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끄러운’ 공간으로 길 떠나기

by 이우 posted Oct 07, 2011 Views 83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1_1247552903.jpg

 
▲ 고미숙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한비야 에세이집, <<그건 사랑이었네>>( Canon EOS 5D / Tamron 17-35mm / Photo by 이우 )


 

 

      … <홈 패인 공간>은 자동차길이나 수로처럼 홈이 파여져 있는 공간이다. 이런 공간에선 오직 주어진 방향으로만 가야 한다. 옆으로 '샐' 수가 없다는 뜻이다. 사회적인 차원에서는 학교 교육이나 공무원 체제가 거기에 해당된다. 구성원들로 하여금 단일한 방식으로만 행동하게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맹목적으로 앞을 향해 질주하거나 아니면 낙오하거나 두 가지 선택지만 있는 것인 <홈 패인 공간>의 속성이다. 그에 반해, <매끄러운 공간>은 초원이나 사막처럼 홈이 없이 평평하게 펼쳐져 있어서 사방 어디로든 나아갈 수 있다. 아이스링크장이나 알래스카의 설원을 연상하면 된다 …

 

- 고미숙,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중에서

 

 

 

     육지와 바다를 환경학적으로 바라본다면, 육지는 바다에 비해 매우 척박하고 황량하다. 육지에 사는 생물은 더위와 추위, 비와 바람, 뜨거운 햇빛에 견뎌야 하는 것은 물론 생명에는 필수적인 물을 얻기 위해 생명마저 걸어야 하는 척박한 곳이다. 반면에 바다의 생물들은 육지에 비해 온도 차가 없고 비와 바람, 뜨거운 햇빛에도 덜 민감하고 육지보다 먹이 얻기가 용이하다. 환경이 좋기에 바다에 사는 생물들은 새끼를 배 속에 안기보다 알을 낳아 바다에 풀어 놓는다. 그러나 육지의 동물들이 이처럼 했다가는 종족 보존이 불가능하다. 천적이 너무 많고 가뭄과 기근에 시달려야 하고, 먹이를 얻기 위해 딱딱한 땅 위를 내달려야 하는 육지동물에게 알 낳기는 그야말로 위험천만이다. 그래서 선택한 전략은 새끼들을 배속에서 낳고, 그것도 모자라 활동할 수 있을 때까지 배 안에서 키워내는 것이다. 포유동물의 탄생이다. 어느 미국의 생물학자는 ‘고래는 바다의 풍요로움을 찾아 육지를 떠났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하여간, 그리하여, 그래서 땅 위에 발을 딛고 사는 사람은 고단하다.

 

     인문학적인 시각으로 드러다 본다면, 육지가 <홈 패인 공간>이고 바다는 <매끄러운 공간>이다. <홈 패인 공간>과 <매끄러운 공간>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에 대한 가장 통속적인 오해들 중의 하나>>에 나오는 개념이다. 삶에는 기하학적인 공간, 물리적인 공간, 도시 공간, 논리적 공간 등 많은 공간이 존재하는데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하는 <홈 패인 공간>과 <매끄러운 공간>은 공간 종류가 아니라 공간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다. 자동차길이나 수로처럼 홈이 파여져 있는 <홈 패인 공간> 속에서 갈 수 있는 곳은 한계가 있다. 앞으로 나가거나 혹은 뒤로 물러나는 것이다. 그러나 <매끄러운 공간>에서는 마음만 먹는다면 전후좌우 어디든 나아갈 수 있다.

 

     우리는 어떨까. 수직적인 시간의 차원에서 본다면 병원에서 나고 학교 가고 취업하고 자식 낳고 집 장만하고 그러다가 늙고…. 수평적으로 본다면 도로의 방향 지시에 따라 움직이고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르고…. 수직?수평으로 바라봐도 확연히 <매끄러운 공간>이 아니라 <홈 패인 공간>이다. 뜨거운 여름날의 휴가도 매끄럽게 흐르는 것이 아니라 홈이 패여 있다. 어디 가서 무얼 먹고 어느 곳에서 잔다는 등 깊게 홈을 파고 그 안으로 다녔다. 여행이 아니라 관광을 하며 편안했다. 그래서, 행복했을까. 행복하든 하지 않든 누구인들 홈 패여 있고 싶겠는가. 어디든 나아가고 싶었던 젊은 날이 있었으나 척박한 환경들이 홈을 패 놓았다.

 

 

02_1369238274.jpg


▲ 고미숙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한비야 에세이집, <<그건 사랑이었네>>.  고미숙은 인문학적 사유를 따라 ‘열하’까지 갔다 왔고

한비야는 지구를 세 바퀴 반이나 돌아 ‘바람의 딸’이 되어 돌아왔다. (Canon EOS 5D / Tamron 17-35mm / Photo by 이우 )

 

 

03_1119399378.jpg

 ▲  영화 <<김씨 표류기>>. 한강 밤섬으로 들어간 김 씨는 영 나올 생각을 하지 않는다.

 

 

04_1250957319.jpg

 
 ▲ 전남 신안군 증도의 <<신안갯벌 소금축제>>. 지역마다 특색 있는 체험학습행사를 마련해

‘홈 패인 공간’의 사람들을 ‘매끄러운 공간’으로 불러들인다. (Canon EOS D60 / Tamron 17-35mm / Photo by 이우 )

 

 

 

    그래서일까. 이제 사람들이 <매끄러운 공간>으로 발을 내딛고 있다. 고미숙은 인문학적 사유를 따라 ‘열하(熱河, 중국의 리허)’까지 갔다 왔고 한비야는 늦은 나이에 지구를 세 바퀴 반이나 돌아 ‘바람의 딸’이 되어 돌아왔다(한비야 에세이집, <<그건 사랑이었네>>). 자의든 타의든 한강 밤섬으로 들어간 김 씨는 영 나올 생각을 하지 않는다(이해준 감독의 영화, <<김씨 표류기)>>). 어찌 영화나 책뿐이겠는가. 책상에 앉아 있던 아이들이 <체험학습>이라며 길을 나서고 지역마다 특색 있는 체험행사를 마련하면서 마침내 사람들은 ‘아이 쇼핑’이나 ‘관광’이 아니라 유목민이 되어 <매끄러운 공간>으로 여행을 떠나기 시작했다. 이제, 체험이 없는 여행은 그야말로 ‘앙코 없는 찐빵’이다.

 

     그러나 오랜 세월 <홈 패인 공간>에 살다 보니 아직은 많이 서툴다. 뜨거운 물이 나오지 않으면 잠을 잘 수 없고 쪼그려 앉아서는 일을 보지 못한다. 길을 벗어나면 두렵고 무작정 기다린다는 일이 무섭다.

 

     뜨거웠던 올 여름, 나는 전남 신안군 증도라는 작은 섬 위에 있었다. 서쪽으로 향하는 길을 따라 달리고 섬과 섬 사이 바다 다리를 건너며 나를 그 먼 곳으로 부른 것은 이 바다에 펼쳐진 소금밭(염전, 鹽田)이었다. 바닷물은 25일 동안 햇빛 아래 말라 소금꽃을 피우고, 꽃잎을 떨구며 응고되면서 소금으로 태어난다. 나는 그 먼 바다로 와서 폭염 아래 피는 소금꽃들을 바라보며 행복해 했다. 동행자는 더운 여름날 그늘 하나 없는 이곳에 와서 뭘 하느냐며 허탈해 했다. 내가 폭염 아래 소금이 꽃을 피우는 것을 지켜보는 동안 그녀는 소금판매소에 가서 소금을 사고 있었다. 더운 물도 안 나오는 척박한 환경. 마침내 할 일이 없어진 그녀의 채근에 나는 그 원시의 바다를 두고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나는 ‘여행’을 하며 소금밭의 이미지를 담고 돌아 왔으며, <홈 패인 공간>에 익숙한 그녀는 ‘관광’을 하며 소금 포대기를 안고 돌아왔다.

 

      아직은 닫힌 공간에 익숙하고, 아직은 길 떠나기에 서툴지만 마침내 이 시대의 사람들은 <매끄러운 공간>으로 길을 떠나고 있다. 땅 위의 물류가 바다와 하늘로 흐르듯, 사람들이 닫힌 공간에서 열린 공간으로 나가듯, 홈 패인 우리의 마음도 매끄러워지면 좋겠다.

 

 

 

 

................
* 이 글은 한국해운조합 사보 <해운스케치>에 게재된 원고입니다.


  1. 18
    Oct 2011
    17:47

    집단적 광기에서 나는 자유로울 수 있는가

    ▲ Canon EOS D60 / Tokina 80-200mm / 남이섬 / Photo by 이우 ... 1945년 이전의 역사에서 흔히 발견되는 그 모든 친일 행적에, 훼절이나 변절의 이름을 붙여 ‘일신의 영달을 위해 민족을 팔았다’고 판단 내리기는 쉬운 일이다. 실제 1930년대쯤 말이 되면 ...
    By이우 Views8156 file
    Read More
  2. 18
    Oct 2011
    17:45

    18세기 '벽(癖)’ 예찬론

    …… 18세기 조선에서는 갑자기 ‘벽(癖)’ 예찬론이 쏟아져 나온다. 일종의 마니아 예찬론이다. 무언가에 미친다는 뜻의 ‘벽’이란 말은 이 시기 지식인의 한 경향을 보여준다. 박제가는 ‘벽이 없는 인간은 쓸모없는 인간’이라고 공공연히 말했다. 지금은 낭비벽,...
    By이우 Views7868 file
    Read More
  3. 13
    Oct 2011
    18:54

    소통 Vs 소외

    ▲ Canon EOS 5D / Tokina 80-200mm / 남이섬 / photo by 이우 ... 소통은 소외를 전제로 한다 ...
    By이우 Views8885 file
    Read More
  4. 13
    Oct 2011
    18:38

    넥타이는 군복이었다

    ▲ photography by 이우 ... 특별하게 해주는 우아함의 상징, 차이를 나타내는 액세서리, 넥타이는 옛날 중국과 로마에서 목을 보호하기 위해 둘렀던 손수건에서의 발전이다. 그리고 그 역사는 넥타이가 데코레이션의 목적으로 보여지기 시각할 때부터 시작된...
    Category역사 By이우 Views15423 file
    Read More
  5. 13
    Oct 2011
    18:15

    존재(being) Vs 실존( existence)

    ▲ Canon EOS D60 / Tamron 17-35mm / photo by 이우 … ‘물병’은 ‘존재(存在, being)’한다. 이 물병은 이 모양으로 존재하기 이전에 어떤 제작자에 의하여 디자인되었을 것이다. 물을 담을 의도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물병은 특정 용도를 위해 제작되...
    By이우 Views8946 file
    Read More
  6. 11
    Oct 2011
    10:33

    소유양식 Vs 존재양식

    ▲ Canon EOS 5D / Tokina 80-200mm / 서울N타워 / photo by 이우 … ‘소유’와 ‘존재’의 선택은 상식에 호소되지 않는다. ‘소유한다’는 것은 언뜻 보아 우리 생활의 정상적 기능으로 보인다. 즉, 살기 위해서 우리는 물건을 소유(所有)해야만 하는 것으로 여겨...
    By이우 Views9401 file
    Read More
  7. 11
    Oct 2011
    10:31

    애덤 스미스 Vs 칼 폴라니

    ▲ Canon EOS D60 / Canon EF 50mm / Computer Aid / photo by 이우 … 우리가 저녁 식사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정육업자, 양조업자, 제빵업자들의 자비심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개인 이익 추구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생산물의 가치가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
    By이우 Views9298 file
    Read More
  8. 11
    Oct 2011
    10:28

    로크 Vs 루소

    ▲ Canon EOS D60 / Canon EF 50mm / 경북 상주/ photo by 이우 "비록 대지와 모든 피조물은 만인의 공유물이지만, 모든 사람은 자신에 대해서는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그 사람 자신을 제외한 어느 누구도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인간 신...
    By이우 Views9003 file
    Read More
  9. 11
    Oct 2011
    10:25

    리스본행 야간 열차 Vs 남한산성

    ▲ Canon EOS 5D / Tamron 17-35mm / 남한산성 / photo by 이우 ... 아마데우가 막 잠이 들었을 때, 아드리나아의 귀에 한낮의 고요함을 찢는 날카로운 고함 소리가 들렸다. 그녀는 창문 쪽으로 달려갔다. 옆집 대문 앞의 계단에 한 남자가 쓰러져 있었다. 그...
    By이우 Views9351 file
    Read More
  10. 11
    Oct 2011
    10:18

    전체주의_ 아드르노 Vs 아렌트 Vs 시몬 베유

    ▲ Canon EOS D60 / Canon EF 50mm / photo by 이우 … 국가사회주의, 즉 나찌즘은 히틀러라는 고유명사로 기억되고 있다. 서양의 대의 민주주의 이념의 핵심적인 가정 가운데 하나는, 각 개인들의 의지가 선거를 통해서 보편적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투표에 의...
    By이우 Views9599 file
    Read More
  11. 07
    Oct 2011
    14:23

    ‘매끄러운’ 공간으로 길 떠나기

    ▲ 고미숙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한비야 에세이집, <<그건 사랑이었네>>( Canon EOS 5D / Tamron 17-35mm / Photo by 이우 ) … <홈 패인 공간>은 자동차길이나 수로처럼 홈이 파여져 있는 공간이다. 이런 공간에선 오직 주어진 방향...
    By이우 Views8373 file
    Read More
  12. 02
    Oct 2011
    04:30
    No Image

    전승공예가 길을 묻다_ 사용·교환·기호, 그리고 상징의 경계를 걷다(2)

    강원도권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조사를 마친 일행이 두 번째 탐방으로 가는 곳은 경북 영덕과 경남 진주 · 통영에 있는 무형문화재 전수관이다. 서울을 떠난 지 다섯 시간. 영덕으로 가는 34번 국도에서 기인을 만났다. 잠시 들른 청송 야송미술관에서 지역...
    By이우 Views20992
    Read More
  13. 02
    Oct 2011
    04:23
    No Image

    전승공예가 길을 묻다_ 사용·교환·기호, 그리고 상징의 경계를 걷다(1)

    여기 흙과 물, 바람과 나무의 미메시스(mimesis)를 섞어 전혀 경제성이 없는 전통 기법으로 만든 나전칠기가 있다. 이것을 만든 사람은 우리나라가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기능보유자이고, 그의 기능을 보전하고 전수하기 위해 국가는 전수교육관을 마련했...
    By이우 Views19681
    Read More
  14. 02
    Oct 2011
    04:09
    No Image

    전통문화탐방_ 흙과 나무, 그리고 바람의 은유

    All art is but imitation of nature - Lucius Annaeus Seneca - 예술을 뜻하는 ‘아트(Art)’라는 말은 라틴어 ‘아르스(Ars)’와 그리스어 ‘테크네(Teche)’에서 유래했다. ‘아르스’는 예술이나 학술을 뜻했고, ‘테크네’는 기술, 즉 물건이나 집, 선박 따위를 만...
    By이우 Views8231
    Read More
  15. 25
    Sep 2011
    00:34

    호 Vs 닉네임

    ‘주가슈빌리’가 누굴까? 구두수선공의 아들로 태어나 소련의 정상 자리에 오른 ‘스탈린(Stalin)’의 본명이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스탈린’은 사실 그의 이름이 아니라 <강철의 사나이>라는 뜻으로, 러시아혁명 운동 중에 붙여진 그의 닉네임(Nickname)...
    By이우 Views1379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