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주인이 되는 노예만이 자유를 얻는다

by 이우 posted Sep 18, 2017 Views 177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기본소득.jpg


  (...) 조건 없는 기본소득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우리를 자유가 아니라 예속으로 끌고 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것은 과도한 사회적 · 정치적 개입이며, 공동체에 지나친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기껏해야 생활이 어려운 몇 명의 창조적인 사람들을 자유롭게 할 뿐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행한 상태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 도대체 기본소득이 우리에게 무엇을 강요한단 말인가?

  따지고 보면 조건 없는 기본소득이 우리에게 강요하는 것이 분명히 있기는 하다. 기본소득이 시행되면 싫든 좋든 우리 모두의 앞에 자유가 놓일 것이고, 우리 자신이 포기하지 않은 한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기본소득은 자신이 무엇을 하기를 원하는지, 자신의 삶을 어떻게 만들어가고 싶은지 하는 질문과 대답과 결정을 모두 우리 자신에게 넘겨준다. 기본소득은 우리를 예속이 아니라 근본적인 질문으로 이끈다. 이것을 강요라고 표현한다면, 자유에 대한 강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은 더 이상 내게 명령을 내ㅈ리지 않는다. 무엇을 할 것인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 답해야 한다. (...)

  작가인 아돌프 무슈크는 이런 상황이 지닌 역사적인 의미에 관해 이렇게 말한다. "서양 세게는 소크라테스의 문답법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소크라테스는 그가 던진 질문 때문에 그의 도시에서 사형을 선고 받았다. 질문이 지닌 이런 위험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런 질문이 있는데도 용기를 가지고 질문을 던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는 있다. (...) 조건이 없는 기본소득은 새로운 문답법의 시대를 열어갈 기반이 될 것이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새로운 대답을 찾아 나설 수 있는 상상력이라는 이름의 자금을 우리 손에 쥐어준다." (...)

  신뢰는 기본소득과 관련해서 사람들이 가장 꺼리는 문제이다. 정곡을 찌르는 핵심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신뢰란 우리가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될 전제이다. 말하자면 생존의 준비통화와 같은 것이다. (...) 우리는 다른 사람에 대한 믿음이 없다면 아마 비행기나 지하철은 물론이고 엘리베이터도 타기 어려울 것이다. 음식을 사서 먹을 때도 마찬가지다. 돈을 받고 음식이니 독이 들어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

  세계에 대한 이러한 신뢰는 개성화 과정을 거치면서 약화된다. 세계와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키고, 그 대신 자신에 대한 믿음을 강화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는 하나의 개체 · 주체  · 개인이 된다. 그러나 개성화 과정은 그것의 기초가 되었던 사회에 의해 오히려 제어되기도 한다. 다른 사람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들 없이도 개인도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조건 없는 기본 소득은 다른 사람들을 신뢰할 수 있을 때에야 비로소 실현될 수 있다. 아울러 그 자체가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를 쌓아갈 수 있는 기초로 작용하기도 한다. 생존의 위협에 직면해 잇는 사람은 신뢰를 받기 어렵다. 자신의 생존을 위해 내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생존의 위협에서 자유로운 사람만이 신뢰할 수 있고, 신뢰받을 수 있다. (...) 조건 없는 기본 소득은 다음의 두 가지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는 모든 개인을 생존의 위협에서 자유롭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를 통해 모든 개인을 신뢰할 수 있는 존재가 되게 하는 것이다. (...)

   "자유란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고 싶지 않은 것을 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프랑스혁명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장자크 루소가 한 말이다. 루소가 말한 자유를 기준으로 하면, 오늘날 우리의 노동시장은 자유롭지 못하다. 우리는 생존의 위협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므로 좋은 싫든 노동시장에 참여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사지 않을 수도 팔지 않을 수도 있는 시장이 자유로운 시장인 것처럼, 자유로운 노동시장도 마찬가지다. 하고 싶지 않은 일이라면 그 일을 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실질적인 노동계약의 자유를 보장해서 우리에게 자유로운 노동시장을 가져다 줄 것이다. (...)

  '소득이 보장되더라도 당신은 일을 할 것입니까?' 사실 이미 수십만 며이 넘는 사람들한테 던져졌던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소득이 보장되더라도 일을 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게다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을 할 것이며, 일과 무관하게 소득이 보장되면 일도 더 잘하게 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

  오늘날 우리는 서로의 시민권을 당연하다는 듯이 인정한다. 시민권에는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 종교·직업·거주지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권리, 원하는 곳을 여행할 수 있는 권리 등이 포함된다. (...) 이처럼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는 자유에 관한 권리도 지난 날에는 당연한 것이 아니었다. 그서은 투쟁과 계몽의 산물이었다. 고대 로마의 노예들에게는 그들을 빌려줄 수도, 팔 수도, 놓아줄 수도 있었던 주인의 손에 그들의 자유가 달려 있었다. 하지만 삶의 기본적 바탕이자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자신의 재산을 가질 수 없었던 노예에게는 주인이 베풀어주는 자유가 그다지 큰 의미를 지니지 못했다.

  노예는 땅을 소유할 수 없었고, 임금을 받는 것도 아니었다. 노예의 생존은 자신을 소유한 주인의 땅에서 주인이 시키는 대로 일할 때에만 보장되었다.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바탕조차 갖추고  있지 못한 노예에게는 자유를 주는 것은 날지 못하는 새를 새방 밖으로 내던져 놓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노예 신분을 벗어나더라도 생존을 위해서는 결국 새로운 주인을 찾거나 예전 주인에게 돌아가 다시 노예가 될 수밖에 없었다. 생존의 기반을 갖추고 있지 못한 노예에게 자유는 은혜가 아니라, 유예된 사형선고나 마찬가지였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와 유사한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지 못하는 사람은 자신이 해야하는 일을 원하게끔 만들어져야 했다. 산업자본주의의 초기에 세워졌던 대부분의 노동훈련원과 교육기관들은 근본적으로 이를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주어진 일을 빈틈없이 수행하는 성실한 사람을 만들기 위해 그곳에서 근면 · 정확성 · 준법성과 같은 덕목들을 가르쳤다. (...) 오늘날의 노동개혁안은 바로 이러한 노동자 교화의 전통에 깇를 두고 있다.

  조건 없는 기본소득이 시행되면 우리는 마침내 이러한 낡은 관습을 타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자신이 살고 싶은 삶의 모습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각 개인의 손에 놓이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일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을 색출하고 통제하기 위한 오늘날의 비대한 관료조직도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

  - 『기본소득, 자유와 정의가 만나다-스위스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다니엘 헤니 · 필립 코브체 · 오롯 · 2016년 · 원제 : Was fehlt, wenn alles da ist?) p.163~200











  1. 10
    Apr 2020
    00:23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베르그손에 있어서의 차이의 개념·엘랑비탈(elan-vital, 생의 약동)

    (...) 지속, 즉 나눌 수 없는 것은 정확히 말해서 스스로를 나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스스로를 나누면서 본성을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본성을 바꾸는 것이 곧 잠재적인 것 또는 주체적인 것을 정의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점에 대해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1595 file
    Read More
  2. 09
    Apr 2020
    17:51

    [철학] 『마르크스 평전』 : 포이어바흐·생시몽·시스몽디·푸리에·프루동·엥겔스·바우어·루게·예니·헤스를 만나다

    (...)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르크스 그륀(에른스트 폰 히이데의 가명)에 의해 '진정한 사회주의'라는 이상한 표현이 생겨났다. 젊은 헤겔학파들의 운동은 당시 <사회의 겨울>이나 <트리어지> 같은 잡지들을 통해 주로 표현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765 file
    Read More
  3. 31
    Mar 2020
    03:29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②

    (...) 신체형이 없는 징벌의 이러한 필요성은 우선 심정적 외침으로, 혹은 분노하는 인간 본성의 외침으로 나타났다. 즉, 아무리 흉악한 살인자의 경우에도 글르 처벌할 때에는 하나의 사실을 존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간성'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244 file
    Read More
  4. 21
    Mar 2020
    16:10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형벌과 사회구조 · 권력과 지식①

    (...) 루쉐와 키르히하이머 공저의 대작1)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을 포착할 수 있다. 우선 형벌제도가 무엇보다도 먼저 위법행위를 응징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또 그 역할에서 형벌제도가 사회 형태나 정치제도, 혹은 신앙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241 file
    Read More
  5. 19
    Mar 2020
    03:37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신체 권력·지식권력(규율권력)

    (...) 1757년 3월 2일, 다미엥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유죄판결이 내려졌다. "손에 2파운드 무게의 뜨거운 밀랍으로 만든 횃불을 들고, 속옷 차림으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정문 앞에 사형수 호송차로 실려 와, 공개적으로 사죄를 할 것. (중략) 상기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56 file
    Read More
  6. 14
    Mar 2020
    02:1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백조

    백조 LE CYGNE 빅토르 위고에게 I. 앙드레마크1), 나는 그대를 생각하오! 그 작은 강물은 그대의 끝없이 장엄한 과부의 괴로움을 일찌기 비추던 가엾고 서글픈 거울, 그대의 눈물로 불어난 그 가짜의 시모이 강2)은, 내가 새로 생겨난 카루젤 광장3)을 지나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2908 file
    Read More
  7. 12
    Mar 2020
    22:34

    [문학]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빨간 머리 거지 계집애에게 A UNE MENDIANTE ROUSE 빨간 머리, 흰 살결의 계집애여 네 헤어진 옷 구멍으로 가난과 아름다움이 내비친다. 보잘 것 없는 시인 나에게는 주근깨투성이인 네 허약한 젊은 몸이 사랑스럽다. 넌 소설 속의 여왕이 빌로도 반장화를 신...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6397 file
    Read More
  8. 09
    Mar 2020
    07:00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여성성

    (...) 문명화된 삶 가운데는 이러한 타자와의 관계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우리는 이것이 원래 어떤 형식으로 주어졌는가 하는 것을 탐구해 보아야 한다. 타자성이 순수한 상태로 나타나는 그러한 상황이 존재하는가? 타자성이 타자에게 자신의 동일성의 다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978 file
    Read More
  9. 09
    Mar 2020
    05:05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타자와의 관계, 비상호성·비대칭성

    (...) 시간에 대해 좀더 기술해 보자. 죽음의 미래, 그것의 낯설음은 주체에게 어떠한 주도권도 허용하지 않는다. 현재와 죽음, 자아와 신비의 타자성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심연이 가로 놓여 있다. 죽음은 존재에 종말을 가져온다는 사실, 죽음은 끝이고 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302 file
    Read More
  10. 08
    Mar 2020
    04: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철학 VS 타자의 철학

    (...) 일상적 삶 속에서, 세계 안에서, 주체가 지닌 물질적 구조는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아(le moi)와 자기(le soi) 사이에 사이(intrevalle)가 나타난다. 동일한 주체는 즉시 자신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허이데거 이후, 우리는 세계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9435 file
    Read More
  11. 06
    Mar 2020
    03:1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자연의 신비화, 사회주의(독일 사회철학)

    (...) 다음의 논문*에서는 독자에게 우선 하나의 순수문학적인 서시를 통해 '진정 사회주의자'**의 더욱 무거운 진리가 마련된다. 서시는 그리하여 행복을 지난 수천 년간 기울여온 '모든 노력의, 모든 운동의, 무겁고 지칠 줄 모르는 노고의 궁극 목적'으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971 file
    Read More
  12. 04
    Mar 2020
    23:2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공동체

    (...) 교류 형태에 대한 생산력의 관계는 개인들의 활동 또는 실행에 대한 교류 형태의 관계와 같다. 이 활동의 기초 형태는 당연히 물질적이며, 다른 모든 정신적·정치적·종교적인 것등으로부터 독립된 것이다. 물론 물질적인 생활의 상이한 형태들은 이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370 file
    Read More
  13. 04
    Mar 2020
    18:03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생산도구와 소유 형태

    (...) 개인들은 주어진 생산도구와 마찬가지로 생산도구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자연발생적 생산도구와 문명에 의해 창조된 생산도구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경작지(물 따위)는 자연발생적인 생산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토지 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30 file
    Read More
  14. 02
    Mar 2020
    02:06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소유에 대한 국가와 법의 관계

    (...) 고대 세계 및 중세에서 최초의 소유 형태는 부족 소유였는데, 로마인의 경우에는 주로 전쟁이, 게르만인의 경우에는 주로 목축이 그 조건이 되었다. 고대 민족들은 몇몇 부족들끼리 한 도시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부족 소유가 국가 소유로 나타났고,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8 file
    Read More
  15. 28
    Feb 2020
    21:21

    [사회] 『하멜표류기』 : 기독교와 제국주의 · 식민정책

    1653년. 타이완의 항구로 가라는 인도 총독 각하와 평의회 의원들의 지시를 받고 우리는 바타비아*를 떠났다. 코넬리스 케자르 총독 각하는 우리와 함께 승선했다. 총독 각하는 그곳에 주재 중인 니콜라스 베르버그 총독 대행의 후임으로 포르모사**외 그 속...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8194 file
    Read More
  16. 25
    Feb 2020
    19:59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각 개인들은 자신의 활동이 세계사적 활동으로 확대됨에 따라 점점 자신들에게 낯선 힘(그들이 이른바 세계정신 따위의 잔꾀 정도로 생각해 왔던 하나의 힘) 아래 굴복하게 된다는 것, 이것은 확실히 하나의 경험적 사실이나 다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00 file
    Read More
  17. 25
    Feb 2020
    02:10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맑스 철학의 시작

    (...) 독일의 이데올로그들은 그들의 말대로, 독일은 최근 수년 동안에 일찍이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변혁을 겪었다. 슈트라우스로부터 시작된 헤겔 체계의 분해 과정은 일대 세계적인 소요로까지 발전했고, 과거의 강자들이 모두 이 와중에 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445 file
    Read More
  18. 23
    Feb 2020
    05:25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카를 마르크스 1. 이제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것을 포함하여)의 주된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단지 객체 또는 직관의 형식하에서만 파악되고, 감성적인 인간의 활동, 즉 실천으로서, 주체로서 파악되지 못한 점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69 file
    Read More
  19. 17
    Feb 2020
    07:26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독특한 유물론적 전통, 스피노자

    (...) 스피노자의 논의에서 나를 또한 매혹한 것은 그의 철학적 전략이었다. 자크 데리다는 철학상의 전략에 대해 많이 말했는데, 그는 전적으로 옳다. 왜냐하면 모든 철학은 적이 장악하여 진지를 구축한 이론적 지역을 포위하기 위해 그 전략적 목표와 전략...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33 file
    Read More
  20. 17
    Feb 2020
    04:48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이데올로기(idelogie)

    (...) 정치의 중심과 정치의 전략을 파악하고 식별하고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는 어디에나 있다. 공장 안에도 있고, 가족 안에도, 일 안에도 있으며, 멍청이 타조와 같은 우리의 자유주의자들의 투덜거림에도 불구하고 그처럼 쇠퇴하고 국가 안에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82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