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정신분석과 재현 · 욕망 기계 · 탈영토화

by 이우 posted Dec 04, 2018 Views 1527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안티오이디푸스.jpg


  (...) 분열-분석의 테제는 단순하다. 즉 욕망은 기계이며, 기계들의 종합이며, 기계적 배치체, 즉 욕망기계들이라는 것이다. 욕망은 생산의 질서에 속하며, 모든 생산은 욕망적인 동시에 사회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신분석이 이러한 생산의 질서를 으깼고, 또 그것을 재현 속으로 전복시켜 버렸다고 비난한다. 무의식적 재현이라는 관념은, 정신분석의 대담성이기는커녕, 그 출발에서부터 자신의 파탄 내지 포기를 표시해 준다. 즉 더 이상 생산하지 않으며 믿는 데 그치는 무의식 말이다. 무의식은 오이디푸스를 믿는다. 무의식은 거세, 법을 믿는다. 정신분석가야말로 필경 믿음이 가장 엄밀하게는 무의식의 행위가 아니라는 것을 처음으로 말한 자이리. 우리 안의 정신분석가라는 것까지 말해야 하지 않을까? 믿음은 무의식적 재현이 원격작용으로 의식적 질료에 행사한 결과일까? 하지만 역으로, 먼저 생산들의 자리를 차지한 믿음들의 체계가 아니라면, 무엇이 무의식을 재현이라는 이런 상태로 환원했을까?

  실로 사회적 생산이 자율적이라고 가정된 믿음 속에서 소외된는 것과 욕망적 생산이 무의식적이라고 가정된 재현들 속에서 우화되는 것은 동시에 일어난다. 그리고 욕망적 · 사회적 생산을 변질시키고 일그러뜨리며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 넣은 이 이중 작용을 수행하는 것은 바로 동일한 심급, 즉 가족이다. 믿음-재현이 가족과 맺는 연줄 또한 우발적이지 않으며, 재현이 가족적 재현이라는 점은 재현의 본질에 속한다. 하지만 이 때문에 생산이 제압되지는 않으며, 생산은 생산을 질식시키지만 역으로 파열의 극한까지 울려 퍼지게 할 수 있는 재현적 심급 밑에서 계속 으르렁거리고 윙윙거린다. 그러면 생산의 지대들에 실효적으로 침범하기 위해, 재현은 비극과 신화의 모든 권력으로 가득 차야 할 것이며, 가족을 신화적이고 비극적으로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신화와 비극도 생산들이요, 생산 형식들 아닐까? 확실히 그렇지 않다. 신화와 비극은 현실적인 사회 생산과, 현실적인 욕망적 생산과 연관해서만 생산이다. 그렇지 않을 때는, 신화와 비극은 생산 단위들을 차지한 이데올로기 형식들이다. 옹이디푸스, 거세 등을 누가 믿는 것일까? 희랍인들일까? 하지만 희랍인들은 자신들이 믿었던 것처럼 생산하지는 않았다. 그렇다면 희랍인들이 그처럼 생산한다고 믿는 희랍 연구가들일까? 적어도 희랍 연구가들은 그랬다. 엥엘스는 이들에 대해 이런 말을 했다. '그들은 신화를, 비극을 (...) 믿었다고 말할 수 있으이라." 오이디푸스와 거세를 자신에게 재현하는 것은 무의식일까? 아니면 그렇게 무의식을 재현하는 것은 정신분석가, 우리 안의 정신분석가일까? 왜냐하면 바로 정신분석가들이 "신화를, 그리고 비극을 (...) 믿고 있다"라고 말할 수 있으리라는 엥엘스의 말이 이토록 많의 의미를 되찾은 적이 한 번도 없었으니까(희랍 연구가들은 오래전부터 신화와 비극을 믿기를 그쳤는데, 정신분석가들은 계속해서 믿고 있다). (...)

  미셸 푸코는 어떤 절단이 재현의 세계에 생산을 난입시켰는지 깊이 있게 보여 주었다. 생산은 노동의 생산내지 욕망의 생산일 수 있고, 사회적 생산 내지 욕망적 생산일 수 있다. 생산은 더 이상 자신을 재현 속에 포함되게 내버려 두지 않는 힘들에 호소하며, 또 모든 측면에서 재현을 꿰뚫고 있는 <어둠의 광대한 층>에 호소하는 것이다. 재현의 고전적 세계의 이런 파탄 내지 탕진에 푸코는 18세기 말과 19세기라는 날짜를 부여한다. 따라서 상황은 우리가 말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해 보인다. 왜냐하면 정신분석은 모든 가능한 재현에 종속되는 대신 이것들을 자신에게 복종시키는 생산 단위들을 이렇게 발견하는 최고 지점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카도가 재현 가능한 모든 가치의 원리로 양적 노동을 발견함으로써 정치경제학 또는 사회 경제학을 정초한 것과 마찬가지로, 프로이트는 욕망의 대상들과 목표들의 모든 재현의 원리로 양적 리비도를 발견함으로써 욕망 경제학을 정초한다. 리카도가 노동의 주체적 본성과 내적 추상적 본질을 발견하는데, 이들은 욕망과 노동을 객체들, 목표들 또는 심지어 우너천들에 결부해 왔던 모든 재현을 넘어 갔다. 따라서 리카도가 <단적인 노동 자체>를 뽑아낸 최초의 사람이듯, 프로이트는 단적인 욕망 자체를 최초로 찾아낸 사람으로, 이를 통해 이들은 재현을 실효적으로 넘어서는 생산 영역을 최초로 찾아냈다. 주체적 · 추상적 욕망은 탈영토화 운동과 뗄 수 없는데, 이 운동은 재현의 틀 속에서 욕망 내지 노동을 특정 인물 내지 특정 대상에 여전히 연계하고 있던 모든 특수한 규정 아래에서 기계들과 담당자들의 놀이를 발견한다.

  욕망 기계들과 욕망적 생산, 욕망의 심리 장치들과 욕망의 기계들, 욕망 기계들과 이 기계들을 해독하기에 적절한 분석 기계의 설치, 다시 말해 부분적 연결들, 포괄적 분리들, 유목적 결합들, 다의적인 흐름과 사슬들, 변환적* 절단들 등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자유로운 종합들의 영역, 그리고 무의식의 구성체로서 욕망 기계들과 이 기계들이 조직된 군중들 속에서 통계적으로 구성하는 그램분자적 구성체들의 관계, 이로부터 생겨나는 억압-탄압의 정치..... 이런 것들이 분석장(分析場)을 구성하며, 이 재현 아래 차원의 분석장은 오이디푸스마저 가로질러, 아직도 정 분석과 재현의 화해를 표시해 주는 신화와 비극마저도 가로질러 계속 살아남아 가능하리라. 이제 정신분석 전체를 가로지르고 있는 비극적 · 신화적인 가족적 재현과 욕망적 · 사회적 생산 사이의 갈들이 남는다.

  왜냐하면, 신화와 비극은, 욕망을 특수한 객관적 코드들―토지의 몸, 전제군주의 몸―로 여전히 데려오듯 특정한 외부조건들로 여전히 다시 데려와, 이런 식으로 추상적 내지 주체적 본질을 방해하는 상징적 재현들의 체계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람들이 주목할 수 있었던 것은, 프로이트가 심리적 장치들, 욕망적 · 사회적 기계들, 충동 메커니즘과 제도 메커니즘 등에 대한 고찰을 으뜸가는 것으로 복원시킬 때마다 신화와 비극에 대한 그의 관심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며, 이와 동시에 프로이트는 융에게서, 그 다음엔 랑크에게서, 객체적인 것으로서 욕망의 본질이 신화나 비극 속에서 소외된 채 외부적 재현으로 재건된다는 점을 고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

  .....................

  * 변환(transduction) 개념은 시몽동에서 유래했다. 생산과 재현에 관해서는 "Interview / Flex Guattari," in Diacritics, a review of contemporay criticism, Fall 1974, p.39를 볼 것.  "기호들은 물질 못지않게 작동한다. 물질은 기호들 못지않게 표현한다. (...) 본질적으로 변환은 기호론적 표현의 사슬들과 물질적 사슬들 사이에서 뭔가가 유도되고 뭔가가 발생한다는 관념이다."

  ** 디디에 양지와는 특히 두 시기를 구별한다. 1906~1920년 시기는 <정신분석의 역사에서 신화론적 작업들의 위대한 시대>를 이루며, 그 다음은 프로이트가 두번째 장소론 및 욕망과 제도들의 관계들이라는 문제들로 방향을 바꾸어, 신화들의 체계적 탐험에는 갈수록 관심을 잃어 가게 되며, 상대적으로 평가가 하락한 시기이다.("Freud et la mythologie," in Incidence de la psychanalyse, 1권, 1970, pp. 126~129)

 - 『안티 오이디푸스』(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민음사 · 2014년  · 원제 : L’Anti-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1972년) <3. 오이디푸스 문제> p.494~501










  1. 10
    Apr 2020
    00:23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베르그손에 있어서의 차이의 개념·엘랑비탈(elan-vital, 생의 약동)

    (...) 지속, 즉 나눌 수 없는 것은 정확히 말해서 스스로를 나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스스로를 나누면서 본성을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본성을 바꾸는 것이 곧 잠재적인 것 또는 주체적인 것을 정의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점에 대해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573 file
    Read More
  2. 09
    Apr 2020
    17:51

    [철학] 『마르크스 평전』 : 포이어바흐·생시몽·시스몽디·푸리에·프루동·엥겔스·바우어·루게·예니·헤스를 만나다

    (...)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르크스 그륀(에른스트 폰 히이데의 가명)에 의해 '진정한 사회주의'라는 이상한 표현이 생겨났다.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은 당시 <사회의 겨울>이나 <트리어지> 같은 잡지들을 통해 주로 표현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749 file
    Read More
  3.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37 file
    Read More
  4.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19 file
    Read More
  5. 19
    Mar 2020
    03:37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신체 권력·지식권력(규율권력)

    (...) 1757년 3월 2일, 다미엥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유죄판결이 내려졌다. "손에 2파운드 무게의 뜨거운 밀랍으로 만든 횃불을 들고, 속옷 차림으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정문 앞에 사형수 호송차로 실려 와, 공개적으로 사죄를 할 것. (중략) 상기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34 file
    Read More
  6. 14
    Mar 2020
    02:1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백조

    백조 LE CYGNE 빅토르 위고에게 I. 앙드레마크1), 나는 그대를 생각하오! 그 작은 강물은 그대의 끝없이 장엄한 과부의 괴로움을 일찌기 비추던 가엾고 서글픈 거울, 그대의 눈물로 불어난 그 가짜의 시모이 강2)은, 내가 새로 생겨난 카루젤 광장3)을 지나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2895 file
    Read More
  7. 12
    Mar 2020
    22:3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A UNE MENDIANTE ROUSE 빨간 머리, 흰 살결의 계집애여 네 헤어진 옷 구멍으로 가난과 아름다움이 내비친다. 보잘 것 없는 시인 나에게는 주근깨투성이인 네 허약한 젊은 몸이 사랑스럽다. 넌 소설 속의 여왕이 빌로도 반장화를 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6393 file
    Read More
  8. 09
    Mar 2020
    07:00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여성성

    (...) 문명화된 삶 가운데는 이러한 타자와의 관계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우리는 이것이 원래 어떤 형식으로 주어졌는가 하는 것을 탐구해 보아야 한다. 타자성이 순수한 상태로 나타나는 그러한 상황이 존재하는가? 타자성이 타자에게 자신의 동일성의 다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962 file
    Read More
  9. 09
    Mar 2020
    05:05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비상호성·비대칭성

    (...) 시간에 대해 좀더 기술해 보자. 죽음의 미래, 그것의 낯설음은 주체에게 어떠한 주도권도 허용하지 않는다. 현재와 죽음, 자아와 신비의 타자성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심연이 가로 놓여 있다. 죽음은 존재에 종말을 가져온다는 사실, 죽음은 끝이고 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291 file
    Read More
  10. 08
    Mar 2020
    04: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철학 VS 타자의 철학

    (...) 일상적 삶 속에서, 세계 안에서, 주체가 지닌 물질적 구조는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아(le moi)와 자기(le soi) 사이에 사이(intrevalle)가 나타난다. 동일한 주체는 즉시 자신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허이데거 이후, 우리는 세계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9327 file
    Read More
  11. 06
    Mar 2020
    03:1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자연의 신비화, 사회주의(독일 사회철학)

    (...) 다음의 논문*에서는 독자에게 우선 하나의 순수문학적인 서시를 통해 '진정 사회주의자'**의 더욱 무거운 진리가 마련된다. 서시는 그리하여 행복을 지난 수천 년간 기울여온 '모든 노력의, 모든 운동의, 무겁고 지칠 줄 모르는 노고의 궁극 목적'으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59 file
    Read More
  12. 04
    Mar 2020
    23:2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공동체

    (...) 교류 형태에 대한 생산력의 관계는 개인들의 활동 또는 실행에 대한 교류 형태의 관계와 같다. 이 활동의 기초 형태는 당연히 물질적이며, 다른 모든 정신적·정치적·종교적인 것등으로부터 독립된 것이다. 물론 물질적인 생활의 상이한 형태들은 이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361 file
    Read More
  13.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26 file
    Read More
  14. 02
    Mar 2020
    02:06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소유에 대한 국가와 법의 관계

    (...) 고대 세계 및 중세에서 최초의 소유 형태는 부족 소유였는데, 로마인의 경우에는 주로 전쟁이, 게르만인의 경우에는 주로 목축이 그 조건이 되었다. 고대 민족들은 몇몇 부족들끼리 한 도시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부족 소유가 국가 소유로 나타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1 file
    Read More
  15.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51 file
    Read More
  16.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91 file
    Read More
  17. 25
    Feb 2020
    02:1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맑스 철학의 시작

    (...) 독일의 이데올로그들은 그들의 말대로, 독일은 최근 수년 동안에 일찍이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변혁을 겪었다. 슈트라우스로부터 시작된 헤겔 체계의 분해 과정은 일대 세계적인 소요로까지 발전했고, 과거의 강자들이 모두 이 와중에 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412 file
    Read More
  18. 23
    Feb 2020
    05:2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카를 마르크스 1. 이제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것을 포함하여)의 주된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단지 객체 또는 직관의 형식하에서만 파악되고, 감성적인 인간의 활동, 즉 실천으로서, 주체로서 파악되지 못한 점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47 file
    Read More
  19. 17
    Feb 2020
    07:26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독특한 유물론적 전통, 스피노자

    (...) 스피노자의 논의에서 나를 또한 매혹한 것은 그의 철학적 전략이었다. 자크 데리다는 철학상의 전략에 대해 많이 말했는데, 그는 전적으로 옳다. 왜냐하면 모든 철학은 적이 장악하여 진지를 구축한 이론적 지역을 포위하기 위해 그 전략적 목표와 전략...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09 file
    Read More
  20.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1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