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 : 세이세이

by 이우 posted Jul 18, 2018 Views 163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어머니의나라_900.jpg


  (...) 모쒀족의 이야기 중 가장 인상 깊은 것은 이들의 사랑이야기다. 이들은 걷는 결혼, 즉 '주혼'이라는 상상치 못했던 방식으로 사랑을 나눈다. 주혼은 모쒀인들의 삶의 방식 중 가장 자주 오르내리는 주제다. 인류학자와 사회학자들은 이 현상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작가들은 이 주제를 다룬 두툼한 책을 내고,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들은 이 주혼에 수없이 많은 에피소드를 할애했다. 동시에 어머니의 나라에서 아온 이 개념은 가장 많은 오해를 안고 있는 것이기도 한다. 많은 작가들은 주혼을 성관계 상대가 한 명으로 제한되어 있지 않은 자유로운 사랑이라고 말한다. 반면, 누군가는 이것을 개방된 형태의 결혼이라고 말한다. 또 다른 이는 이를 다부다처제라고 말하기도 하고, 일처다부제라고 말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일부다처제라고 말하기도 한다. 실제로 그 어떤 것도 주혼의 개념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중략) 모쒀식 주혼은 결혼이 아니다. 모쒀 사회에는 결혼이라는 개념도 없고, 따라서 가족 내에 아내나 부인이 존재하지 않는다. '걷는다'거나 '방문한다'는 말이 붙은 것은 남성이 밤이 되면 여성의 집을 찾기 때문이다. (중략)

  '세이세이'라는 단어는 '방문'을 의미하는 모쒀어다. 낭만적인 어감을 걷어내고 보면, 세이세이는 여남이 전적으로 함께하는 원초적인 행위 자체를 가리킨다. 가장 기본으로 파고 들어가면, 두 사람 간의 세이세이는 다른 곳의 연애와 그리 다르지 않다. 다만 이것은 모쒀식으로 성적인 결합을 나타내는 표현 방식이다.

   모쒀 민박집에 처음 머물렀을 때, 한 가족에게 초대를 받아 저녁을 먹고 난롯가에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가족 방에서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은 가장이었다. 할머니는 가각 40대와 30대 나이인 두 명의 장성한 딸을 두었다. 할머니는 내게 큰 딸이 낳은 두 명의 십대 손주와 둘째 딸이 낳은 한 살짜리 아이를 소개해주었다. 차를 홀짝이고 있는데 오토바이를 타고 온 한 중년남자가 집 안으로 들어와 차를 함께 마셨다. 그는 아이들 신경쓰지 않은 채 할머니와 즐겁게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그러자 둘째 딸이 일어나 남자와 함께 방을 나서면서 조카에게 말했다. "아기 돌봐줘. 알겠지?" 십대 조카가 고개를 끄덕였다. 딸이 남자와 방에서 나가고 나서 그들이 바깥에 있는 나무 계단을 터벅터벅 올라가 딸이 방으로 향하는 것이 들렸다. 저 남자가 둘째 딸의 아샤오이며 둘이 주혼 관계라는 것을 알았다. (중략) 나는 놀라 당황하긴 했지만, 세이세이 관계에 있는 이들을 직접 목격하게 되었다는 것이 기뻤다. 세이세이는 매우 사적인 일이어서 특히 관계가 시작된 무렵에는 가족들 간에도 비밀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흔치 않은 기회였다.

  여성이 새로 남성과 만난다면, 그것이 그저 하룻밤을 보내는 일이든 일종의 관계를 맺는 일이든 모든 것이 철저하게 비밀에 부쳐진다. 이들은 아샤오가 여성의 집을 방문할 때면 '나나 세이세이', 즉 은밀한 세이세이를 숨기기 위해 노력한다. 밀회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늘 여성의 집이지 남성의 집이 아니다. 물론 직접 본 적은 없지만 성인식을 치르고 나서 얻게 되는 자신의 꽃방에서 거사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형적 모쒀식 집에는 각각의 딸들에게 주어진 꽃방이 있다. 이 꽃방은 집의 이층, 가모장의 방과는 떨어진 쪽에 위치한다. 이 방안에서는 밀회를 포함하여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여성만의 사적인 공간이다.

  아샤오의 밀회가 가족들이나 외부인의 눈을 피해서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모쒀인들이 관광객을 상대로 펼치는 노래와 춤 공연에는 은밀한 세이세이가 노골적으로 묘사된 다음과 같은 장면이 항상들어간다. 연인이 입맞춤을 할 때 방에 불이 켜지면, 모자를 쓴 다른 남자가 살그머니 문 앞으로 걸어오는 장면이 보인다. 그의 손은 문을 두드리는 동작을 취한다. 그러더니 문고리에 다른 모자가 걸려 있는 것을 보고 놀라서 물러선다. 낙담해서 고개를 떨어뜨린 그는, 경쟁자가 자신을 이겼다는 것을 깨닫고 꽃방에서 멀어져간다. (중략) 두 번째 막도 똑같은 배경에서 시작하지만 이번에는 무대 뒤로 수탉이 우는 소리가 들려와 새벽 시간임을 알 수 있다. 창문이 다시 열리면 남자가 자신의 아샤오와 헤어지기 전 인사로 입맞춤을 하고, 문틀을 넘어 여명 속으로 사라지는 장면이 연출된다. (중략) 이 연극은 꾸밈없고 은밀한 주혼을 그대로 재현한 것에 가깝다. (중략)

  "주혼은 원나잇스탠드가 아니야." 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친구가 말했다. "나처럼 많은 사람들이 한 아샤오를 오래 만나, 나는 성인이 된 이래로 지금의 내 아샤오와 줄곧 만났어," 아샤오와는 정기적으로 만남을 가지다가 어느 순간 안정적인 관계가 될 수 있다. 이때에는 이들의 관계가 좀 더 공개적으로 변하고, 집 안으로 '걸어 들어오던' 남자가 더 이상 여자의 가족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숨기지 않는다. 내가 묵었던 민박집 둘재 딸과 남자처럼 말이다. 그렇게 되면 남성 아샤오는, 물론 밤중에도 찾기는 하지만 여성의 집을 자유로이 드나든다. 이런 방식의 관계를 모쒀인들은 '열려 있는', '눈에 띄는'이라는 뜻의 '게피에 세이세이'라고 한다. 한 번 공개한 관계는 더 이상 비밀에 부칠 필요가 없다. 중년 모쒀인들은 대체로 한 명의 아샤오에게 정착하여 상대와 게피에 세이세이를 오랫동안 유지한다.(중략)

  지난 20여년간, 구미와 가지는 자신과 두 아이들을 위한 집을 지어 함께 살았다. 이들의 결합은 영속적인 것처럼 보였다. 어느날 나는 용기를 내어 구미에게 이들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 보았다. :너, 기지랑 결혼한거야?" "아니." 구미가 말했다. '그럴 필요없어.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 나는 이들이 법률혼 관계가 아니라 여전히 주혼을 이어가고 있는 것임을 이해했다. 이들의 관계는 모쒀어로 '티지지마오더'라고 하는데, 한 쌍의 아샤오가 함게 살아가면서 사회적으로도 연인이라 인정받은 경우를 뜻했다.

  나는 주변 친구들을 보면서 이외에도 주혼의 다양한 형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 친구 지주오는 구미 가족의 여섯째 형제인데, 평생 동안 그를 아들 삼은 양어머니의 모계 가정에서 살았다. 그 양머어미의 집안에는 남자들만 둘이고 어린 여성이 없기 때문에, 이들은 지주오의 아샤오를 가족으로 들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판단했다. 집안에 젊은 여성이 없다면 대를 이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들 연인이 두 명의 귀여운 딸을 낳자, 이들은 아이의 가족 이름을 지주오의 양어머니에게서 따기로 했다. 그래서 아이의 가족 이름은 한사가 되었다. 그럼으로써 모계 혈통이 이어졌다. 모쒀인들은 이런 형태의 결합을 '지더티지'라고 부른다. 이외 다른 방식으로 연인 관계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중략)

  모쒀인들의 연애 관계에서 독특한 것은 결혼이라는 개념이 완전히 부재한다는 점이다. 간단히 말해 모쒀인들은 결혼을 하지 않는다. 연인 관계의 여자와 남자는 사회적으로나 법적으로나 아내와 남편으로서 결합되지 않는다. 이들이 만일 평생을 같이 산다고 하더라도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것처럼 결혼한 상태가 아닌 것이다. 아내도 남편도 없는 사회에 살기 때문이다. (중략)

  모쒀인들은 살면서 어떻게 연애를 해나갈 것인지 결정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누구나 아샤오를 은밀하게, 공개적으로, 가족의 일원으로 삼아서, 혹은 부부로 혼인증명서가 있거나 없는 형태로 만날  수 있다. 게다가 이 선택은 평생을 결정짓지 않는다. 선택은 시기와 횟수에 구애받지 않고 열려 있다. 연달아, 동시에, 삶의 어느 국면에서나 자신의 의지에 따라 이루어지며 무제한적으로 번복할 수 있다. 누가 세이세이를 어떻게 바꾸든 비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중략) "아, 우리가 자매인 이유는 우리 아빠가 옛날에 언니 엄마의 아샤오였기 때문이야." 오랜 기간 동안 세이세이를 유지한 남성이라고 해도 동시에 '나나 세이세이'를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나는, 서서히, 상대에게 하훗밤을 보낸 연인이 있다는 사실이 오래된 아샤오와의 관계를 깨뜨리지 않는다는 걸 이해하게 되었다.

  선택의 자유가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이런 상황에서, 모쒀인은 사랑과 섹스에 대해 건강한 태도를 가지고 있다. 사랑이란 자유롭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곳에서 사랑은 결혼을 가족의 기반으로 삼은 여러 사회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사회적, 종교적 제약으로부터도 자유롭다. 이미 상상할 수 있겠지만, 모쒀인들은 우리 모두에게 익숙한 다양한 금기사항을 가지고 있지 않다. (중략) 놀라운 것은 자유가 여남 모두에게 동등하게 적용된다는 것이다. (중략)

  나는 모쒀인이 자신의 아샤오를 지칭할 때 소유격으로 나타내는 것을 거의 보지 못했다. 어떤 아샤오도 성적으로 상대에게 속하지 않았고, 누구도 아샤오를 자신의 소유로 여기지 않았다. 결혼도 없고 각자를 아내와 남편으로 칭해 서로에게만 충실하라고 구속하지도 않는 사회구조상 이는 당연하게 여겨졌다. 아샤오가 가족 구성원에서 배제되는 모계 가족구조라는 맥락에서 보아도 납득이 되는 일이었다. (중략) 원래 아샤오의 뜻은 함께 잠을 자는 사람을 뜻했다. 남자가 아샤오가 꽃방을 나가면 남자는 더 이상 아샤오가 아니다. 만일 같은 사람이 다시 찾아온다면 그는 다시금 아샤오가 된다. (중략)

  연인 관계는 사회적인 것이 아니다. 모쒀인들이 연인 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은 연인을 서로의 완벽한 반쪽이라고 여기는 현대사회의 그것과는 정반대에 있다. 약지에 반지를 끼우는 것은 고사하고, 모쒀인들은 아샤오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라는 주어를 쓰는 일도 아주 드물다. (중략) 모쒀인은 대체로 아샤오와는 독립적으로 생계를 이어나간다. 두 연인은 한 쌍으로 살아가는 삶과는 거리가 먼 생활을 유지하므로, 당연히 24시간 내내 서로 붙어 있을 리 없다. 나는 자신의 아샤오가 어디서 뭘 하는지 전화를 걸어 확인하는 모쒀인을 만나 본 적이 없다. 아샤오가 상대에 대해 자신만을 사랑해달라고 요구할 권한이 없고, 그에게 자신 곁에서 시간을 보낼 것을 요구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

- 『어머니의 나라-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추 와이홍 · 흐름출판 · 2018 ·년  · 원제 : The Kingdom of Women(2017년) <9. 결혼 아닌 결혼> p.218~233


















  1. 10
    Apr 2020
    00:23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베르그손에 있어서의 차이의 개념·엘랑비탈(elan-vital, 생의 약동)

    (...) 지속, 즉 나눌 수 없는 것은 정확히 말해서 스스로를 나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스스로를 나누면서 본성을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본성을 바꾸는 것이 곧 잠재적인 것 또는 주체적인 것을 정의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점에 대해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595 file
    Read More
  2. 09
    Apr 2020
    17:51

    [철학] 『마르크스 평전』 : 포이어바흐·생시몽·시스몽디·푸리에·프루동·엥겔스·바우어·루게·예니·헤스를 만나다

    (...)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르크스 그륀(에른스트 폰 히이데의 가명)에 의해 '진정한 사회주의'라는 이상한 표현이 생겨났다.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은 당시 <사회의 겨울>이나 <트리어지> 같은 잡지들을 통해 주로 표현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765 file
    Read More
  3.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44 file
    Read More
  4.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41 file
    Read More
  5. 19
    Mar 2020
    03:37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신체 권력·지식권력(규율권력)

    (...) 1757년 3월 2일, 다미엥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유죄판결이 내려졌다. "손에 2파운드 무게의 뜨거운 밀랍으로 만든 횃불을 들고, 속옷 차림으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정문 앞에 사형수 호송차로 실려 와, 공개적으로 사죄를 할 것. (중략) 상기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56 file
    Read More
  6. 14
    Mar 2020
    02:1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백조

    백조 LE CYGNE 빅토르 위고에게 I. 앙드레마크1), 나는 그대를 생각하오! 그 작은 강물은 그대의 끝없이 장엄한 과부의 괴로움을 일찌기 비추던 가엾고 서글픈 거울, 그대의 눈물로 불어난 그 가짜의 시모이 강2)은, 내가 새로 생겨난 카루젤 광장3)을 지나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2908 file
    Read More
  7. 12
    Mar 2020
    22:3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A UNE MENDIANTE ROUSE 빨간 머리, 흰 살결의 계집애여 네 헤어진 옷 구멍으로 가난과 아름다움이 내비친다. 보잘 것 없는 시인 나에게는 주근깨투성이인 네 허약한 젊은 몸이 사랑스럽다. 넌 소설 속의 여왕이 빌로도 반장화를 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6397 file
    Read More
  8. 09
    Mar 2020
    07:00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여성성

    (...) 문명화된 삶 가운데는 이러한 타자와의 관계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우리는 이것이 원래 어떤 형식으로 주어졌는가 하는 것을 탐구해 보아야 한다. 타자성이 순수한 상태로 나타나는 그러한 상황이 존재하는가? 타자성이 타자에게 자신의 동일성의 다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978 file
    Read More
  9. 09
    Mar 2020
    05:05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비상호성·비대칭성

    (...) 시간에 대해 좀더 기술해 보자. 죽음의 미래, 그것의 낯설음은 주체에게 어떠한 주도권도 허용하지 않는다. 현재와 죽음, 자아와 신비의 타자성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심연이 가로 놓여 있다. 죽음은 존재에 종말을 가져온다는 사실, 죽음은 끝이고 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302 file
    Read More
  10. 08
    Mar 2020
    04: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철학 VS 타자의 철학

    (...) 일상적 삶 속에서, 세계 안에서, 주체가 지닌 물질적 구조는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아(le moi)와 자기(le soi) 사이에 사이(intrevalle)가 나타난다. 동일한 주체는 즉시 자신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허이데거 이후, 우리는 세계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9437 file
    Read More
  11. 06
    Mar 2020
    03:1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자연의 신비화, 사회주의(독일 사회철학)

    (...) 다음의 논문*에서는 독자에게 우선 하나의 순수문학적인 서시를 통해 '진정 사회주의자'**의 더욱 무거운 진리가 마련된다. 서시는 그리하여 행복을 지난 수천 년간 기울여온 '모든 노력의, 모든 운동의, 무겁고 지칠 줄 모르는 노고의 궁극 목적'으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71 file
    Read More
  12. 04
    Mar 2020
    23:2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공동체

    (...) 교류 형태에 대한 생산력의 관계는 개인들의 활동 또는 실행에 대한 교류 형태의 관계와 같다. 이 활동의 기초 형태는 당연히 물질적이며, 다른 모든 정신적·정치적·종교적인 것등으로부터 독립된 것이다. 물론 물질적인 생활의 상이한 형태들은 이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370 file
    Read More
  13.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30 file
    Read More
  14. 02
    Mar 2020
    02:06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소유에 대한 국가와 법의 관계

    (...) 고대 세계 및 중세에서 최초의 소유 형태는 부족 소유였는데, 로마인의 경우에는 주로 전쟁이, 게르만인의 경우에는 주로 목축이 그 조건이 되었다. 고대 민족들은 몇몇 부족들끼리 한 도시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부족 소유가 국가 소유로 나타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8 file
    Read More
  15.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94 file
    Read More
  16.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00 file
    Read More
  17. 25
    Feb 2020
    02:1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맑스 철학의 시작

    (...) 독일의 이데올로그들은 그들의 말대로, 독일은 최근 수년 동안에 일찍이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변혁을 겪었다. 슈트라우스로부터 시작된 헤겔 체계의 분해 과정은 일대 세계적인 소요로까지 발전했고, 과거의 강자들이 모두 이 와중에 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445 file
    Read More
  18. 23
    Feb 2020
    05:2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카를 마르크스 1. 이제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것을 포함하여)의 주된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단지 객체 또는 직관의 형식하에서만 파악되고, 감성적인 인간의 활동, 즉 실천으로서, 주체로서 파악되지 못한 점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69 file
    Read More
  19. 17
    Feb 2020
    07:26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독특한 유물론적 전통, 스피노자

    (...) 스피노자의 논의에서 나를 또한 매혹한 것은 그의 철학적 전략이었다. 자크 데리다는 철학상의 전략에 대해 많이 말했는데, 그는 전적으로 옳다. 왜냐하면 모든 철학은 적이 장악하여 진지를 구축한 이론적 지역을 포위하기 위해 그 전략적 목표와 전략...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33 file
    Read More
  20.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2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