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의 탄생, 사목권력

by 이우 posted Nov 21, 2017 Views 153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안전영토인구.JPG


    (...) 인간에 대한 통치는 두 형태로 나타납니다. 사목적 유형의 권력이라는 관념과 조직형태가 그 중 하나이고, 양심지도나 영혼지도라는 형태가 나머지 하나입니다.

  첫번째 형태로 사목권력의 관념과 조직을 살펴보죠. 왕 · 신 · 수장이 인간과 관련해 목자이고, 인간은 목자와 관련해 무리라는 것은 지중해의 동방 전역에서 매우 빈번하게 발견되는 주제입니다. 이집트, 아시리아, 메소포타미아, 그리고 당연히 히브리인들에게서도 이 주제가 발견되죠. 실제로 이집트, 그리고 아시리아나 바빌로니아의 군주제에서도 왕은 완전히 의례적인 방식을 통해 인간의 목자로 지정됩니다. 가령 파라오는 대관식에서 왕관을 받아 머리에 쓸 때 목자의 휘장을 받습니다. 파라오는 양손에 목자의 지팡이를 받고 인간의 목자로 선언됩니다. 바빌로니아의 군주들에게는 목동이라는 칭호, 인간의 목자라는 칭호가 왕의 칭호에 속했습니다. 또한 이 칭호는 신들 또는 신과 인간의 관계를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신은 인간의 목자입니다. 이집트의 어느 송가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말을 읽을 수 있습니다. "라여, 인간이 모두 잠든 때에 불침번을 서시고 자기 무리를 위해 선을 행하는 자여......"

  신은 인간의 목동입니다. 요컨대 이 목자의 은유, 사목에 대한 참조는 주권자와 신의 특정한 관계 유형을 지시할 수 있게 해줍니다. 신이 인간의 목자이고 왕 역시 인간의 목자라면, 어떤 의미에서 왕은 신이 인간을 맡기는 보조 목자인 셈입니다. 이 보조 목자는 하루의 끝, 즉 자신의 군림이 끝나면 자신에게 맡겨진 무리를 신에게 되돌려주어야 합니다. 이렇듯 사목은 신과 인간 사이의 근본적인 관계 유형으로서, 왕은 이 관계의 사목적 구조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시리아의 어떤 송가는 이렇게 말합니다. "신의 사목에 참여하는 빛나는 수반자여, 나라를 돌보고 나라를 먹이는 자여, 풍요를 가진 목자여.“ (…)

  특히 사목의 주제는 히브리인들에게서 분명하게 전개되고 강화됩니다. 히브리인들에게 특징적인 것은 바로 목자와 가축 무리의 관계가 본질적, 근본적, 그리고 거의 독점적으로 종교적 관계라는 점입니다. 목자와 가축 무리의 관계로 정의되는 것은 신과 그 백성의 관계입니다. 군주제를 설립한 다윗왕을 제외하고는 그 어떤 히브리 왕도 확실하게 목자로 불리지 않았습니다. 목자의 칭호는 신에게 한정된 것이었죠. 단지 몇몇 선지자들만이 신으로부터 인간 무리를 넘겨받았고, 훗날 이 인간 무리를 신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여겨졌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나쁜 왕들, 즉 가축 무리를 털어먹고 흩어지게 만들 뿐 그들을 먹이거나 제 땅으로 이끌 능력이 없는 자들로서 자신의 임무를 방기했다고 고발당한 왕들은 결코 개별적이 아니라 항상 총칭적으로 지목됐습니다. 그러므로 충만하고 긍정적인 형태의 사목적 관계는 본질적으로 신과 인간의 관계입니다. 이것은 신이 백성에게 행사하는 권력 안에 그 원칙, 기반, 완성이 존재하는 종교적 유형의 권력입니다. (중략)

  목자의 권력은 영토에 행사되는 권력이 아닙니다. 그것은 정의상 무리에 대해서 행사되는 권력, 더 정확하게 말하면 어떤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운동하고 있는 무리에게 행사되는 권력입니다. 본질적으로 목자의 권력은 움직이고 있는 무리에게 행사되는 권력입니다. 그리스의 신은 영토적인 신, 성벽 내부에 있는 신입니다. 도시국가든 신전이든 간에 어떤 특권적인 장소를  갖고 있죠. 그에 비해서 히브리신은 물론 걸어다니는 신, 이동하는 신, 방황하는 신입니다. 이 히브리의 신은 백성이 이동할 때 가장 존재가 강해지고 가시적이 됩니다. (중략) 출애굽기는 야훼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당신께서 손수 건지신 이 백성. ...... 힘 있는 손으로 그들을 당신의 성소로 인도해 주십니다." 요컨대 영토라는 단위에 행사되는 권력과 대조적으로 사목권력은 움직이는 무리에게 행사됩니다. (…)

  (…) 두번째는, 근본적으로 사목권력을 선행하는 권력입니다. 이것은 권력에 대한 모든 종교적, 도덕적, 정치적 성격 규정의 일부일지도 모릅니다. 근본적으로 악한 권력이 있을까요? 선행을 자신의 기능, 목적, 정당화로 삼지 않는 권력이 있을까요? 선행을 해야 한다는 것은 권력의 보편적인 특성입니다. 그러나 그리스적 사유에서는, 로마적 사유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는데, 선행해야 할 의무는 권력을 특정 짓는 여러 요소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권력은 선행, 전능, 부, 스스로를 장식하는 온갖 화려한 상징을 통해 특정 지어집니다. 권력은 적들로부터 승리를 거두고 그들을 무찔러 노예로 삼을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정의됩니다. 또한 권력은 정복의 가능성, 축적될 수 있는 영토와 부 등으로 이뤄진 총체를 통해 정의됩니다. 선행은 권력을 정의하는 일련의 요소 중의 하나일 뿐이죠.

  그러나 사목권력은 전적으로 선행에 의해 정의됩니다. 사목권력의 존재 이유는 선행을 위해 선행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사목권력의 핵심 목표는 무리의 구제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적으로 설정된 주권자의 목표, 즉 최고의 법이어야만 했던 조국의 주제와 그리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리에게 확보해줘야 할 구제는 사목권력이라는 주제계에서 대단히 명확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본질적으로 구제는 우선 식량입니다. 식량을 공급 · 확보하는 것이 적절한 방목입니다. 목자는 손수 먹이는 자입니다. 한편으로 목자는 먹이기 위해 가축을 좋은 목초지로 인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축들이 먹고 있는지, 잘 먹고 있는지 스스로 실제로 확인하는 자입니다. 사목권력은 배려의 권력입니다. 사목권력은 무리를 배려하고, 가축 하나하나를 배려하며, 양들이 고통 받지 않게 경계하고, 무리에서 떨어져 나간 양을 응당 찾아 나서며, 부상당한 양들을 치료합니다. (중략)

  (…) 그리스-로마의 사유와는 완전히 이질적인, 어쨌든 매우 이질적인 사목권력 관념이 서구 세계에 도입된 것은 그리스도교 교회를 매개로 해서였다는 것입니다. 사목권력에 관한 이 모든 주제를 정밀한 메커니즘과 명확한 제도로 응집시킨 것은 그리스도교 교회였습니다. 특수하면서도 자율적인 사목권력을 실제로 조직한 것도 그리스도교 교회였고, 로마제국 내부에 그 장치를 이식해 그 어떤 문명도 알지 못했을 법한 유형의 권력을 로마제국 한가운데서 조직한 것도 그리스도교 교회였습니다. (중략) 모든 문명 가운데에서 서구 그리스도교 문명은 가장 창조적이고, 가장 정복욕이 강하며, 가장 오만하고, 가장 잔인한 문명임에 틀림없을 것입니다.

  특히 서구 그리스도교 문명은 가장 큰 폭력을 반복적으로 행사했던 문명 중 하나였습니다. 그렇지만 이와 동시에 서구의 인간은 그리스인이라면 누구도 용납하지 않았을 것, 즉 자기자신을 양떼 속의 한 마리 양으로 여기는 법을 수천년 동안 배워왔습니다. 이것이 제가 강조하고 싶은 역설입니다. 서구의 인간은 자신을 위해 스스로를 희생해 줄 목자의 구원을 갈구하도록 수천 년 동안이나 배워왔습니다.

  서구의 가장 기묘하면서도 가장 특징적인 권력형태, 가장 크고 가장 지속적인 재산을 불러들일 것이 틀림없다고 생각된 이 권력형태는 초원에서 탄생한 것도, 도시에서 탄생한 것도 아닙니다. 자연 그대로의 인간 쪽에서 탄생한 것도, 최초의 제국에서 탄생한 것도 아닙니다. 서구의 지극히 특징적인 이 권력형태, 제 생각으로 여러 문명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독특한 이 권력 형태는 양떼치기, 일종의 양떼치기 문제로 간주된 정치에서 탄생했습니다. (...)

  -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7~78년 >(미셀 푸코 · 난장 · 2011년 · 원제 : Securite, territoire, population) p.180~191






  1. 10
    Apr 2020
    00:23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베르그손에 있어서의 차이의 개념·엘랑비탈(elan-vital, 생의 약동)

    (...) 지속, 즉 나눌 수 없는 것은 정확히 말해서 스스로를 나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스스로를 나누면서 본성을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본성을 바꾸는 것이 곧 잠재적인 것 또는 주체적인 것을 정의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점에 대해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573 file
    Read More
  2. 09
    Apr 2020
    17:51

    [철학] 『마르크스 평전』 : 포이어바흐·생시몽·시스몽디·푸리에·프루동·엥겔스·바우어·루게·예니·헤스를 만나다

    (...)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르크스 그륀(에른스트 폰 히이데의 가명)에 의해 '진정한 사회주의'라는 이상한 표현이 생겨났다.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은 당시 <사회의 겨울>이나 <트리어지> 같은 잡지들을 통해 주로 표현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749 file
    Read More
  3.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37 file
    Read More
  4.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21 file
    Read More
  5. 19
    Mar 2020
    03:37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신체 권력·지식권력(규율권력)

    (...) 1757년 3월 2일, 다미엥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유죄판결이 내려졌다. "손에 2파운드 무게의 뜨거운 밀랍으로 만든 횃불을 들고, 속옷 차림으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정문 앞에 사형수 호송차로 실려 와, 공개적으로 사죄를 할 것. (중략) 상기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34 file
    Read More
  6. 14
    Mar 2020
    02:1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백조

    백조 LE CYGNE 빅토르 위고에게 I. 앙드레마크1), 나는 그대를 생각하오! 그 작은 강물은 그대의 끝없이 장엄한 과부의 괴로움을 일찌기 비추던 가엾고 서글픈 거울, 그대의 눈물로 불어난 그 가짜의 시모이 강2)은, 내가 새로 생겨난 카루젤 광장3)을 지나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2895 file
    Read More
  7. 12
    Mar 2020
    22:3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A UNE MENDIANTE ROUSE 빨간 머리, 흰 살결의 계집애여 네 헤어진 옷 구멍으로 가난과 아름다움이 내비친다. 보잘 것 없는 시인 나에게는 주근깨투성이인 네 허약한 젊은 몸이 사랑스럽다. 넌 소설 속의 여왕이 빌로도 반장화를 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6393 file
    Read More
  8. 09
    Mar 2020
    07:00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여성성

    (...) 문명화된 삶 가운데는 이러한 타자와의 관계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우리는 이것이 원래 어떤 형식으로 주어졌는가 하는 것을 탐구해 보아야 한다. 타자성이 순수한 상태로 나타나는 그러한 상황이 존재하는가? 타자성이 타자에게 자신의 동일성의 다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963 file
    Read More
  9. 09
    Mar 2020
    05:05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비상호성·비대칭성

    (...) 시간에 대해 좀더 기술해 보자. 죽음의 미래, 그것의 낯설음은 주체에게 어떠한 주도권도 허용하지 않는다. 현재와 죽음, 자아와 신비의 타자성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심연이 가로 놓여 있다. 죽음은 존재에 종말을 가져온다는 사실, 죽음은 끝이고 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292 file
    Read More
  10. 08
    Mar 2020
    04: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철학 VS 타자의 철학

    (...) 일상적 삶 속에서, 세계 안에서, 주체가 지닌 물질적 구조는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아(le moi)와 자기(le soi) 사이에 사이(intrevalle)가 나타난다. 동일한 주체는 즉시 자신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허이데거 이후, 우리는 세계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9329 file
    Read More
  11. 06
    Mar 2020
    03:1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자연의 신비화, 사회주의(독일 사회철학)

    (...) 다음의 논문*에서는 독자에게 우선 하나의 순수문학적인 서시를 통해 '진정 사회주의자'**의 더욱 무거운 진리가 마련된다. 서시는 그리하여 행복을 지난 수천 년간 기울여온 '모든 노력의, 모든 운동의, 무겁고 지칠 줄 모르는 노고의 궁극 목적'으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59 file
    Read More
  12. 04
    Mar 2020
    23:2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공동체

    (...) 교류 형태에 대한 생산력의 관계는 개인들의 활동 또는 실행에 대한 교류 형태의 관계와 같다. 이 활동의 기초 형태는 당연히 물질적이며, 다른 모든 정신적·정치적·종교적인 것등으로부터 독립된 것이다. 물론 물질적인 생활의 상이한 형태들은 이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362 file
    Read More
  13.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26 file
    Read More
  14. 02
    Mar 2020
    02:06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소유에 대한 국가와 법의 관계

    (...) 고대 세계 및 중세에서 최초의 소유 형태는 부족 소유였는데, 로마인의 경우에는 주로 전쟁이, 게르만인의 경우에는 주로 목축이 그 조건이 되었다. 고대 민족들은 몇몇 부족들끼리 한 도시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부족 소유가 국가 소유로 나타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2 file
    Read More
  15.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51 file
    Read More
  16.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92 file
    Read More
  17. 25
    Feb 2020
    02:1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맑스 철학의 시작

    (...) 독일의 이데올로그들은 그들의 말대로, 독일은 최근 수년 동안에 일찍이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변혁을 겪었다. 슈트라우스로부터 시작된 헤겔 체계의 분해 과정은 일대 세계적인 소요로까지 발전했고, 과거의 강자들이 모두 이 와중에 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412 file
    Read More
  18. 23
    Feb 2020
    05:2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카를 마르크스 1. 이제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것을 포함하여)의 주된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단지 객체 또는 직관의 형식하에서만 파악되고, 감성적인 인간의 활동, 즉 실천으로서, 주체로서 파악되지 못한 점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47 file
    Read More
  19. 17
    Feb 2020
    07:26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독특한 유물론적 전통, 스피노자

    (...) 스피노자의 논의에서 나를 또한 매혹한 것은 그의 철학적 전략이었다. 자크 데리다는 철학상의 전략에 대해 많이 말했는데, 그는 전적으로 옳다. 왜냐하면 모든 철학은 적이 장악하여 진지를 구축한 이론적 지역을 포위하기 위해 그 전략적 목표와 전략...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09 file
    Read More
  20.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11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