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무관심의 절정 : 현실과 이성의 해방 · 무관심

by 이우 posted Apr 20, 2017 Views 148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무관심의절정_s.jpg


  (...) 장 보드리야르 : (...) 사상이 도전이라면, 그것은 당연히 실험적이어야 합니다. 이것은 오히려 다른 게임의 법칙으로는 알려지지 않은 영역을 탐험하려고 애쓰는 사상의 경험입니다. 니힐리즘이 더 이상의 가치도, 현실도, 기호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이는 '니힐리스트'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즉 니힐리즘과 사기에 대한 고발은 늘 우위에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니힐리즘을 허무에 대한 사상이라는 강략한 의미로 간주한다면, "왜 무엇이 있는 것이 아니라 허무가 있는가?"라는 정리에서 이 철학적 근본 질문을 역전시키면서 "왜 허무가 아닌 무언가가 잇는가?"라는 존재의 질문은 누가 끌어내개 됩니까? 그렇다면 나는 당연히 니힐리스트가 되고 싶습니다.
  나는 세계가 현재의 모습으로 존재한다고, 우리는 이 세계를 그 내적 작용 속에서 현실적인 것으로, 그리고 지각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고, 그러나 다른 곳에서는 전체적으로 거기에 일반적인 대응물도, 그리하여 이 세계에 대한 지각 가능성도, 객관적인 평가도 없다는 가설을 세웁니다. 다른 어떤 것과 교환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것은 교환 불가능을 드러냅니다. (...) 경제적 등가성은 없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그것은 감지될 수 없는 이 의미 속에, 극단적 사고의 용어 속에 있습니다. 극단적인 사고는 현실을 소멸시킬 수 없습니다.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실을 밖으로 동등함 밖으로 내모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변증법적인 사고와 비판적 사고는 우연히 시장 교환이라는 영역을 이루고, 극단적 사고는 불가능한 교환의 지대, 결정할 수 없는 지대에 자리잡습니다.

  필리프 프티 : 현실과 이성을 해발시키려는 당신의 걱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바로 그것이 존재와 사고를 너무나 자주 결합시키고자 했던 철학을 조롱하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당신이 과학과 철학의 결합이라는 허구 속으로 다시 떨어지는 것이 아닙니까? 정확히 말해 당신의 극단적인 사고는 어디에 있는 것입니까? 과학과 철학 옆에? 그 앞에? 그 뒤에 있습니까?

  장 보드리야르 : 다른 곳에. 바로 끝나기 직전. 다시 말해 절정의 단계에 있습니다. 흥미로운 순간은 절정의 순간으로, 이는 끝나는 순간이 아니라 그 직전이죠. 절정의 사고는 더 이상 할 말이 아무 것도 없는 극단 이전, 마지막 위치 이전에 있습니다. 이 사고는 과학적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과학은 교환의 체계로서, 정보와 기억 작용의 체계로서, 최종적이고 객관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세계의 전체적 재현이 없다면, 거기에는 역사의 마지막 말이 될 과학도 더 이상 없을 겁니다.
  인문과학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 혹은 역사로서의 여러 학설들과 일반 과학 자체에는 자기 가설을 위한 내적 명료 체제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사실로 인해 다른 어디에서도 이 학설들이 불확실성에 의해 점점 더 고장나지는 않습니다. 이 명료함은 마지막 단계에서 내적 기능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 학문들이 주체와 객체의 이 결정 불가능한 경계에 있는 이상, 정확하다고 일컬어지는 과학들은 이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필리프 프티 : "아무도 현실을, 명백한 자기 자신의 삶을 믿지 않을수록....." 당신은 이렇게 썼더군요. 이 얼마나 지나친 판결입니까? 이것은 장 보드리야르를 위한 희소식입니다. 아닌가요?

  장 보드리야르 : 사실 스토아학파의 견지에서 볼 때 객관성에, 사건의 극단성에 믿음을 추가하고픈 마음은 쓸데없는 일입니다! 믿음은 미약한 가치입니다. 나는 현실을 상상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믿음의 체계 뒤에, 모든 사람들에게 극단적 경험주의가 있다는 가설을 세웁니다. 이 극단적 경험주의로 인해 사실 어느 누구도 현실에 대한 이러한 사상을 믿지 않습니다. 각자에게는 극단성의 문턱이 있고, 이 문턱은 각자에게 자신의 이데올로기와 믿음 너머에 있는 세계에 대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욕망에 욕망의 파토스를 덧붙이지 마십시오. 희망에 희망을 덧붙이지 마십시오. 이 모든 가치들은 사상으로 우리를 에워쌉니다. 스토아학파 학자들은 이를 알고 있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거리감과 허물벗기기를 발견하는 일입니다. 이 이데올로기의, 주관적인 혹은 집단적인 증식을 쓸어버리도록 애쓰는 것입니다. 

  필리프 프티 : 이는 나로 하여금 <보통 남자의 자서전>에 있는 라뤼엘의 말을 떠오르게 합니다. 그는 이 책에서 중요한 점은 세계를 포착하는 일이 아니라, 세계를 스토아학파의 무관심 같은 것으로 몰아넣을 줄 아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장 보드리야르 : 그렇습니다. 그것을 존재시키거나 미리 해석하도록 하지 않고, 물질적 대상의 주변에서처럼 사고의 대상 주변에 일종의 공허감을 만드는 것입니다. 거기에는 우리가 대상을 혹은 세계를 더 이상 사고의 이미지에 따라 이미 주조된 세계의 생산의 표현으로서가 아니라 출현의 표현으로 포착할 수 있는 순간이 있습니다. 하나의 목적으로 이상하게 장식되기 바로 직전에, 이 세계가 '목적을 띠기' 바로 직전에 말입니다. 그곳은 아직도 결정의 순간입니다. (...)

  - <무관심의 절정(Le Paroxyste Indifferent)>(동문선 현대신서 80 · 장 보드리야르 · 동문선 · 2001년) <왜 무엇이 있는 것이 아니라 허무가 있는가?> p.57~59











  1. 13
    Feb 2020
    09:29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마주침의 유물론

    (...) 에피쿠로스에서 맑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자신의 유물론적 기초를 어떤 마주침의 철학(따라서 다소간 원자론적인 철학. 원자는 '낙하' 중에 있는 개체성의 가장 단순한 현상이다) 속에서 찾은 하나의 심오한 전통이―그러나 자신의 발견 그 자체에 의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72 file
    Read More
  2. 20
    Jan 2020
    13:33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499 file
    Read More
  3. 19
    Jan 2020
    21:1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⑥, 성층화(成層化)·계급·분리와 단절

    (...)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려는 이 전투는 살아 있는 사람과 부유한 사람들의 계급 간 투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무책임하게 '계급 간 전쟁'을 정치에 도입했을 때, 워렌 버핏*은 흡족해하면서 "물론 계급 간의 투쟁이다. 그것은 맞지만, 전쟁을 일으킨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102 file
    Read More
  4. 19
    Jan 2020
    19:4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⑤, 자유 · 정보

    (...) 두 개의 단어가 확인된다. 하나는 '추출된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제된다'이다. 클라우드를 관리하려면 기능을 통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숨겨진다. 역설적인 것은 손안에서 사용되는 작은 기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060 file
    Read More
  5. 19
    Jan 2020
    19:00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④, 부채

    (...) 오늘날 자본주의는 유령에 쫓기고 있다. 유령은 부채라는 이름의 악령이다. 자본주의 강대국은 하나같이 이 유령을 쫓기 위한 숭고한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말 부채를 정리하고 싶을까? 마리치오 라자라토*는 국가에서 개인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923 file
    Read More
  6. 19
    Jan 2020
    01:5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1650 file
    Read More
  7. 18
    Jan 2020
    23:3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054 file
    Read More
  8.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52 file
    Read More
  9. 14
    Jan 2020
    15:3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과거와 현재의 관계(원뿔형 도식)

    (...) 우리는 커다란 실용적 이점 때문에 사실들의 실제 순서를 역전시키는 데 너무 익숙해져 있으며, 공간에서 이끌어낸 이미지들에 너무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기억이 어디에 보존되는 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이 뇌 속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21 file
    Read More
  10. 14
    Jan 2020
    00:4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순수 기억이 어떻게 잠재적 상태로 보존되는가 하는 것은 그것의 근본적인 무력함(impuissance)을 볼 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리가 무의식적 심리 상태들을 생각하는 데서 갖는 혐오감은 무엇보다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44 file
    Read More
  11. 13
    Jan 2020
    09:5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기억·지속·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생성

    (...) 우리는 순수기억, 이미지-기억, 지각이라는 세 항들을 구별하였는데, 이 항들 중 어느 것도 사실상 단독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지각은 결코 현재적 대상과 정신의 단순한 접촉이 아니다. 지각에는 항상 그것을 해석하면서 완결시키는 이미지-기억들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106 file
    Read More
  12.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80 file
    Read More
  13.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61 file
    Read More
  14. 30
    Dec 2019
    09:2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신체의 능동성, 기억(mories)

    (...) 식별이 주의적인 경우에, 즉 이미지-기억들이 현재적 지각에 규칙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지각은 기억들의 출현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기억들이 지각 앞으로 자발적으로 향해 가는가? (...) 외적 지각이 실제로 우리에게 그것의 핵심적 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77 file
    Read More
  15. 19
    Dec 2019
    21:41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사물의 실재성·기억·현대 유물론의 탄생

    (...) 우리 지각의 현실성(actuality)은 그것의 활동성(activities)으로, 즉 그것을 연장하는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것이지, 더 큰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과거는 단지 관념에 불과하고, 현재는 관념-운동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고집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01 file
    Read More
  16.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203 file
    Read More
  17. 21
    Nov 2019
    06:56

    [철학] 『사생활의 역사』 : 사생활의 경계와 공간(응접실·사생활·공적 생활·공간의 분절·사회적 성층 작용·노동)

    (...) 사생활은 태초부터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역사적 현실이다. 따라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러므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선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사생활은 공적 생활과 관련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287 file
    Read More
  18. 12
    Nov 2019
    03: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죽음, 해체와 탈중심화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가장 첨예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현대철학은, 주로 프랑스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 의미 부여자로서의 주체는 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232 file
    Read More
  19. 29
    Oct 2019
    12:53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서문

    (...) 시간은 유한한 존재의 진정한 한계인가, 아니면 유한한 존재의 신(神)과의 관계인가? 시간은 유한성과 반대로 무한성을, 결핍에 반대하여 자족성을 존재자에게 보장해 줄 수 없는 관계, 하지만 만족과 불만을 넘어서 덤으로서의 사회성을 뜻하는 관계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61 file
    Read More
  20.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0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