쟁이다. 그것은 맞지만, 전쟁을 일으킨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108 file
    Read More
  4. 19
    Jan 2020
    19:4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⑤, 자유 · 정보

    (...) 두 개의 단어가 확인된다. 하나는 '추출된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제된다'이다. 클라우드를 관리하려면 기능을 통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숨겨진다. 역설적인 것은 손안에서 사용되는 작은 기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065 file
    Read More
  5. 19
    Jan 2020
    19:00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④, 부채

    (...) 오늘날 자본주의는 유령에 쫓기고 있다. 유령은 부채라는 이름의 악령이다. 자본주의 강대국은 하나같이 이 유령을 쫓기 위한 숭고한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말 부채를 정리하고 싶을까? 마리치오 라자라토*는 국가에서 개인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931 file
    Read More
  6. 19
    Jan 2020
    01:5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1658 file
    Read More
  7. 18
    Jan 2020
    23:3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061 file
    Read More
  8.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60 file
    Read More
  9. 14
    Jan 2020
    15:3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과거와 현재의 관계(원뿔형 도식)

    (...) 우리는 커다란 실용적 이점 때문에 사실들의 실제 순서를 역전시키는 데 너무 익숙해져 있으며, 공간에서 이끌어낸 이미지들에 너무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기억이 어디에 보존되는 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이 뇌 속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54 file
    Read More
  10. 14
    Jan 2020
    00:4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순수 기억이 어떻게 잠재적 상태로 보존되는가 하는 것은 그것의 근본적인 무력함(impuissance)을 볼 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리가 무의식적 심리 상태들을 생각하는 데서 갖는 혐오감은 무엇보다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52 file
    Read More
  11. 13
    Jan 2020
    09:5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기억·지속·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생성

    (...) 우리는 순수기억, 이미지-기억, 지각이라는 세 항들을 구별하였는데, 이 항들 중 어느 것도 사실상 단독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지각은 결코 현재적 대상과 정신의 단순한 접촉이 아니다. 지각에는 항상 그것을 해석하면서 완결시키는 이미지-기억들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131 file
    Read More
  12.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85 file
    Read More
  13.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72 file
    Read More
  14. 30
    Dec 2019
    09:2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신체의 능동성, 기억(mories)

    (...) 식별이 주의적인 경우에, 즉 이미지-기억들이 현재적 지각에 규칙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지각은 기억들의 출현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기억들이 지각 앞으로 자발적으로 향해 가는가? (...) 외적 지각이 실제로 우리에게 그것의 핵심적 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78 file
    Read More
  15. 19
    Dec 2019
    21:41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사물의 실재성·기억·현대 유물론의 탄생

    (...) 우리 지각의 현실성(actuality)은 그것의 활동성(activities)으로, 즉 그것을 연장하는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것이지, 더 큰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과거는 단지 관념에 불과하고, 현재는 관념-운동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고집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02 file
    Read More
  16.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210 file
    Read More
  17. 21
    Nov 2019
    06:56

    [철학] 『사생활의 역사』 : 사생활의 경계와 공간(응접실·사생활·공적 생활·공간의 분절·사회적 성층 작용·노동)

    (...) 사생활은 태초부터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역사적 현실이다. 따라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러므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선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사생활은 공적 생활과 관련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302 file
    Read More
  18. 12
    Nov 2019
    03: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죽음, 해체와 탈중심화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가장 첨예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현대철학은, 주로 프랑스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 의미 부여자로서의 주체는 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251 file
    Read More
  19. 29
    Oct 2019
    12:53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서문

    (...) 시간은 유한한 존재의 진정한 한계인가, 아니면 유한한 존재의 신(神)과의 관계인가? 시간은 유한성과 반대로 무한성을, 결핍에 반대하여 자족성을 존재자에게 보장해 줄 수 없는 관계, 하지만 만족과 불만을 넘어서 덤으로서의 사회성을 뜻하는 관계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73 file
    Read More
  20.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13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