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자본과 임금 노동은 하나이자 같은 관계의 두 측면이다

by 이우 posted May 29, 2017 Views 178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임금노동과자본_s.jpg


   (...) "자본은 온갖 종류의 원료들, 노동 기구들, 생활 수단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새로운 원료들, 새로운 노동도구들, 새로운 생활 수단들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자본의 이 모든 구성 부분들은 노동의 피조물들, 노동의 생산물들, 퇴적된 노동이다. 새로운 생산에 수단으로 쓰이는 퇴적된 노동이 자본이다."

  위와 같이 경제학자들은 말한다. 흑인 노예란 무엇인가? 흑색 인종의 인간이다. 위의 설명은, 이러한 설명이나 마찬가지다. 흑인은 흑인이다. 일정한 관계들 속에서 그는 비로소 노예가 된다. 면방적기는 면방적을 위한 기계이다. 일정한 관계들 속에서만 그것은 자본이 된다. 이러한 관계들로부터 떼내어졌을 때는 그것은 자본이 아닌데, 이는 마치 금이 금 자체로는 화폐가 아니거나 설탕이 설탕 가격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이다.

  생산 속에서 인간들은 자연에 대해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친다. 인간들은, 특정한 방식으로 협력하고 자신들의 활동들을 서로 교환하면서만 생산한다. 생산하기 위하여 인간들은 서로 일정한 연관들과 관계들 속에 들어가며, 또 이러한 사회적 연관들과 관계들 내부에서만 자연에 대한 인간의 작용, 생산이 일어난다. 생산 수단의 성격에 따라, 생산자들이 마주보며 들어가는 이러한 사회적 관계들, 즉 생산자들이 자신들의 활동들을 교환하고 생산의 행위에 참가하는 조건들은 당연히 달라진다. (...)

  개인들이 생산하는 곳인 사회적 관계들, 즉 사회적 생산 관계들은 물질적 생산 수단들의, 생산력들의 변경 및 발전과 더불어 바뀌고 전화한다. 그 전체성 속에 있는 생산 관계들은 사람들이 사회적 관계들, 사회라고 부르는 것을 형성하며, 게다가 일정한 역사적 발전 단계에 있는 어떤 사회, 특유하고 구별되는 성격을 지닌 어떤 사회를 형성한다. 고대 사회, 봉건 사회, 부르조아 사회는 생산 관계들의 그러한 총체들이며, 이 생산 관계들 각각은 동시에 인류 역사에서 특수한 발전 단계를 가리킨다.

  자본 또한 하나의 사회적 생산 관계이다. 그것은 부르조아적 생산 관계, 부르조아 사회의 생산 관계이다. 자본을 구성하는 생활 수단들, 노동 도구들, 원료들 따위는 주어진 사회적 조건들 아래에서, 일정한 사회적 관계들 속에서 생겨나고 퇴적된 것들이 아닌가? 그것들은 주어진 사회적 조건들 아래에서, 일정한 사회관계들 속에서 새로운 생산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가? 그리고 바로 이 특정한 사회적 성격이 새로운 생산에 쓰이는 생산물들을 자본으로 만드는 것이 아닌가?

  자본은 생활 수단들, 노동 도구들, 원료들만, 물질적 생산물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마찬가지로 교환가치들로 구성된다. 자본을 구성하는 모든 생산물들은 상품들이다. 따라서 자본은 물질적 생산물들의 총계일 뿐만 아니라, 상품들의, 교환가치들의, 사회적 크기들의 총계이다. 우리가 양모의 자리에 면화를 놓고, 밀의 자리에 쌀을 놓고, 철도의 자리에 기선을 놓는다하더라도, 면화, 쌀, 기선자본의 육체- 이 이전에 자본이 체화되어 있던 양모, 밀, 철도와 똑같은 교환가치, 똑 같은 가격을 갖고 있다고 전제되기만 하면, 그 자본은 똑같은 것으로 남는다. 자본이 조금의 변경을 당하지 않아도 자본의 육체는 끊임없이 전화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자본이 상품들의, 다시 말해 교환 가치들의 하나의 총계라고 하더라도, 상품들의, 교환가치들의 각각의 총계가 자본인 것은 아니다. 교환가치들의 각각의 총계는 하나의 교환가치이다. 각각의 개별적 교환가치는 교환가치들의 하나의 총계이다. 예를 들어 1000마르크의 가치가 있는 집은 1000마르크의 교환가치이다. 1페니히 가치가 있는 종이 한 장은 100/100페니히라는, 교환가치들의 총계이다. 다른 생산물과 교환될 수 있는 생산물들은 상품들이다. 생산물들이 교환되는 일정한 비율이 그것들의 교환가치를 형성하며, 또는 화폐로 표현된다면 그것들의 가격을 형성한다. 이 생산물들의 양은, 상품이라는 또는 교환가치를 표현한다는 또는 특정한 가격을 갖는다는 그 생산물의 규정을 바꿀 수 없다. 나무가 크든 작든 그것은 여전히 나무이다.우리가 철을 다른 생산물들과 로트로 교환하든 짼트너로 교환하든, 이것이 상품이라는, 교환가치라는 철의 성격을 변화하게 할 것인가? (...)

  그러면 어떻게 각각 상품들이, 교환가치들이 하나의 총계, 즉 자본으로 되는가? 그것이 자립적인 사회적 권력으로서, 즉 사회의 일부의 권력으로서 자신을 유지하고 또 직접적인 산 노동력과의 교환을 통해서 증식되는 것에 의해서이다. 노동 능력 이외에는 아무 것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계급의 존립이 자본에게 필요한 전제이다. (...) 자본의 요체는 퇴적된 노동이 산 노동에 새로운 생산을 위한 수단으로 쓰인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의 요체는 산 노동이 퇴적된 노동에게 그 퇴적된 노동의 교환가치를 유지하고 증대시키는 수단으로 봉사한다는 데 있다.

  자본가와 임금 노동자 사이의 교환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력의 교환에서 생활 수단을 얻지만, 자본가는 자신의 생활 수단과의 교환에서 노동, 노동자의 생산적 활동, 창조적 힘을 얻는데, 이러한 것들을 통해 노동자는 자신이 써서 없애는 것을 보상할 뿐만 아니라 퇴적된 노동이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것보다 더 큰 가치를 그 퇴적된 노동에게 준다. 노동자는 자본가에게 있던 생활 수단의 일부를 자본가로부터 수령한다. 

  이 생활 수단은 노동자에게 어떻게 쓰이는가? 직접적 소비로 쓰인다. 그러나 내가 생활 수단을 소비하자마자 그것들은 내게 돌이킬 수 없도록 상실되는데, 내가 이 수단이 내게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동안의 시간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활수단을 생산하지 않는 한, 소비 속에서 사라져 버린 가치에 나의 노동을 통해 그 생활 수단을 써서 없애는 동안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지 않는 한, 그렇게 될 것이다. 재생산할 수 있다는 바로 이 귀중한 힘을 자본가에세 양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자신을 위하여 이 힘을 상실한 것이다. (...) 바로 그 기업가에게 양도해버린 자신의 생산력 대신에, 그가 조만간 소비할 생활 수단과 교환하는 5그로쉔의 은화를 얻는다. (..) 따라서 자본은 임금 노동을 전제하고, 임금 노동은 자본을 전제한다. 그것들은 서로를 제약하여 서로를 생기게 한다.

  면방적 공장에 노동자가 있다면, 그가 생산하는 것은 면포뿐인가? 그렇지 않다. 그는 자본을 생산한다. 그는, 자신의 노동을 지휘하고 그 노동을 매개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데 새로이 쓰이는 가치를 생산한다. 자본은 노동력과 교환되면서만, 임금 노동에게 생명을 불어넣음으로써만 증대될 수 있다. 임금 노동자의 노동력은 자본을 증대시킴으로써만, 자신을 노예로 삼는 권력을 강화함으로써만 자본과 교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본의 증대는 프롤레타리아트, 다시 말해 노동자 계급의 증대이다. (...)

  사실 그렇다! 노동자는 자본이 고용하지 않으면 파멸한다. 자본은 노동력을 찾취하지 않으면 파멸하며,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구매해야만 한다. 생산하기로 정해진 자본, 즉 생산적 자본이 급속히 증대될수록, 따라서 산업이 번창할수록, 부르조아지가 부유해질수록, 사업이 잘 될수록, 그만큼 자본가는 노동자를 더 필요로 하게 되며, 그만큼 노동자는 자신을 비싸게 판매하게 된다. (...) 자본의 이해 관계와 노동자의 이해 관계가 똑같다. 즉 자본과 임금 노동은 하나이자 똑같은 관계의 두 측면이라는 것을 이를 뿐이다. (...)

 - <신 라인신문>(1849년 4월 7일자, 제266호, 카를 마르크스)
 - <임금 노동과 자본>(카를 마르크스 · 박종철출판사 · 1999년) p.42~49















  1. 13
    Feb 2020
    09:29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마주침의 유물론

    (...) 에피쿠로스에서 맑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자신의 유물론적 기초를 어떤 마주침의 철학(따라서 다소간 원자론적인 철학. 원자는 '낙하' 중에 있는 개체성의 가장 단순한 현상이다) 속에서 찾은 하나의 심오한 전통이―그러나 자신의 발견 그 자체에 의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90 file
    Read More
  2. 20
    Jan 2020
    13:33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505 file
    Read More
  3. 19
    Jan 2020
    21:1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⑥, 성층화(成層化)·계급·분리와 단절

    (...)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려는 이 전투는 살아 있는 사람과 부유한 사람들의 계급 간 투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무책임하게 '계급 간 전쟁'을 정치에 도입했을 때, 워렌 버핏*은 흡족해하면서 "물론 계급 간의 투쟁이다. 그것은 맞지만, 전쟁을 일으킨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108 file
    Read More
  4. 19
    Jan 2020
    19:4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⑤, 자유 · 정보

    (...) 두 개의 단어가 확인된다. 하나는 '추출된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제된다'이다. 클라우드를 관리하려면 기능을 통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숨겨진다. 역설적인 것은 손안에서 사용되는 작은 기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066 file
    Read More
  5. 19
    Jan 2020
    19:00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④, 부채

    (...) 오늘날 자본주의는 유령에 쫓기고 있다. 유령은 부채라는 이름의 악령이다. 자본주의 강대국은 하나같이 이 유령을 쫓기 위한 숭고한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말 부채를 정리하고 싶을까? 마리치오 라자라토*는 국가에서 개인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931 file
    Read More
  6. 19
    Jan 2020
    01:5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1658 file
    Read More
  7. 18
    Jan 2020
    23:3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061 file
    Read More
  8.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60 file
    Read More
  9. 14
    Jan 2020
    15:3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과거와 현재의 관계(원뿔형 도식)

    (...) 우리는 커다란 실용적 이점 때문에 사실들의 실제 순서를 역전시키는 데 너무 익숙해져 있으며, 공간에서 이끌어낸 이미지들에 너무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기억이 어디에 보존되는 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이 뇌 속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57 file
    Read More
  10. 14
    Jan 2020
    00:4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순수 기억이 어떻게 잠재적 상태로 보존되는가 하는 것은 그것의 근본적인 무력함(impuissance)을 볼 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리가 무의식적 심리 상태들을 생각하는 데서 갖는 혐오감은 무엇보다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55 file
    Read More
  11. 13
    Jan 2020
    09:5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기억·지속·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생성

    (...) 우리는 순수기억, 이미지-기억, 지각이라는 세 항들을 구별하였는데, 이 항들 중 어느 것도 사실상 단독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지각은 결코 현재적 대상과 정신의 단순한 접촉이 아니다. 지각에는 항상 그것을 해석하면서 완결시키는 이미지-기억들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134 file
    Read More
  12.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85 file
    Read More
  13.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72 file
    Read More
  14. 30
    Dec 2019
    09:2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신체의 능동성, 기억(mories)

    (...) 식별이 주의적인 경우에, 즉 이미지-기억들이 현재적 지각에 규칙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지각은 기억들의 출현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기억들이 지각 앞으로 자발적으로 향해 가는가? (...) 외적 지각이 실제로 우리에게 그것의 핵심적 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78 file
    Read More
  15. 19
    Dec 2019
    21:41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사물의 실재성·기억·현대 유물론의 탄생

    (...) 우리 지각의 현실성(actuality)은 그것의 활동성(activities)으로, 즉 그것을 연장하는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것이지, 더 큰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과거는 단지 관념에 불과하고, 현재는 관념-운동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고집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02 file
    Read More
  16.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212 file
    Read More
  17. 21
    Nov 2019
    06:56

    [철학] 『사생활의 역사』 : 사생활의 경계와 공간(응접실·사생활·공적 생활·공간의 분절·사회적 성층 작용·노동)

    (...) 사생활은 태초부터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역사적 현실이다. 따라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러므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선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사생활은 공적 생활과 관련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305 file
    Read More
  18. 12
    Nov 2019
    03: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죽음, 해체와 탈중심화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가장 첨예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현대철학은, 주로 프랑스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 의미 부여자로서의 주체는 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253 file
    Read More
  19. 29
    Oct 2019
    12:53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서문

    (...) 시간은 유한한 존재의 진정한 한계인가, 아니면 유한한 존재의 신(神)과의 관계인가? 시간은 유한성과 반대로 무한성을, 결핍에 반대하여 자족성을 존재자에게 보장해 줄 수 없는 관계, 하지만 만족과 불만을 넘어서 덤으로서의 사회성을 뜻하는 관계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73 file
    Read More
  20.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1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