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8세기 '벽(癖)’ 예찬론

by 이우 posted Oct 18, 2011 Views 78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409961343.jpg …… 18세기 조선에서는 갑자기 ‘벽(癖)’ 예찬론이 쏟아져 나온다. 일종의 마니아 예찬론이다. 무언가에 미친다는 뜻의 ‘벽’이란 말은 이 시기 지식인의 한 경향을 보여준다. 박제가는 ‘벽이 없는 인간은 쓸모없는 인간’이라고 공공연히 말했다. 지금은 낭비벽, 도벽 등 좋지 않은 어감으로 쓰는 이 말이 이때는 긍정적 의미로 쓰였다.

 

  또 ‘치(癡)’, 즉 바보, 멍청이를 자처하고 나서는 경향도 생겨났다. 관습적 기준으로 볼 때 미쳤다는 의미를 지닌 ‘벽’이 사회적 통념적으로는 ‘치’, 즉 바보 멍청이로 인식되었다. 이 시기 설치(雪癡), 치재(癡齋), 매치(梅癡), 간서치(看書癡), 석치(石癡) 등 치 자가 들어간 이름이나 호가 부쩍 많아지는 건 그 반영이다.

 

  이들은 미쳤다거나 바보 같다는 말을 오히려 명예롭게 여겼다. 미치지도 못 하고 그럭저럭 욕 안 먹고 사는 건 죽느니만 못하다고 생각했다. 이 점에서 근대화의 에너지가 뽑아져 나온다. 지식의 패턴이 달라지고 정보의 인식이 바뀌었다. 삶의 목표 또한 궤도 수정이 불가피했다. (중략)

 

  이 시기 문인들의 호나 문집 이름에는 시대와의 불화로 인해 증폭되는 자의식을 암시한 것이 많다. 최근 발견된 이서구의 젊은 시절 문집 제목은 <<자문시하인언(自問是何人言)>>이다. 풀이하면 ‘이것이 누구의 말인지 자문한다’는 뜻이다. 심능숙은 자기의 문집 표제를 <<후오지가(後吾知可)>라 했다. ‘훗날의 내가 알아주면 그뿐’이란 말이다. 남이 알아주고 알아주지 않고에는 아예 신경 쓰지 않겠다고 했다. 박지원이 서문을 써준 역관 이홍재의 문집명은 <<자소집(自笑集)>>이다. 남에게 보여주고자 쓴 것이 아니라 그저 혼자 보고 웃자고 쓴 글이라 했다. 자못 포스트모던한 명명들이다.

 

  용에게 여의주가 소중하듯이 말똥구리에게는 말똥이 소중하다. 사람들은 여의주만 귀하게 보고 말똥은 우습게 안다. 하지만 나는 내 말똥을 더 귀하게 여기겠다. 유금은 이런 취지에서 자신의 문집 제목을 <<낭환집>>이라 했다. 말 그대로 ‘말똥구리 문집’이다.

 

  신의측은 ‘나에게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담아 자를 ‘환아(還我)’라고 지었다. 이용휴는 그를 위해 <<환아잠(還我箴)>>을 지었다. 거짓 나를 쫓느라 잃어버린 참 나를 되찾아, 다시는 ‘나’를 떠나지 않는 주체적 삶을 살라고 권면(勸勉)했다. 그의 자는 엉뚱하게도 ‘하사(何事)’였다. 말 그대로 풀면 ‘뭔 일’쯤 된다. 이덕무는 흔해 빠진 명숙(明叔이)이란 자를 무관(懋官)으로 바꾸었다. 남과 나를 구분하기 위한 것, 나는 나만의 이름을 가져 내 목소리를 내겠다고 다짐했다. (중략)

 

  스스로 아는 것이 없을 줄을 안다 해서 별호를 ‘자지자불지선생(自知自不知先生)’이라 짓는가 하면, 깔깔대며 웃는 사람이란 뜻의 ‘가가생(呵呵生)’이나, 멍청이란 의미의 ‘우부(愚夫)’, 들판에서 굶주리는 사람이라 하여 ‘야뇌(野?)’니 하는 이상한 이름을 즐겨 지었다. 신분이 천했던 시인 이단전의 호가 ‘필재(疋齋)였다. 단전(亶佃)은 ’진짜 종놈‘이란 뜻이다. 나는 진짜 종놈, 하인에 불과하다고 그는 큰소리로 외쳤다. 이름으로 세상을 조롱한 것이다. (중략)

 

  어려서부터 북벌을 국시로 삼고 ‘무찌르자 오랑캐’를 외치며 자란 지식인들은 중국에 사신으로 가서 사통팔달로 쭉쭉 뻗은 길과 으리으리한 벽돌집 그리고 쉴 새 없이 오가는 우마차를 보고는 그만 기가 질려 버렸다. 북벌은 어느 순간 문득 북학(北學)으로 대체되었다. (중략) 연암이 중국에 가서 본 장관을 꼽으면서, 진짜 장관은 똥 덩어리와 벽돌에 있더라고 말할 때 변화는 이미 시작 되었다. 우물 안에만 있다 넓은 세상에 나가 상대를 보고 나니 나의 객관적 실체가 비로소 눈에 들어왔다. 그래서 정신을 차리자고 지은 소설이 <허생전>이다. 경험의 확장이란 이런 것이다. 한번 떠진 눈은 다시 감을 수 없다. 각성된 의식은 잠재워지지 않는 법이다.

  한꺼번에 쏟아져 들어온 변화 앞에 18세기 조선 사회는 휘청했다. 한쪽에서는 이용후생(利用厚生)과 경세치용(經世致用)을 외칠 때, 다른 한쪽에서는 중국제 물건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호화사치 풍조도 만연했다. 박제가는 <<북학의(北學議)>>를 지어 중국을 배워야 하는 까닭을 설파했지만, 중국제에 환장 들렸다 하여 당벽(唐壁), 당괴(唐魁)의 비난도 동시에 들어야 했다.

 

  18세기에는 한마디로 설명할 수 없는 변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다. 18세기는 세계사적으로 볼 때도 확실히 특별했다. 지식의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세계와 인간에 대한 해석의 틀도 바뀌었다. (중략) 18세기 들어 서구 중세의 형이상학적 관념이성은 합리주의적 계몽철학에 자리를 내준다. 이들은 삶과 세계의 질서를 과학적 질서로 재편하고자 했다. 종교의 속박, 이념의 굴레를 박차고 나와 세속적 행복을 추구하고, 구원의 미명 아래 자행된 온갖 우상과 폭력을 해체하기 시작했다. 기독교의 자리에 주자주의(朱子主義)를 두면 조선의 상황도 별반 다를 바 없었다.

 

  서구 계몽주의가 합리적 이성과 함께 정열적(passion) 인간을 지향할 때, 18세기 조선은 주자학의 세례를 벗어던지고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합리성과 동시에 벽(癖)과 치(癡)의 미친 열정을 옹호했다. 디드로가 <<철학적 사고>>에서 ‘사람들은 왜 정열에 대해 우호적으로 말하면 이성을 모욕하는 일로 생각하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인간의 영혼을 위대하게 고양시킬 수 있는 건 위대한 정열뿐이다’라고 투덜댈 때, 박제가는 ‘세상에 미치지 않은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란 아무 것도 없다’고 목청을 높였다. (중략)

 

  서양에서 위선과 강요된 경건함의 세월이 지나고 쾌락의 옹호와 관능의 광기가 휩쓸 때, 조선에서도 웰빙의 미명 아래 온갖 골동품 수집을 비롯하여 호화사치 풍조와 풍속의 타락이 자행되었다. 어디서나 하층 백성들의 삶은 여전히 참혹한 것마저 꼭 같았다. 도덕론자들이 볼테르, 디드로, 루소 등을 감옥에 가두고 억압한 것처럼 박지원, 김려, 이옥 등은 불온한 문체로 불온한 사상을 전파한다 하여 반성문 제출을 요구받고 과거 합격이 취소되었으며, 반체제 인물로 낙인 찍혀 음습한 그늘에 묻혀 있어야 했다. ……

 


     - 정민의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발견>>(휴머니스트, 2007년) 서설 중에서

 

 


 


  1. 17
    Jun 2013
    22:34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38 : 속도와 운동

    속도와 운동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운동은 아무리 빨라도 그것만으로는 속도가 될 수 없으며, 속도는 아무리 늦어도, 설령 움직이지 않더라도 여전히 속도인 것이다. 운동은 외연적이며 속도는 내포적인 것이다. 운동은 ‘하나’로 간주되는 어떤 물체가 어느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522
    Read More
  2. 17
    Jun 2013
    22:33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37 : 유목민

    유목민은 영토를 갖고 있으며 관습적인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이동하는 습성을 갖고 있으므로 물을 얻을 수 있는 지점, 머물 수 있는 지점, 모여야 할 지점 등의 지점을 모르지 않는다. 그러나 (...) 이들 지점이 궤적을 구성하기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462
    Read More
  3. 17
    Jun 2013
    22:32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36 : 유목적 사유

    사유의 고전적인 이미지, 그리고 이 이미지가 유도하는 정신적 공간의 홈 파기 방식은 보편성을 주장한다. 실제로 그것은 두 개의 보편 개념을 이용해 홈을 파는데, 존재의 궁극적인 근거이자 모든 것을 포괄하는 지평으로서의 <전체>와 존재를 우리를 위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768
    Read More
  4. 17
    Jun 2013
    22:31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35 : 국가

    국가의 기본적인 임무 중의 하나는 지배가 미치고 있는 공간에 홈을 파는 것, 즉 매끈한 공간을 홈이 패인 공간을 위한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데 있다. 단순히 유목민을 정복할 뿐만 아니라 이주를 통제하고 좀더 일반적으로는 외부 전체, 세계 공간을 가로지...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858
    Read More
  5. 17
    Jun 2013
    22:29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34 : 종교

    종교의 성스러운 장소는 근본적으로 하나의 중심으로서 어두침침한 노모스를 거절한다. 본질적으로 종교의 절대성이 포괄하는 지평선으로서의 특수한 장소에 나타나는 이유 또한 이 포괄적인 것에 견고하고 안정적인 중심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다. 일신교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402
    Read More
  6. 17
    Jun 2013
    22:27
    No Image

    [교육] 2013년 프랑스 고졸자격 인증 시험 문제

    1장 인간(Human) 질문1>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질문2> 꿈은 필요한가? 질문3> 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까? 질문4> 지금의 나는 내 과거의 총합인가? 질문5> 관용의 정신에도 비관용이 내포되어 있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238
    Read More
  7. 17
    Jun 2013
    22:20

    [들뢰즈] 천 개의 고원·33 :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그리고 근대

    □ 고전주의 ↑ 프랑스 고전주의 회화의 창시자로 불리는 니콜라 푸생(1594년-1665년)의 그림 고전주의라는 말은 형상-질료 관계 또는 오히려 형식-실체 관계를 가리킨다. 실체는 다름 아닌 형식이 부여된 질료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막혀진 형태들이 연속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231 file
    Read More
  8. 17
    Jun 2013
    22:18
    No Image

    [기타] 맬컴 엑스와 킹

    “더 이상 자유(自由)를 미룰 수 없다(Our Freedom Can't Wait)!” “흑인의 등에 10cm 깊이로 칼을 박아놓고 조금씩 빼면서, 칼은 여전히 8cm 깊이로 꽂혀 있는데 이를 두고 개선이라니? 타협이라니?” 맬컴 엑스(X). 그는 미국에서 가장 화가 난 흑인이다. 그에...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003
    Read More
  9. 17
    Jun 2013
    22:17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32 : 영토

    영토는 여러 환경의 다양한 측면이나 부분들에 의해 구성된다. 영토 자체는 외부 환경과 내부 환경, 매개 환경과 합병된 환경을 포함하고 있다. 거주나 피난을 위한 안쪽의 지대와 황동 영역인 바깥쪽 지대, 정도차는 있지만 수축성 있는 경계와 막이 있고 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696
    Read More
  10. 17
    Jun 2013
    22:15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31 : 차이와 반복

    박자란 규칙적이고 불규칙적인 것을 떠나 반드시 코드화된 형식을 전제하며 이 형식의 측정 단위 또한 결국은 소통되지 않은 환경에 안주하고 마는데 반해, 리듬은 항상 코드 변환 상태에 놓은 <불평등한 것> 혹은 <공동의 척도를 갖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631
    Read More
  11. 17
    Jun 2013
    22:14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30 : 카오스모스(Chaosmos)

    카오스로부터 <환경>과 <리듬>이 태어난다. (...) 카오스도 방향적 성분을 갖고 있으며, 이것이 혼돈 자체를 황홀하게 만든다. (...) 생물체에는 재료와 관련된 외부 환경이 있고, 구성 요소들과 구성된 실체들과 관련된 내부 환경이 있으며 나아가 막이나 경...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692
    Read More
  12. 17
    Jun 2013
    22:12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29 : 탈영토화 제5정리~제8정리

    제5정리 : 탈영토화는 동시에 생성하는 대변수와 소변수의 공존을 함축하기 때문에 탈영토화는 언제나 이중적이다. 생성에서 두 항은 자리를 바꾸지도 동일화되지도 않고 오히려 비대칭적 블록으로 끌려들어가며, 거기에서 한 항은 다른 항 못지않게 변화하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628
    Read More
  13. 17
    Jun 2013
    22:10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28 : 음악

    음악은 결코 비극적이지 않다. 음악은 기쁨이다. 하지만 음악은 우리에게 죽음의 취향을, 그것도 행복하기 때문에 죽는 것이 아니라 행복하게 죽고 싶은, 조용히 꺼지고 싶은 취향을 주는 일이 반드시 있기 마련이다. 우리 안에서 고개를 드는 죽음의 본능 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398
    Read More
  14. 17
    Jun 2013
    22:08
    No Image

    [들뢰즈] 천 개의 고원·27 : 리트로넬로, 리듬의 탄생

    (...) 한 아이가 어둠 속에서 두려움을 떨쳐버리려고 하거나, 손뼉을 치거나, 걸음걸이를 고안해내고 그것을 보도 위의 선에 맞춰보거나, “Fort-Da"하고 단조롭게 읇기도 한다. (...) 한 여자가 흥얼거린다. (...) 새 한 마리가 자신의 리트로넬로*를 내지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655
    Read More
  15. 11
    May 2013
    21:50

    [들뢰즈] 천 개의 고원·26: 선의 체계·창조

    ↑ 붓과 먹으로 그린 걸레스님 중광의 선화(禪畵), <무구(無坵)>(1981년. 한지에 수묵담채, 미화랑 소장). 서양화와는 달리 점이 아니라 선의 속도와 강약으로 그려진다. | IM-A840S | 2011 걸레스님 중광 만행기행전에서 | 이우 점의 체계에 대하여 대립하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085 file
    Read More
  16. 11
    May 2013
    21:04

    [들뢰즈] 천 개의 고원·25: 점의 체계·기억 혹은 회상

    ↑ 기억 체계에서 회상의 형성은 현재 A를 새로운 현재 B와 관련된 표상 A'로, C와 관련된 A"로 지나가게 하는 사선을 함축한다.(Edmund Husserl) | computer aid 생성의 선 체계는 기억의 점 체계와 대립된다. 생성의 운동을 통해 선은 점에서 해방되고 점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984 file
    Read More
  17. 11
    May 2013
    19:56

    [들뢰즈] 천 개의 고원·24: 생성의 선

    ↑ 나무형 도식에서는 선이 점에 종속된다. 리좀형 도식에서는 점이 선을 도출한다. 생성의 선은 위치를 정할 수 있는 점 A와 B 사이를 가로지른다. | Computer aid | 이우 남성-되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남성은 그램분자적 존재물인 반면, 생성들은 분자적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72 file
    Read More
  18. 11
    May 2013
    19:53

    [들뢰즈] 천 개의 고원·23: 여성-되기·소수자-되기

    ↑ 생성이나 과정으로서의 '소수'가 아니라 집합이나 상태로서의 ‘소수성’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상태로서의 소수성 위에서 우리는 재영토화되지만, 하지만 생성이나 과정으로서의 '소수'는 탈영토화한다. | Canon EOS 5D | 이우 남성의 생성들은 그토록 많은...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293 file
    Read More
  19. 11
    May 2013
    19:51

    [들뢰즈] 천 개의 고원·23: 여성들의 비밀

    ↑ Canon EOS 5D | 서울디자인올림픽 | 이우 여성들이 비밀을 다루는 방식은 완전히 다른 것이다. ... 남성들은 여성들이 어떤 때는 신중하지 못 하고 수다쟁이라고, 또 어떤 때는 연대감이 없고 배반을 일삼는다고 비난한다. 그렇지만 한 여성이 아무 것도 숨...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015 file
    Read More
  20. 11
    May 2013
    19:49

    [들뢰즈] 천 개의 고원·22: 비밀

    ↑ 비밀은 사회에 의해 발명되었다. 비밀은 사회적인 또는 사회학적인 관념이다. 모든 비밀은 집단적 배치물이다 | 김용민의 그림마당 | 경향신문 2013년 5월 9일자 비밀은 사회에 의해 발명되었다. 비밀은 사회적인 또는 사회학적인 관념이다. 모든 비밀은 집...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503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