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분리와 종합 · 근친상간 · 혈연과 결연 ·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by 이우 posted Dec 18, 2017 Views 141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앙띠오이디푸스.jpg


  (...) 토지의 충만한 몸은 구별 없는 게 아니다. 괴로워하며 위험하며 유일하고 보편적이기에, 토지의 충만한 몸은 생산 및 생산자들, 그리고 생산의 연결로 복귀한다. 하지만 이 위에는 또한 모든 것이 달라붙고 기입되고, 모든 것이 끌어당겨지고 기적을 낳는다. 그것은 분리 종합의 요소요, 이 종합의 재생산의 요소이다. 그것은 현연 내지 계보의 순수한 힘, 즉 누멘이다. 이 충만한 몸은 출산된 것이 아니다. 하지만 혈연은 이 몸 위에 표시된 기입의 최초 특성이다. 우리는 이 내공적 혈연, 이 포괄적 분리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 여기서는 모든 것이 나뉘지만, 단지 자기 안에서 나뉘며, 또 여기서는 같은 존재가 도처에, 모든 측면에, 모든 층위에, 모든 층위에, 내공의 차이를 지닌 채 있다. 표함된 동일한 존재는 충만한 몸 위에서 나눌 수 없는 거리들을 편력하며, 모든 독자성을, 즉 미끄러지며 자신을 재생산하는 종합의 모든 내공을 지나간다. 계보적 혈연이 생ㅁ물학적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라고 상기시켜봐야 아무 소용 없다. 계보적 혈연은 토지의 충만한 몸이라는 우주적 알 위에 기입되어 있는 만큼 필연적으로 생물적-사회적이다. 그것은 일자 또는 차라리 원시적인 '둘이자-하나(I'un-duex)'라는 신화적 기원을 갖고 있다. 이 쌍둥이는 나뉘어 있으면서도 자기 안에서 통일되어 있다. 놈모*일까 놈모들일까? 분리종합은 원생 조상들을 분리하지만, 각 조상 자신은 수컷이자 암컷인 완전한 충만한 몸이요, 모든 부분 대상을 도곤족 알의 내적 지그재그에 대응하는 낵오적 변주만을 지닌 채 자기에게 응집한다. (...)


  연결들은 이 분리들과 양립할 수 있는 형식으로 다시 타나나야 한다. 이런 것이 기입의 둘째 특성으로서의 결연이다. 결연은 기입의 분리들과 양립할 수 있는, 인물들의 혼인이라는 외연적 형식을 생산적 연결들에 강요하지만, 거꾸로 결연은 독같은 이 분리들의 배타적 · 제한적 사용을 규정하면서 기입에 반작용한다. 따라서 결연이 혈연적 가계 속에서 어느 순간 불시에 나타나는 것이라고 신화적으로 재현되는 일이 강요된다. 그리올은 도곤족에서 8대조의 어떤 순간, 어떤 층위, 어떤 층면에서 어떤 것이 어떻게 생산되었는지 상세히 이야기한다. 즉 분리들이 상궤를 벗어나 포괄적이기를 그치고 배타적이 된 것이다. 이때부터 충만한 몸은 사지가 찢기고, 쌍둥이 특성은 무화(無化)되고, 할례에 의해 표시되는 양성 분리가 일어난다. 하지만 또한 연결이나 혼인이라는 새 모델 위에서 몸이 재구성되고, 몸들이 그 자체로 또는 서로 간에 관절을 갖추고, 이런 절합적 결연의 돌들로 방계의 기입을 행한다. (...)


  결코 열연은 혈연에서 파생되지도 않고 연역되지도 않는다. 하지만 이 원리가 정립되면, 우리는 두 관점을 구별해야 한다. 하나는 경제적 · 정치적 관점으로, 이에 따르면 결연은 외연을 지닌 채 주어졌다고 상정되는 체계 속에서 늘 미리 실존하지 않는 확장된 혈연 가계들과 함께 조합되고 직조되면서 늘 있다. 또 하나는 신화적 관점으로 이는 체계의 외연이 강렬하며 우너생적인 혈연 가계들에서 출발하여 어떻게 형성되고 제한되는지, 나아가 필연적으로 자신의 포괄적 내지 비제한적 사용을 잃는지를 보여준다. 바로 이 관점에서 보면, 확장된 체계는 결연들과 말들의 기억과도 같으며, 혈연의 강렬한 기억에 대한 능동적 억압을 내포하고 있다. (...)


  왜 문제가 결코 혈연에서 결연으로 가는 데 있지 않은지, 즉 후자를 전자에서 끌어내는 데 있지 않은지를 우리는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문제는 에너지와 내공의 차원에서 외연의 체계로 이행하는 데 있는데, 후자는 질적 결연들과 확장 혈연들을 동시에 포함한다. 내공 차원의 최초의 에너지, 즉 누멘이 혈연의 에너지라는 점은 사태를 조금도 바꾸지 않는다. 왜냐하면 아직 강렬한 혈연은 아직 확장되지 않았고, 아직 인물들 및 심지어 성의 구별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내공을 지닌 전(前)-인물적 볌주들만을 포함하고 있고, 그러면서 잡다한 등급에서 취한, 같은 쌍둥이 내지 양성성을 변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차원의 기호들은 라이프니츠가 플러스(+)일 수도 마이너스(-)일 수도 있는 기호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한 표현을 따르면) 근본적으로 중림이거나 중의적이다. 문제는 어떻게 이 최초의 내공에서 출발해 다음과 같은 일들이 벌어지는 외연 체계로 이행하는지를 아는 일이다. ①혈연들이 가문들의 형식으로 확장 혈연들이 되어, 인물들의 구별과 부모의 명칭을 포함하는 일 ②결연들은 동시에 질적 관계들이 되는데, 이 관계들이 확장 혈연들을 전제하는 만큼이나 이 혈연들이 또한 이 관계를 전제하는 일 ③요컨대 중의적인 강렬한 기호들이 중의적이기를 그치고 플러스나 마이너스가 되는 일.


  레비스트로스가 결혼의 단순한 형식을 위해 평행 사촌의 결혼 금지와 교차 사촌의 결혼 승인을 설명하는 여러 구절에 걸쳐 이 점은 분명히 드러난다. 두 가문 A와 B 사이의 결혼마다 <+> 또는 <-> 기호의 절단이 부여된다. 이 점에 관해 혈연의 체계가 부계인가 모계인가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 가령 부계요 친가인 체제에서 ,친족의 여자들은 잃은 여자들이요, 인척의 여자들은 획득된 여자들이다. 따라서 이런 결혼에서 생긴 각 가족은, 아이들의 어머니가 처음 집단에 대해 딸이냐 며느리냐에 따라 규정되는 기호를 부여 받는다. (...) 형제에서 누이로 옮겨 가면 기호가 바뀐다. 왜냐하면 현제는 아내를 획득하는 대 반해, 누이는 자기 가적에서 상실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레비스트로스는 세데가 바뀜에 따라 기호 역시 바뀐다고 지적한다. <처음 집단의 관점에서 아버지가 아내를 받았느냐 어머니가 밖으로 보내졌느냐에 따라, 아들들은 여자 하나에 대해 권리를 갖거나 누이 하나를 빚진다. 필경 이 차이는, 현실에서는, 사촌 형제들의 절반이 독신 생활을 해야만 한다는 것으로 연역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모든 경우에서 한 남자가 윗세대에서 한 명의 누이나 딸을 상실했기 때문에 여자 하나를 요구할 수 있는 집단에서만 아내를 받을 수 있다는 법칙을 표현한다. 한편 한 명의 형제는 윗세대에서 여자 하나를 얻었기 때문에 누이 한 명을(또는 아버지는 딸 하나를)를 바깥 세상에 빚지고 있다. (...) 남자 a와 여자 b가 결혼에서 형성된 주축이 되는 부부를 보자면, 이 부부는 AA의 관점에서 보느냐 B의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분명히 두 기호를 가지며, 이들의 아이들에게도 이 점은 마찬가지다. <++>나 <- ->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평행이고 <+->나 <-+>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교차라는 것을 확인하는 데에는 이제 사촌들 세대를 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


  외연을 지닌 물리 체계에서는, 에너지 흐름의 차원에 속하는 어떤 것은 지나가고(+- 또는 -+) 어떤 것은 지나가지 않거나 봉쇄된 채로 있으며(++ 또는 - -) 어떤 것은 봉쇄하고, 또는 반대로 어떤 것은 지나가게 한다. 어떤 것 또는 어떤 사람. 외연을 지닌 이 체계에는 최초의 혈연도 없고, 최초 세대나 최초의 교환도 없으며, 오히려 혈연들이 확장되는 것과 동시에 언제나 또 이미 결연들이 있어서, 이 결연들은 혈연에서 봉쇄된 채로 있어야 하는 것과 결연으로 이행해야 할 것을 표현한다. (...)


  레비스트로스가 잘 보여준 것은, 세대의 혼합은 세대의 혼합이라고 꺼려지는 게 결코 아니며, 근친상간 금지는 그런 식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아들-어머니 경우의 세대 간의 혼합은 그에 상응하는 삼촌-누이 경우의 세대 간의 혼합과 같은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그것은 이 두 경우에 억압해야만 하는 건 하나의 동일한 내공적 배아 혈연임을 중시한다. 요컨대 외연을 지닌 육체적 세계는, 설립되는 방계 결연들과 상관적으로 혈연들이 확장되는 한에서만 구성될 수 있다. 방계 결연이 맺어지는 것은 바로 누이와의 근친상간 금지에 의해서이며, 혈연이 확장되는 것은 바로 어머니와 근친상간 금ㅁ지에 의해서이다. 여기에 아버지의 억압은 전혀 없으며, 아버지 이름의 폐제도 전혀 없다. 친족 내지 인척으로서의 어머니나 아버지 각각의 정립, 혈연의 부계적 또는 모계적 성격, 결혼의 친가 또는 외가의 성격 등은 억압의 능동적 요소들이지 억압을 향하는 대상들이 아니다. 결연의 기억에 의해 억압되는 것은 심지어 혈연의 기억 일반도 아니다. 확장 혈연들(부계이건 모계이건)과 이것들이 내포하는 결연들로 이루어진 외연을 지닌 육체적 기억을 위해, 바로 내공적 배아 혈연의 위대한 밤의 기억이 억압되는 것이다. 도곤적 신화 전체는 두 계보, 두 혈연 간의 대립에 대한 부계 판본이다. 그 둘이란 내공과 외연, 강렬한 배아 차원과 육체적 세대들의 외연적 체제이다.


  외연을 지닌 체제는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내공적 조건들 속에서 태어나지만, 이것들에 반작용하고, 이것들을 무화하고, 이것들은 억압하며, 이것들에 신화적 표현만을 허용한다. 기호들은 중의적이기를 그치고 이와 동시에 확장 혈연 및 방계 결연과 관련해서 규정된다. 분리들은 배타적, 제한적이 된다. 이름들, 명칭들은 더 이상 내공 상태들이 아니라 분간 가능한 인물들을 가리킨다. 금지된 배우자로서의 누이와 어머니에게 분간 가능성이 설정된다. 인물들은 지금 그들을 가리키는 이름을 갖고 있지만, 그들을 그런 인물로 구성하는 금지들보다 먼저 실존하지는 않는다. 어미와 누이는 이들을 배우자로 금지하기 전에는 실존하지 않는다. (...)

 
 - 『안티 오이디푸스』(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민음사 · 2014년  · 원제 : L’Anti-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1972년) <3. 오이디푸스 문제> p.269~279



  ............
  *놈모(Nommo) : 아프리카 말리에 사는 도곤(Dogon)족의 신화에 나오는 놈모신(Nommo神). 에이리언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1. 13
    Feb 2020
    09:29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마주침의 유물론

    (...) 에피쿠로스에서 맑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자신의 유물론적 기초를 어떤 마주침의 철학(따라서 다소간 원자론적인 철학. 원자는 '낙하' 중에 있는 개체성의 가장 단순한 현상이다) 속에서 찾은 하나의 심오한 전통이―그러나 자신의 발견 그 자체에 의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71 file
    Read More
  2. 20
    Jan 2020
    13:33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493 file
    Read More
  3. 19
    Jan 2020
    21:1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⑥, 성층화(成層化)·계급·분리와 단절

    (...)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려는 이 전투는 살아 있는 사람과 부유한 사람들의 계급 간 투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무책임하게 '계급 간 전쟁'을 정치에 도입했을 때, 워렌 버핏*은 흡족해하면서 "물론 계급 간의 투쟁이다. 그것은 맞지만, 전쟁을 일으킨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098 file
    Read More
  4. 19
    Jan 2020
    19:4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⑤, 자유 · 정보

    (...) 두 개의 단어가 확인된다. 하나는 '추출된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제된다'이다. 클라우드를 관리하려면 기능을 통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숨겨진다. 역설적인 것은 손안에서 사용되는 작은 기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057 file
    Read More
  5. 19
    Jan 2020
    19:00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④, 부채

    (...) 오늘날 자본주의는 유령에 쫓기고 있다. 유령은 부채라는 이름의 악령이다. 자본주의 강대국은 하나같이 이 유령을 쫓기 위한 숭고한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말 부채를 정리하고 싶을까? 마리치오 라자라토*는 국가에서 개인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922 file
    Read More
  6. 19
    Jan 2020
    01:5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1650 file
    Read More
  7. 18
    Jan 2020
    23:3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051 file
    Read More
  8.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50 file
    Read More
  9. 14
    Jan 2020
    15:3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과거와 현재의 관계(원뿔형 도식)

    (...) 우리는 커다란 실용적 이점 때문에 사실들의 실제 순서를 역전시키는 데 너무 익숙해져 있으며, 공간에서 이끌어낸 이미지들에 너무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기억이 어디에 보존되는 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이 뇌 속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17 file
    Read More
  10. 14
    Jan 2020
    00:4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순수 기억이 어떻게 잠재적 상태로 보존되는가 하는 것은 그것의 근본적인 무력함(impuissance)을 볼 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리가 무의식적 심리 상태들을 생각하는 데서 갖는 혐오감은 무엇보다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43 file
    Read More
  11. 13
    Jan 2020
    09:5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기억·지속·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생성

    (...) 우리는 순수기억, 이미지-기억, 지각이라는 세 항들을 구별하였는데, 이 항들 중 어느 것도 사실상 단독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지각은 결코 현재적 대상과 정신의 단순한 접촉이 아니다. 지각에는 항상 그것을 해석하면서 완결시키는 이미지-기억들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102 file
    Read More
  12.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79 file
    Read More
  13.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59 file
    Read More
  14. 30
    Dec 2019
    09:2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신체의 능동성, 기억(mories)

    (...) 식별이 주의적인 경우에, 즉 이미지-기억들이 현재적 지각에 규칙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지각은 기억들의 출현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기억들이 지각 앞으로 자발적으로 향해 가는가? (...) 외적 지각이 실제로 우리에게 그것의 핵심적 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77 file
    Read More
  15. 19
    Dec 2019
    21:41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사물의 실재성·기억·현대 유물론의 탄생

    (...) 우리 지각의 현실성(actuality)은 그것의 활동성(activities)으로, 즉 그것을 연장하는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것이지, 더 큰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과거는 단지 관념에 불과하고, 현재는 관념-운동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고집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00 file
    Read More
  16.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200 file
    Read More
  17. 21
    Nov 2019
    06:56

    [철학] 『사생활의 역사』 : 사생활의 경계와 공간(응접실·사생활·공적 생활·공간의 분절·사회적 성층 작용·노동)

    (...) 사생활은 태초부터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역사적 현실이다. 따라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러므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선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사생활은 공적 생활과 관련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287 file
    Read More
  18. 12
    Nov 2019
    03: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죽음, 해체와 탈중심화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가장 첨예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현대철학은, 주로 프랑스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 의미 부여자로서의 주체는 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230 file
    Read More
  19. 29
    Oct 2019
    12:53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서문

    (...) 시간은 유한한 존재의 진정한 한계인가, 아니면 유한한 존재의 신(神)과의 관계인가? 시간은 유한성과 반대로 무한성을, 결핍에 반대하여 자족성을 존재자에게 보장해 줄 수 없는 관계, 하지만 만족과 불만을 넘어서 덤으로서의 사회성을 뜻하는 관계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58 file
    Read More
  20.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0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