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by 이우 posted Jan 20, 2020 Views 205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03.jpg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중략) 자발적으로 즈겁게 하는 일이 아니라, 선생님에게 보이려고 하는 행동이다. 자발적으로 시작되기보다는 남을 흉내내다가 결국 그 맛을 알게되는 형태의 즐거움도 마찬가지 아닐까? (...)

  집단 성폭행이나 살인처럼 집합적인 폭력의 형태에도 같은 교훈을 적용할 수 있다. 같은 시대가 아닌 것처럼 관점이 다른 사회 생활의 끔찍한 영향 중 하나가 여성에 대한 폭력이다. 단순히 무작위적인 폭력이 아니라 쳬계적인 폭력이다. 여성 폭력은 특정한 사회적인 맥락에서 특히 하나의 패턴을 보이면서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인도에서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집단 성폭행에 대해 누구나 끔찍하게 생각하지만, 이들 사건에 대한 세계적인 반향은 의심스럽다. 아룬다티 로이의 지적처럼, 도덕적인 판단이나 천편일률적으로 폭발하는 원인은 가해자들이 가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의 시각을 좀 더 넓혀서 유사한 현상을 포함시키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멕시코와 텍사사의 국경에 있는 여자들이 연쇄적으로 살해되는 일은 개인의 병적인 문제가 아니라 관습적인 행동이다. 지역의 갱단이 가진 문화이며(처음에는 집단 성폭행을 하고, 이후 죽을 때까지 고문한다. 가위로 젖꼭지를 자르는 고문도 포함된다), 새로운 조립 공장에서 일하는 미혼인 어린 여성들이 대상이다. 독립적이고 일하는 새로운 여성 계급에 대한 마초적인 반응이다.

  전혀 뜻밖의 예는 벤쿠버 근처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서부 캐나다 원주민 여성들에 대한 연속 성폭행 및 살해 사건이다. 복지국가의 표본이라고 생각되는 캐나다에서 백인 남성 집단이 여자 한 명을 납치해서 성폭행하고 죽인다. 그 다음에는 시첼르 토막 내는데, 모든 범죄 행위가 보호구역 내에서 자행되기 때문에 법적으로 관할 지역의 부족 경찰이 담당하게 된다. 한편 부족 경찰들은 이런 강력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개나다 당국에 요청하면, 정부는 마약과 술 때문에 일어난 가정 폭력으로 치부하기 위해서 해당 지역에 수사를 제한시킨다. 이 모든 사건은 빠른 산업화와 근대화로 인한 사회적인 해체를 위협으로 인식하는 남성들에게 잔인한 대응을 유발시킨 결과다.

  여기에서 찾을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은 이런 폭력적인 행동이 원초적이면서 잔인한 에너지가 자발적으로 폭발해 시민사회의 관계를 부순 것이 아니라, 특정 단체의 상징적인 요소의 일부가 외부에서 자극하고 관습화시켜서 나타난 결과라는 점이다. '순진한' 대중의 시각이 보지 못하는 것은 행동의 잔인함이 아니라, 이 상징적인 관습이 가지고 있는 문화 및 관습적인 요소다.

  가톨릭 교회를 계속해서 뒤흔들고 있는 소아성애 사건 역시 똑같은 왜곡된 사회와 관습의 논리가 작용한 것이다. 개탄스러운 일이지만, 가톨릭 종교의 대표가 내부적인 문제라고 경찰과 협력하기를 꺼리는 것은 어느 정도는 옳다. 카톨릭 사제들의 소아성애 행위는 교회를 제도로 생각하지 않으면서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신부가 되기를 선택한 사람들의 문제가 아니다. 가톨릭 교회가 제도로 생각되고, 사회 및 상징적인 제도로서의 기능이 수행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개인의' 사적인' 무의식이 문제가 아니라 제도의 '무의식'이 문제다. (중략)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The Sound of Music)>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으로 손꼽히는 부분을 떠올려보자. 마리아는 본 트랩 남작의 성적 매력을 거부하지 못해서 그의 집을 떠나서 수녀원으로 되돌아 가지만, 여전히 남작을 잊지 못해서 힘들어 한다. 수도원의 원장 수녀는 마리아를 불러서 본 트랩 가족에게 돌아가서 남작과의 관계를 해결하라고 조언한다. 원장 수녀는 이 메시지를 괴상하게도 '모든 산을 넘어서'라는 제목의 노래를 통해 전달한다. 노래의 모티프는 놀랍게도 "당장 해! 위험을 감수하고 마음이 원하는대로 해! 쓸데없는 자질구레한 생각으로 포기하지마!"라는 것이다. 이 장면이 가지고 있는 괴상한 힘은 욕망의 순간을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장면은 당황스럽다. 절제와 금욕을 설교해야 당사자가 나서서 충실하게 욕망을 부추긴다. (중략)

  약 10년전 쯤에 독일에서 말보로 담배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말보로 광고에 늘 등장하는 카우보이가 손가락으로 '흡연은 건강에 해롭습니다'라는 어구를 가리키고 있고, 예외적으로 'Jetzt erst rechts!'라는 구절이 적혀 있었다. 대략적으로 해석하면, '이제는 정말 위험해졌어!'라는 뜻이다. 여기에 담긴 의미는 분명하다. 흡연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고 있을 것이므로, 이제는 흡연에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아마도 "흡연의 위혐은 잘 알고 있어. 하지만 난 겁쟁이가 아니야. 난 진짜 남자이고, 그러니까 이 정도 위험은 감수하면서 계속 충실하게 담배를 피우겠어!"라는 답을 이끌어낸다. 흡연을 소비지상주의의 일부로 만들어버린 방법이었다. "난 즐거움의 원칙을 무시하고, 건강도 생각지 않으면서, 담배를 소비할 준비가 되어 있어"라는 뜻이 있었다. (중략)
 
  초자아는 성적인 행동을 제한해서 성행위를 맏는다. 하지만 이는 표면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제적인 결과는 "어서 해! 즐겨! 우리가 금지한 것을 하길 원해!"라는 외침이다. 다시 말해서 금지된 것을 어기면 죄책감을 갖지만 따르면 더 큰 죄책감을 갖는다. 프로이트는 이 근본적인 모호함이 초자아의 구성 요소를 극단적인 수준까지 가져간다. 도덕적인 기준을 위반할 때 죄책감을 갖는다. 이를 위반할 수 있는 기회를 활용하지 않으면 더 큰 죄책감을 갖는다. '초자아는 어떤 경우이거나 죄책감을 갖는 것이다.' (중략)

  법에 대해서 알아내면, 법은 정당성을 잃게 될 것이다. 법의 기반은 불법적인 폭력 행위 속에서 두드러진다. 칸트가 법적인 질서의 근본에 대해서 질문하지 못하게 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법이 가지고 있는 범죄적인 저변, 즉 회복을 위한 '신화적인 폭력(벤자민)'이며, 계속해서 법치를 유지하기 위한 폭력은 금지된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한다. 이런 금지는 대상에 압박을 가해서 작용된다. 법적 대상자는 먼저 이루어진 '아프리오리(A priori)'의 죄를 통해서 인식된다. 따라서 권한을 가진 타인의 죄는 법 자체이며, 보이지 않는다. (중략)

  초자아의 압박은 대상을 개인적으로 만든다. 혹은 발리바르알튀세르의 고전적 공식을 거꾸로 뒤집었던 것을 인용해서 표현하면, '초자아는 대상에게 개인적인 요소를 호소한다'이다. 초자아는 나를 특별한 개인으로 만들어주고, 내게 죄의식과 책임감을 요구한다. '일반적인 것으로 탈출하지 말라. 객관적인 상황에 의지하지 말고, 각자의 마음을 들여다보면서 어떤 의무를 저버렸는지 자문하라!" 그래서 초자아는 걱정을 만든다. 초자아의 눈으로 보았을 때, 난 혼자다. 내 뒤에 숨어 있는 다른 존재는 없으며, 나는 기소되었다는 사실만으로 공직적인 유죄이기 때문에 '유죄'가 된다. 만약 무죄라고 주장하면 죄를 부정했기 때문에 또 다른 죄를 지을 뿐이다.

  오늘날의 사회를 구성하는 연속적인 상황은 생태학, 정치적인 교성, 빈곤 등 초자아의 개인화가 갖는 종류를 완벽하게 보여준다. 뚜렷한 생태학적인 담론은 우리에게 생태학적 초자아의 압박 속에서 자연에 빚을 진 '아프리오리 죄인'이라고 말하고, 또 개인을 인식한다. 자연에 진 빚을 갚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 신문은 모두 재활용통에 넣었나? 맥주병과 콜라 깡통도 제대로 재활용을 했나? 자전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데도 자가용을 이용하지는 않았나? 창문만 열면 되는데 에어컨을 켠 것은 아닌가? 이처럼 개인처럼 생태학 위험은 쉽게 식별이 가능하다. 나는 전체 산업의 문명에 대한 세계적인 문제를 제기하기보다는 스스로의 자기 성찰 속에 빠질 때가 많다. (...)


-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슬라보예 지젝·문학사상사·2017년·원제 : Trouble in Paradise, 2014년) p121~143









  1. 10
    Apr 2020
    00:23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베르그손에 있어서의 차이의 개념·엘랑비탈(elan-vital, 생의 약동)

    (...) 지속, 즉 나눌 수 없는 것은 정확히 말해서 스스로를 나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스스로를 나누면서 본성을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본성을 바꾸는 것이 곧 잠재적인 것 또는 주체적인 것을 정의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점에 대해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595 file
    Read More
  2. 09
    Apr 2020
    17:51

    [철학] 『마르크스 평전』 : 포이어바흐·생시몽·시스몽디·푸리에·프루동·엥겔스·바우어·루게·예니·헤스를 만나다

    (...)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르크스 그륀(에른스트 폰 히이데의 가명)에 의해 '진정한 사회주의'라는 이상한 표현이 생겨났다.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은 당시 <사회의 겨울>이나 <트리어지> 같은 잡지들을 통해 주로 표현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765 file
    Read More
  3.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44 file
    Read More
  4.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41 file
    Read More
  5. 19
    Mar 2020
    03:37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신체 권력·지식권력(규율권력)

    (...) 1757년 3월 2일, 다미엥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유죄판결이 내려졌다. "손에 2파운드 무게의 뜨거운 밀랍으로 만든 횃불을 들고, 속옷 차림으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정문 앞에 사형수 호송차로 실려 와, 공개적으로 사죄를 할 것. (중략) 상기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56 file
    Read More
  6. 14
    Mar 2020
    02:1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백조

    백조 LE CYGNE 빅토르 위고에게 I. 앙드레마크1), 나는 그대를 생각하오! 그 작은 강물은 그대의 끝없이 장엄한 과부의 괴로움을 일찌기 비추던 가엾고 서글픈 거울, 그대의 눈물로 불어난 그 가짜의 시모이 강2)은, 내가 새로 생겨난 카루젤 광장3)을 지나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2908 file
    Read More
  7. 12
    Mar 2020
    22:3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A UNE MENDIANTE ROUSE 빨간 머리, 흰 살결의 계집애여 네 헤어진 옷 구멍으로 가난과 아름다움이 내비친다. 보잘 것 없는 시인 나에게는 주근깨투성이인 네 허약한 젊은 몸이 사랑스럽다. 넌 소설 속의 여왕이 빌로도 반장화를 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6397 file
    Read More
  8. 09
    Mar 2020
    07:00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여성성

    (...) 문명화된 삶 가운데는 이러한 타자와의 관계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우리는 이것이 원래 어떤 형식으로 주어졌는가 하는 것을 탐구해 보아야 한다. 타자성이 순수한 상태로 나타나는 그러한 상황이 존재하는가? 타자성이 타자에게 자신의 동일성의 다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978 file
    Read More
  9. 09
    Mar 2020
    05:05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비상호성·비대칭성

    (...) 시간에 대해 좀더 기술해 보자. 죽음의 미래, 그것의 낯설음은 주체에게 어떠한 주도권도 허용하지 않는다. 현재와 죽음, 자아와 신비의 타자성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심연이 가로 놓여 있다. 죽음은 존재에 종말을 가져온다는 사실, 죽음은 끝이고 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302 file
    Read More
  10. 08
    Mar 2020
    04: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철학 VS 타자의 철학

    (...) 일상적 삶 속에서, 세계 안에서, 주체가 지닌 물질적 구조는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아(le moi)와 자기(le soi) 사이에 사이(intrevalle)가 나타난다. 동일한 주체는 즉시 자신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허이데거 이후, 우리는 세계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9439 file
    Read More
  11. 06
    Mar 2020
    03:1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자연의 신비화, 사회주의(독일 사회철학)

    (...) 다음의 논문*에서는 독자에게 우선 하나의 순수문학적인 서시를 통해 '진정 사회주의자'**의 더욱 무거운 진리가 마련된다. 서시는 그리하여 행복을 지난 수천 년간 기울여온 '모든 노력의, 모든 운동의, 무겁고 지칠 줄 모르는 노고의 궁극 목적'으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71 file
    Read More
  12. 04
    Mar 2020
    23:2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공동체

    (...) 교류 형태에 대한 생산력의 관계는 개인들의 활동 또는 실행에 대한 교류 형태의 관계와 같다. 이 활동의 기초 형태는 당연히 물질적이며, 다른 모든 정신적·정치적·종교적인 것등으로부터 독립된 것이다. 물론 물질적인 생활의 상이한 형태들은 이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370 file
    Read More
  13.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30 file
    Read More
  14. 02
    Mar 2020
    02:06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소유에 대한 국가와 법의 관계

    (...) 고대 세계 및 중세에서 최초의 소유 형태는 부족 소유였는데, 로마인의 경우에는 주로 전쟁이, 게르만인의 경우에는 주로 목축이 그 조건이 되었다. 고대 민족들은 몇몇 부족들끼리 한 도시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부족 소유가 국가 소유로 나타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8 file
    Read More
  15.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94 file
    Read More
  16.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00 file
    Read More
  17. 25
    Feb 2020
    02:1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맑스 철학의 시작

    (...) 독일의 이데올로그들은 그들의 말대로, 독일은 최근 수년 동안에 일찍이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변혁을 겪었다. 슈트라우스로부터 시작된 헤겔 체계의 분해 과정은 일대 세계적인 소요로까지 발전했고, 과거의 강자들이 모두 이 와중에 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445 file
    Read More
  18. 23
    Feb 2020
    05:2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카를 마르크스 1. 이제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것을 포함하여)의 주된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단지 객체 또는 직관의 형식하에서만 파악되고, 감성적인 인간의 활동, 즉 실천으로서, 주체로서 파악되지 못한 점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69 file
    Read More
  19. 17
    Feb 2020
    07:26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독특한 유물론적 전통, 스피노자

    (...) 스피노자의 논의에서 나를 또한 매혹한 것은 그의 철학적 전략이었다. 자크 데리다는 철학상의 전략에 대해 많이 말했는데, 그는 전적으로 옳다. 왜냐하면 모든 철학은 적이 장악하여 진지를 구축한 이론적 지역을 포위하기 위해 그 전략적 목표와 전략...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33 file
    Read More
  20.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2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