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담론의 질서』 : 배제(exclusion)의 과정(금기, 분할과 배척, 진위의 대립)

by 이우 posted Aug 02, 2018 Views 229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담론의질서.jpg


  (...) 어떤 사회든 담론의 생산을 통제하고, 선별하고, 조직화하고 나아가 재분배하는 일련의 과정들―그의 힘들과 위험들을 추방하고, 그의 우연한 사건을 지배하고, 그의 무거운, 위험한 물질성을 피해 가는 역할을 하는 과정들―이 존재한다. 유럽과 같은 사회에서, 우리는 배제(exclusion)의 과정들을 잘 알고 있다.

  1) 가장 분명하고 친숙한 것은 금지(interdit)이다. 우리가 모든 것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권리가 없다는 것, 즉 우리가 어느 상황에서나, 누구나 그리고 무엇에 관해서나 말할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대성에 있어서의 금기, 상황에 있어서의 관례, 말하는 주체에 있어서의 특권적인 또는 배타적인 권리. 우리는 이들에게서 끊임없이 수정되는 복잡한 그물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서로를 강화해 주는, 또는 서로 상보적으로 작용하는 세 유형의 금지들의 놀이를 볼 수 있다. 나는, 여기에서 단지 우리의 시대에, 그 그물이 가장 촘촘하고 그 격자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두 영역에만 주목하고자 한다. 성(性)의 영역정치의 영역이다. 이 영역에서 담론이란 결코 성을 진정시키고 정치에 평화를 부여하는 투명한 또는 중심적 요소가 아니다. 그것은 이들이 특권적인 방식으로 그들의 보다 위험한 힘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소들 중 하나였던 것이다. 담론이 외관상 중요하지 않게 보이는 경우라 할지라도, 그에 부과되는 금지들은 곧 욕구와 구너력에 대한 그의 관계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는 결코 놀랄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담론―예컨대 우리가 연구한 바 있었던 정신분석학―은 단지 욕구를 드러내는 또는 숨기는 존재인 것만이 아니라 욕구의 대상인 존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가 우리에게 늘 가르쳐 주곤 했듯이, 담론이란 단지 투쟁들이나 지배의 관계들을 번역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그를 위해, 그를 가지고서 싸우는 것, 사람들이 탈취하고자 하는 그 권력이기 때문이다.

  2) 우리의 사회에는 배제의 다른 원리가 존재한다. 그것은 분할(partage)과 배척(reject)이다. 나는 이성과 광기의 대립을 생각하고 있다. 중세말 이래로 광인은 그의 담론이 다른 사람들의 담론처럼 통용되지 못하는 그러한 사람이었다. 그의 말은, 진리가도 중요성도 가지지 못함으로써, 정당한 것으로 입증되지 못함으로써, 스스로의 행위나 계약을 하자 없는 것으로 만들지 못함으로써, 나아가 종교적 의식에도 참석하지 못함으로써, 무효화되었다. 또한 역으로 사람들은 그에게 다른 사람들과는 전혀 상반되는 이상한 능력들, 숨겨진 진리를 말하는 능력이나 미래를 예견하는 능력, 다른 사람들의 이성이 파악하지 못하는 것을 순수하게 볼 수 있는 능력을 부여했다. 지난 몇 세기 동안 유럽에서 광인들의 말은 청취되지 않았다는 것, 그러나 청취되었을 경우에는 그것이 진리의 말로서 성취되었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광인의 말은 발화되자마자 거부당함으로써 무(無)로 화해 버렸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사람들은 그로부터 소박한 또는 교활한 이성, 이성적인 사람들의 그것보다 더 이성적인 하나의 이성을 해독해 내었다. 어쨌든, 배제되는 경우이든 이성에 의해 특별 취급을 받는 경우이든, 그것은 엄밀한 의미에서는 실존하지 않았다. (중략) 광인의 모든 담론들은 잡음으로 화했다. (중략)

  3) 이들과 나란히 배제의 세번째 체계로서 진위의 대립(l'opposition du vari et faux)을 고려하는 것은 위험하게 보일지도 모른다. (중략) 진과 위 사이의 분할은 자의적이지도, 제도적이지도, 수정 가능하지도, 폭력적이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인식론적 층위에 위치할 경우, 우리의 담론들을 통해 우리의 역사의 많은 세기들을 통과해 온 이 진리에의 의지는 무엇이었던가, 그리고 여전히 무엇인가, 또는 매우 일반적인 형태에서 이 지식에의 의지를 지배하는 분할의 유형은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을 제기한다면, 우리에게 나타나는 것은 배제의 체계와 같은 무엇(역사적인, 수정 가능한, 제도적으로 강제적인 체계)이리라. (중략) 그러나 한 세기가 지난 후에는 가장 고귀한 진리는 이제 더 이상 담론이 무엇인가에, 또는 그것이 무엇을 하는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무엇을 말하는가에 있게 되었다. 진리가 언표행위의 의례화된, 효과적인, 적절한 실행으로부터 언표 자체로, 그 의미, 그 형태, 그 대상, 그 지시작용으로 이전되는 날이 온 것이다. 참된 담론과 거짓된 담론을 구분함으로써, 헤시오도스와 플라톤 사이에 하나의 분할이 수립되었다. 새로운 분할. 왜냐하면 그 후 참된 담론은 그것이 더 이상 권력의 실행에 연결되는 존재임이 아니게 됨으로써 귀중하고 가치있는 존재이기를 그치기 때문이다. 소피스트들은 축출되었다. (중략) 지식에의 의지가 출현했다. 모든것이 거대한 플라톤적 분할로부터 출발해, 진리에의 의지가 그 자신의 고유한 역사를 보유하고 있는 것처럼 진행되었다. 인식 대상들의 평면들의 역사, 인식하는 주체의 기능들과 위치들의 역사, 인식의 물질적, 기술적, 도구적 투자들의 역사. 그리고 이 진리에의 의지는, 배제의 다른 체계들에서처럼, 어떤 제도적 토대 위에 입각해 있다. 그것은 교육학과 같은 그리고 물론 책들의, 편집의, 도서관들의 체계와 같은, 나아가 오늘날에는 과학자들의 집단들이나 실험실과 같은 실천들의 두께*에 의해 강화되고 또 동시에 갱신된다. (...)

 - 『담론의 질서*(미셸 푸코 · 새길 · 1993년, 원제 : L'ordre du discours, Gallimard, 1971년) p.16~21


  .................

   언어는 순수하게 언어적 차원에서만 기능할 수없다. 그것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비언어적 토대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예컨대 저작들은 책을 생산해내는 산업을 통해 형성되며, 연극적인 언어는 무대의 장치들을 통해 형성된다. 롤랑 바르트는 언어의 이러한 부분을 '언어의 두께'라고 말하고 있다. '실천적인 두께'란 바로 권력과 욕구의 놀이를 함축하는 이 언어의 두께를 말한다. 조심할 것은 푸코가 '언어의 두께'라는 말을 쓸 때는, 바르트와는 달리, 무엇인가를 단지 가리킬 뿐인 단순한 기호가 아니라 어떤 숨겨진 의미들, 역사적으로 축적된 의미들을 풍요롭게 담지하고 있는 언어들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푸코는 바르트적인 의미의 언어의 두께를 말할 때는 '언어의 물질성'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이 『담론의 질서』는 1971년, 미셀 푸코의 꼴레쥬 드 프랑스 취임 강연을 역자 이정우가 완역한 책이다.














  1. 10
    Apr 2020
    00:23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베르그손에 있어서의 차이의 개념·엘랑비탈(elan-vital, 생의 약동)

    (...) 지속, 즉 나눌 수 없는 것은 정확히 말해서 스스로를 나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스스로를 나누면서 본성을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본성을 바꾸는 것이 곧 잠재적인 것 또는 주체적인 것을 정의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점에 대해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595 file
    Read More
  2. 09
    Apr 2020
    17:51

    [철학] 『마르크스 평전』 : 포이어바흐·생시몽·시스몽디·푸리에·프루동·엥겔스·바우어·루게·예니·헤스를 만나다

    (...)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르크스 그륀(에른스트 폰 히이데의 가명)에 의해 '진정한 사회주의'라는 이상한 표현이 생겨났다.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은 당시 <사회의 겨울>이나 <트리어지> 같은 잡지들을 통해 주로 표현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765 file
    Read More
  3.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44 file
    Read More
  4.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41 file
    Read More
  5. 19
    Mar 2020
    03:37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신체 권력·지식권력(규율권력)

    (...) 1757년 3월 2일, 다미엥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유죄판결이 내려졌다. "손에 2파운드 무게의 뜨거운 밀랍으로 만든 횃불을 들고, 속옷 차림으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정문 앞에 사형수 호송차로 실려 와, 공개적으로 사죄를 할 것. (중략) 상기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56 file
    Read More
  6. 14
    Mar 2020
    02:1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백조

    백조 LE CYGNE 빅토르 위고에게 I. 앙드레마크1), 나는 그대를 생각하오! 그 작은 강물은 그대의 끝없이 장엄한 과부의 괴로움을 일찌기 비추던 가엾고 서글픈 거울, 그대의 눈물로 불어난 그 가짜의 시모이 강2)은, 내가 새로 생겨난 카루젤 광장3)을 지나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2908 file
    Read More
  7. 12
    Mar 2020
    22:3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A UNE MENDIANTE ROUSE 빨간 머리, 흰 살결의 계집애여 네 헤어진 옷 구멍으로 가난과 아름다움이 내비친다. 보잘 것 없는 시인 나에게는 주근깨투성이인 네 허약한 젊은 몸이 사랑스럽다. 넌 소설 속의 여왕이 빌로도 반장화를 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6397 file
    Read More
  8. 09
    Mar 2020
    07:00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여성성

    (...) 문명화된 삶 가운데는 이러한 타자와의 관계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우리는 이것이 원래 어떤 형식으로 주어졌는가 하는 것을 탐구해 보아야 한다. 타자성이 순수한 상태로 나타나는 그러한 상황이 존재하는가? 타자성이 타자에게 자신의 동일성의 다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978 file
    Read More
  9. 09
    Mar 2020
    05:05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비상호성·비대칭성

    (...) 시간에 대해 좀더 기술해 보자. 죽음의 미래, 그것의 낯설음은 주체에게 어떠한 주도권도 허용하지 않는다. 현재와 죽음, 자아와 신비의 타자성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심연이 가로 놓여 있다. 죽음은 존재에 종말을 가져온다는 사실, 죽음은 끝이고 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302 file
    Read More
  10. 08
    Mar 2020
    04: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철학 VS 타자의 철학

    (...) 일상적 삶 속에서, 세계 안에서, 주체가 지닌 물질적 구조는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아(le moi)와 자기(le soi) 사이에 사이(intrevalle)가 나타난다. 동일한 주체는 즉시 자신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허이데거 이후, 우리는 세계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9438 file
    Read More
  11. 06
    Mar 2020
    03:1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자연의 신비화, 사회주의(독일 사회철학)

    (...) 다음의 논문*에서는 독자에게 우선 하나의 순수문학적인 서시를 통해 '진정 사회주의자'**의 더욱 무거운 진리가 마련된다. 서시는 그리하여 행복을 지난 수천 년간 기울여온 '모든 노력의, 모든 운동의, 무겁고 지칠 줄 모르는 노고의 궁극 목적'으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71 file
    Read More
  12. 04
    Mar 2020
    23:2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공동체

    (...) 교류 형태에 대한 생산력의 관계는 개인들의 활동 또는 실행에 대한 교류 형태의 관계와 같다. 이 활동의 기초 형태는 당연히 물질적이며, 다른 모든 정신적·정치적·종교적인 것등으로부터 독립된 것이다. 물론 물질적인 생활의 상이한 형태들은 이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370 file
    Read More
  13.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30 file
    Read More
  14. 02
    Mar 2020
    02:06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소유에 대한 국가와 법의 관계

    (...) 고대 세계 및 중세에서 최초의 소유 형태는 부족 소유였는데, 로마인의 경우에는 주로 전쟁이, 게르만인의 경우에는 주로 목축이 그 조건이 되었다. 고대 민족들은 몇몇 부족들끼리 한 도시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부족 소유가 국가 소유로 나타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8 file
    Read More
  15.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94 file
    Read More
  16.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00 file
    Read More
  17. 25
    Feb 2020
    02:1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맑스 철학의 시작

    (...) 독일의 이데올로그들은 그들의 말대로, 독일은 최근 수년 동안에 일찍이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변혁을 겪었다. 슈트라우스로부터 시작된 헤겔 체계의 분해 과정은 일대 세계적인 소요로까지 발전했고, 과거의 강자들이 모두 이 와중에 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445 file
    Read More
  18. 23
    Feb 2020
    05:2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카를 마르크스 1. 이제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것을 포함하여)의 주된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단지 객체 또는 직관의 형식하에서만 파악되고, 감성적인 인간의 활동, 즉 실천으로서, 주체로서 파악되지 못한 점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69 file
    Read More
  19. 17
    Feb 2020
    07:26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독특한 유물론적 전통, 스피노자

    (...) 스피노자의 논의에서 나를 또한 매혹한 것은 그의 철학적 전략이었다. 자크 데리다는 철학상의 전략에 대해 많이 말했는데, 그는 전적으로 옳다. 왜냐하면 모든 철학은 적이 장악하여 진지를 구축한 이론적 지역을 포위하기 위해 그 전략적 목표와 전략...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33 file
    Read More
  20.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2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