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②

by 이우 posted Jul 19, 2018 Views 131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에티카_900.jpg


  (...) 이제는 자연이 자신 앞에 설정한 어떠한 목적도 없고 모든 목적인은 인간이 꾸며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논의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왜냐하며 정리161)정리 32의 따름정리2)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이 편견이 그 기원을 어디서 끌어 왔는가를 보여주는 근거들과 원인들에 의해서, 또한 이 밖에도 자연의 모든 것이 영원한 필연성과 최고의 완전성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정리에 의해서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다음의 것, 즉 목적에 관한 이 학설이 자연을 완전히 전도시킨다는 사실을 덧붙일 것이다. 왜냐하면 목적에 관한 그 학설은 참된 원인을 결과로 간주하고 또한 역으로 결과인 것을 원인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중략) 정리 21, 22, 233)에 의해서 분명해지듯이, 저 결과는 에 의해 직접 생산된 가장 완전한 것이고, 어떤 것이 생산되기 위해 다수의 매개적인 원인들을 필요로 할수록 그것은 덜 완전해 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신에 의해 직접 생산된 사물들이 신이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만든 것이라면, 앞선 것이 목적으로 삼는 마지막 것이 필연적으로 다른 모든 것을 능가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이 학설은 신의 완전성을 파멸시킨다. 왜냐하면 신이 목적 때문에 행위한다면 필연적으로 자신이 결여하고 있는 어떤 것을 욕구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학자들과 형이상학자들은 필요의 목적(finem indigentiae)4)동화의 목적(finem assimilations)5)을 구별하면서도, 신은 창조할 사물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만든 것이라고 고백한다. 왜냐하면 창조 이전에는 신만을 신의 행위에 대한 목적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은 신이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마련하길 결여하고 있었으며 또한 그것을 원했음을 자명한 것으로 인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사물들에 목적을 귀속시킴으로써 자신들의 기질을 보여주고 싶어 하던 이 학설의 추종자들이 자신들의 학설을 입중하기 위해 새로운 논증방식, 곧 불가능한 것으로의 환원이 아니라 무지로의 환원을 내세웠다는 사실을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는 이 학설을 입증할 다른 논증 수단이 없음을 보여준다.

  예컨대 돌 하나가 지붕에서 누군가의 머리 위로 떨어져 죽었다면, 이런 방식을 통해 그들은 돌이 사람을 죽이기 위해 떨어졌다고 논증할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신이 원하는 목적에 따라 돌을 떨어뜨리지 않았다면, 어떻게 그렇게 많은 상황들이 우연히 동시에 일어날 수 있겠는가'라고 그들은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바람이 불었을 테고 또한 그 사람이 저 길을 걷고 있었기 대문에 그런 일이 일어났노라고 당신은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왜 바람이 그 시간에 불었고, 왜 그 사람이 그 시간에 그 길을 갔느냐고 추궁할 것이다. 고요하던 바다가 전날에 파도치기 시작했고 또한 그 사람이 친구의 초대를 받아 불던 그때 거기 있었던 것이라고 재차 대답한다면 그들은 질문을 던지는 것이 틍이 없기 때문에 왜 바다에서 파도가 쳤고, 왜 그 사람이 바로 그 장소로 초대받게 된 것인지 재차 추궁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신의 의지, 다시 말해 무지의 피난처로 피신할 때까지 그들은 원인의 원인을 계속해서 물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인간 신체의 구조를 볼 때 그들은 깜짝 놀라지만 그런 기술들의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그것이 기계적인 기술이 아니라 신적인 혹은 초자연적인 기술에 의해 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고 결론 내린다.

  바로 이런 이유에서 진정한 기적들의 원인들을 찾고, 바보처럼 단지 자연물에 대해 경탄하는 것이 아니라 학식 있는 사람처럼 자연물을 이해하려는 사람은 여기저기서 이단자와 불경건자로 간주되고 또한 편견에 사로 잡힌 사람들이 자연과 신들의 해석자로 떠받드는 사람들에 의해서 공개적으로 비난받는다. 왜냐하면 자연과 신들의 해석자로 대중에게 칭송받는 사람들은 무지가 제거되면 자신들의 권위를 주장하고 지지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 역시 제거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 『에티카』(B. 스피노자 · 책세상 · 200‎6년 · 원제 : Ethica in Ordine Geometrico Demonstrata, 1677년) <제1부 신에 대하여> p.19~22



  .....................................

  1)정리16 : 신의 본성이 필연성으로부터 많은 것들이 무한히 많은 방식으로 따라 나와야 한다.

  2)정리 32의 따름정리 : ①신은 의지의 자유에 의해 결과를 생산하지 않는다. ②의지와 지성 역시 운동과 정지와 마찬가지로 신의 본성과 연관되어 있다. ③ 그래서 지성과 의지 역시 자연법칙에 따라 작동한다.

  3)정리 21, 22, 23 : 신의 한 속성이 절대적 본성으로부터 따라 나오는 모든 것은 항상 그리고 무한히 졵해야만 했다(정리 21). 신의 한 속성에 의해 필연적이고 또한 무한한 것으로 존재하는 그러한 변용으로 변용된 한에서, 신의 한 속성으로부터 따라나오는 모든 것 역시 필연적이고 도한 무한한 것으로 존재해야만 한다(정리22). 필연적이고 또한 무한한 것으로 존재하는 모든 양태는 신의 어떤 속성의 절대적 본성으로부터 따라나와야 하거나 혹은 필연적이고 또한 무한한 것으로 존재하는 변용은 변용된 어떤 속성으로부터 따라나와야 한다(정리 23).

  4)필요의 목적(finem indigentiae) : 스콜라 철학에서 사용된 개념. 허기를 달래주는 밥처럼 어떤 내적 필요나 결핍을 충족시키는 목적.

  5)동화의 목적(finem assimilations) : 스콜라 철학에서 사용된 개념.다른 사람에게 스스로 선행을 배풂으로써 다른 사람이 자신과 비슷해지게 하려는 경우처럼 누군가가 어떤 선한 성질을 결여한 다른 것들과 선한 성질을 공유하려는 목적.












  1. 10
    Apr 2020
    00:23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베르그손에 있어서의 차이의 개념·엘랑비탈(elan-vital, 생의 약동)

    (...) 지속, 즉 나눌 수 없는 것은 정확히 말해서 스스로를 나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스스로를 나누면서 본성을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본성을 바꾸는 것이 곧 잠재적인 것 또는 주체적인 것을 정의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점에 대해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574 file
    Read More
  2. 09
    Apr 2020
    17:51

    [철학] 『마르크스 평전』 : 포이어바흐·생시몽·시스몽디·푸리에·프루동·엥겔스·바우어·루게·예니·헤스를 만나다

    (...)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르크스 그륀(에른스트 폰 히이데의 가명)에 의해 '진정한 사회주의'라는 이상한 표현이 생겨났다.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은 당시 <사회의 겨울>이나 <트리어지> 같은 잡지들을 통해 주로 표현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752 file
    Read More
  3.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37 file
    Read More
  4.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24 file
    Read More
  5. 19
    Mar 2020
    03:37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신체 권력·지식권력(규율권력)

    (...) 1757년 3월 2일, 다미엥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유죄판결이 내려졌다. "손에 2파운드 무게의 뜨거운 밀랍으로 만든 횃불을 들고, 속옷 차림으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정문 앞에 사형수 호송차로 실려 와, 공개적으로 사죄를 할 것. (중략) 상기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38 file
    Read More
  6. 14
    Mar 2020
    02:1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백조

    백조 LE CYGNE 빅토르 위고에게 I. 앙드레마크1), 나는 그대를 생각하오! 그 작은 강물은 그대의 끝없이 장엄한 과부의 괴로움을 일찌기 비추던 가엾고 서글픈 거울, 그대의 눈물로 불어난 그 가짜의 시모이 강2)은, 내가 새로 생겨난 카루젤 광장3)을 지나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2895 file
    Read More
  7. 12
    Mar 2020
    22:3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A UNE MENDIANTE ROUSE 빨간 머리, 흰 살결의 계집애여 네 헤어진 옷 구멍으로 가난과 아름다움이 내비친다. 보잘 것 없는 시인 나에게는 주근깨투성이인 네 허약한 젊은 몸이 사랑스럽다. 넌 소설 속의 여왕이 빌로도 반장화를 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6393 file
    Read More
  8. 09
    Mar 2020
    07:00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여성성

    (...) 문명화된 삶 가운데는 이러한 타자와의 관계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우리는 이것이 원래 어떤 형식으로 주어졌는가 하는 것을 탐구해 보아야 한다. 타자성이 순수한 상태로 나타나는 그러한 상황이 존재하는가? 타자성이 타자에게 자신의 동일성의 다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967 file
    Read More
  9. 09
    Mar 2020
    05:05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비상호성·비대칭성

    (...) 시간에 대해 좀더 기술해 보자. 죽음의 미래, 그것의 낯설음은 주체에게 어떠한 주도권도 허용하지 않는다. 현재와 죽음, 자아와 신비의 타자성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심연이 가로 놓여 있다. 죽음은 존재에 종말을 가져온다는 사실, 죽음은 끝이고 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295 file
    Read More
  10. 08
    Mar 2020
    04: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철학 VS 타자의 철학

    (...) 일상적 삶 속에서, 세계 안에서, 주체가 지닌 물질적 구조는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아(le moi)와 자기(le soi) 사이에 사이(intrevalle)가 나타난다. 동일한 주체는 즉시 자신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허이데거 이후, 우리는 세계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9333 file
    Read More
  11. 06
    Mar 2020
    03:1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자연의 신비화, 사회주의(독일 사회철학)

    (...) 다음의 논문*에서는 독자에게 우선 하나의 순수문학적인 서시를 통해 '진정 사회주의자'**의 더욱 무거운 진리가 마련된다. 서시는 그리하여 행복을 지난 수천 년간 기울여온 '모든 노력의, 모든 운동의, 무겁고 지칠 줄 모르는 노고의 궁극 목적'으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64 file
    Read More
  12. 04
    Mar 2020
    23:2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공동체

    (...) 교류 형태에 대한 생산력의 관계는 개인들의 활동 또는 실행에 대한 교류 형태의 관계와 같다. 이 활동의 기초 형태는 당연히 물질적이며, 다른 모든 정신적·정치적·종교적인 것등으로부터 독립된 것이다. 물론 물질적인 생활의 상이한 형태들은 이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363 file
    Read More
  13.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26 file
    Read More
  14. 02
    Mar 2020
    02:06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소유에 대한 국가와 법의 관계

    (...) 고대 세계 및 중세에서 최초의 소유 형태는 부족 소유였는데, 로마인의 경우에는 주로 전쟁이, 게르만인의 경우에는 주로 목축이 그 조건이 되었다. 고대 민족들은 몇몇 부족들끼리 한 도시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부족 소유가 국가 소유로 나타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3 file
    Read More
  15.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54 file
    Read More
  16.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94 file
    Read More
  17. 25
    Feb 2020
    02:1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맑스 철학의 시작

    (...) 독일의 이데올로그들은 그들의 말대로, 독일은 최근 수년 동안에 일찍이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변혁을 겪었다. 슈트라우스로부터 시작된 헤겔 체계의 분해 과정은 일대 세계적인 소요로까지 발전했고, 과거의 강자들이 모두 이 와중에 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413 file
    Read More
  18. 23
    Feb 2020
    05:2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카를 마르크스 1. 이제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것을 포함하여)의 주된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단지 객체 또는 직관의 형식하에서만 파악되고, 감성적인 인간의 활동, 즉 실천으로서, 주체로서 파악되지 못한 점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49 file
    Read More
  19. 17
    Feb 2020
    07:26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독특한 유물론적 전통, 스피노자

    (...) 스피노자의 논의에서 나를 또한 매혹한 것은 그의 철학적 전략이었다. 자크 데리다는 철학상의 전략에 대해 많이 말했는데, 그는 전적으로 옳다. 왜냐하면 모든 철학은 적이 장악하여 진지를 구축한 이론적 지역을 포위하기 위해 그 전략적 목표와 전략...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13 file
    Read More
  20.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1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