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추상(abstractions, abstractions)

by 이우 posted Jul 25, 2018 Views 8167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 스피노자의 철학.jpg


  (...) 핵심은 스피노자가 <윤리학>에서 확립하고 있는 추상 개념공통 개념 사이의 본성의 차이이다(2부, 명제 40, 주석1). 공통 개념은 서로 적합한 신체들, 다시 말해 법칙들에 따라 자신들의 각 관계를 결합하고 이 내적인 적합 혹은 결합에 상응하여 서로를 변용시키는 둘 혹은 여러 신체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적인 어떤 것에 대한 관념이다. 공통 개념은 우리의 변용 능력을 포함하며, 우리의 이해 능력에 의해서 설명된다. 반대로 추상 개념은 우리의 변용 능력 한계를 넘어서 있기 때문에 우리가 이해하는 대신에 상상하는 것에 머무를 때 나타난다. 이때 우리는 서로 결합하는 관계들을 더 이상 이해하려고 하지 않으며, 우리의 상상에 강한 인상을 남기기 때문에 다른 것들을 무시하면서 우리가 본질적인 특징으로 내세우는 외적인 기호나 가변적인 감각 성격만을 간직한다(직립 동물으로서의 인간, 웃고 말하는 동물로서의 인간, 털이 없고 두 발을 가진 이성적 동물로서의 인간 등등). 우리는 결합의 통일성, 이해 가능한 관계들의 결합, 내적인 구조들을 감각적인 유연성과 차이들의 대략적 설정으로, 자연 속에서 연속성, 불연속성, 자의적인 유비를 확립한다.

  어떤 의미에서 추상은 허구(fiction)를 가정한다. 왜냐하면 추상의 핵심은 이미지들을 통해서 사물들을 설명하는 것(그리고 신체들의 내적인 본성을 그 신체들이 우리 신체에 미친 외적인 결과로 대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의미에서, 허구는 추상을 가정한다. 왜냐하면 허구 그 자체는 외적인 결합(association) 혹은 변형(trans-formation)의 질서에 따라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넘어가는 추상들로 구성되기 때문이다(<지성개선론> 문단 62-64 : <인간이 짐승으로 변형된다고 말할 때, 우리는 그것을 이주 일반적인 방식으로 말하게 되는 셈이다>). 우리는 어떻게 부적합 관념이 추상성과 허구성을 결합하고 있는지 보게 될 것이다. 허구적 추상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첫번째, 종차 혹은 유전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가변적인 성격에 의해 정의되는 강(綱), 종(種), 속(属)(개, 짖는 동물 등등). 그런데 스피노자는 종과 종차에 의한 정의 절차에 공통 개념과 연관을 갖는 아주 다른 절차를 대립시킨다. 그것은, 존재들을 그것들의 변용 능력에 의해서, 그것들이 가질 수 있는 변용들에 의해서, 그것들이 반작용 할 수 있는 자극들, 그것들이 견뎌낼 수 있는 자극들, 그것들의 힘을 넘어서는 것이어서 그것들을 변들게 하거나 그것들을 죽게 만드는 작동들에 의해서 정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능력에 따른 존재들이 분류를 획득하게 될 것이며, 어떤 것들이 어떤 것들과 적합한지, 어떤 것들이 적합하지 않은지, 무엇이 누구에게 영양물로 사용될 수 있는지, 누가 누구와 한 사회를 이룰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은 어떤 관계들 아래서인지 알게 될 것이다. 인간, 말, 개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철학자와 술주정뱅이, 사냥개와 보초견, 경주마와 역마는 그것들이 변용 능력에 의해, 그리고 무엇보다 그것들이 자신들의 삶, 각자가 만족하는 삶(<윤리학>, 3부, 명제 57, 주석)을 실행하고 충족시키는 방식에 의해 구별된다. 따라서 종과 속이라는 추상 관념들과 동일한 기준을 가진 결코 갖지 않는 다소 일반적인 유형들이 존재한다. 속성들 또한 실체를 종으로 규정하는 종차들이 아니다. 그것들 자체 또한 자신들의 종(種) 속에서 무한하다고 말해지긴 하지만(여기에서 <종>은, 속성들이 양태들은 변용들 자체이기 때문에, 단지 실체로서 무한한 변용 능력을 구성하는 필연적인 존재 형식을 지시할 뿐이다), 무엇보다도 종이 아니다.

  두번째는 수(number)이다. 수는 추상관념의 상관자다. 왜냐하며 우리는 사물들을 강, 종, 속의 구성 부분들로서 헤아리기 때문이다. 수가 상상의 보조자(<편지 12, 메이으로에게>)인 것은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이다. 수는 그 자체가, 존재 양태들에 적용되는 한, 즉 존재 양태들이 실체로부터 따라나오는 방식과 그것들이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이 추상되는 한, 추상물이다. 반대로 자연에 대한 구체적인 시각은 도처에서 무한을 발견한다. 그러나 그 부분들의 수를 통해서는 아무 것도 무한하지 않다. 2, 3, 4....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무한히 많은 속성들로 구성된 것으로, 긍정될 수 있는 실체도 무한하지 않게 될 것이며(<편지 64>, 슐러에게), 무한히 많은 부분들을 가지고 있는 존재 양태도 무한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나 무한성이 존재하는 것은 그 수에 의해서가 아니다(<편지 81, 취른하우스에게>). 따라서 수에 의한 구별은, 속성들 사이의 실제적 구별이 결코 수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체에 적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태들에게도 적합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수에 의한 구별은 추상적으로만, 그리고 상상으로서만 양태와 양태적 구별을 표현할 뿐이기 때문이다.

  세번째는 초월적인(transcendantaux) 개념들이다. 존재들 사이의 외적인 차이를 확립하는 요소로서의 특유하거나 유전적인 성격들이 더 이상 문제가 아니라, 존재(Etre) 혹은 존재와 동일한 외연을 갖는 개념들이 문제가 된다. 사람들은 그것들에 초월적인 가치를 부여하며, 무(無)와의 대비를 통해 그것들을 확립한다(존재-비존재, 통일성-다양성, 진리-허위, 선-악, 질서-무질서, 미-추, 완전성-불완전성...). 사람들은 단지 내재적 의미만을 갖는 것을 초월적인 가치로 제시하고, 상대적인 대립일 뿐인 것을 절대적인 대립을 통해 정의한다. 이와 같이 선과 악은 좋음과 나쁨, 즉 특정한 존재 양태가 갖는 행위 능력의 변이에 방향에 따라 그 양태를 특징 짓는 추상 개념들, 따라서 특정한 존재 양태와 관련하여 말해지는 좋음과 나쁨의 추상 개념들이다(<윤리학>, 4부, 서문)

  기하학적인 존재들은 특수한 문제를 제기한다. 기하학적인 도형은 어떤 의미에서 보나 추상들 혹은 이성들의 조재에 속하기 때문이다. 도형은 척도의 대상인데, 척도는 수와 같은 종류의 보조자이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무(無)를 함축하고 있다(<편지 50> 엘레스에게), 그러나 다른 이성의 존재들이 참된 원인들에 대한 무지를 함축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는 기하학적 존재들에 대해서는 적합한 원인을 ㅅ러정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는 한 도형에 특수한 정의(예를 들면, 중앙의 한 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해 있는 점들의 자리로서의 원)를 발생적 정의로(한쪽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른 한쪽은 움직이는 모든 직선에 의해서 그려지는 도형으로서의 원 : <지성개선론>, 문단 95~96, 혹은 반원의 회전으로 그려지는 도형으로서의 구 : 같은 책, 문단 72). 물론 그것은 추상적인 것과 허구적인 것과의 관계에 따르면 여전히 허구다. 왜냐하면 어떤 원, 어떤 구도 자연에서는 그렇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단일한 본질도 그와 같이 설정되지 않는다. 선이나 반원의 개념은 우리가 그것에 부여한 운동을 결코 내포하고 있지 있지 않다. 바로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표현이 유래한다 : 나는 자의적으로 원인을 구성한다( <지성개선론>, 문단 72). 그러나 실제 사물들이 관념들이 그것들을 표상하는 대로 생산될 때조차도, 관념들이 참인 것은 그것에 의해서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의 진리성은 대상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유의 자율적인 능력에 의존하기 때문이다(<지성개선론>, 문단 71). 

  마찬가지로 기하학적 존재에 대한 허구적 원인은 우리가 우리의 이해 능력을 인식하는 데 사용하고, 신의 관념(선과 반원의 운동을 결정하는 신)에 이르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한다면, 조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신의 관념과 더불어 모든 허구와 추상은 중지되고, 단일한 현실적 사물들이 자신들의 질서에 따라 생산되듯이 관념들이 신의 관념으로부터 자신들의 질서에 따라 흘러나올 것이기 때문이다(,징성개선론>, 문단 73, 75, 76). 기하학적 개념들이, 그것들과 연관이 있는 추상을 꾸며내고, 또한 스스로를 꾸며낼 수 있는 허구들인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따라서 그것들은 추상 개념보다는 공통 개념에 더 가깝다.  (중략) 기하학적 방법은 그 모든 의미와 그 모든 외연을 보존하게 될 것이다. (...)

- <스피노자의 철학>(질 들뢰즈 · 민음사 · 2001년 · 원제 : Spinoza.: Philosophie pratique) <제4장 윤리학의 주요 개념 색인> p.70~76
















  1. 18
    Sep 2020
    03:37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 주체와 주체화, 자아의 문제

    (...) 자아는 이제 그의 계열이, 그 계열의 수만큼의 우발적인 사건들이 되어 가로질러짐에 틀림없는 그런 모든 자아에, 다른 역할에, 다른 인격에 개방되게 된다. '나는 샹비주이고 바딩게이며 프라도다. 나는 역사에 나타나는 모든 이름인 것이다.' (중략)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693 file
    Read More
  2. 19
    Aug 2020
    03:42

    [문학] 사르트르 첫 장편소설 『구토』 : 말과 사물, 존재와 비존재, 의미와 무의미, 질서와 무질서, 즉자·대자·대타존재

    (...) 나는 침묵을 지키고 어색하게 웃는다. 여종업원이 내 앞에 있는 석회빛이 나는 카망베르(노르망디 지방 산 치즈) 한 조각이 놓여 있는 접시를 갖다 놓는다. 나는 방 안을 죽 훑어본다. 심한 역겨움이 나를 사로 잡는다. 나는 여기서 뭘 하고 있는 것일...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1637 file
    Read More
  3. 29
    Jul 2020
    00:45

    [사회] 칼폴라니 『거대한 변환』 : 빈민구제법·스피남랜드법, 1795년

    (...) 18세기 사회는 사회를 시장의 들러리로 삼으려는 어떠한 시도에 대해서도 무의식적으로 저항했다. 노동시장이 없는 시장경제란 상상할 수 없었지만 노동시장을 형성한다는 것은 특히 영국의 농촌문명 같은 경우 전통적 사회의 골조를 허물어버리는 것이...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0365 file
    Read More
  4. 24
    Jul 2020
    06:14

    [사회] 칼폴라니 『거대한 변환』 : 노동과 토지, 화폐의 상품화

    (...) 경제가 사회관계 속에 파묻혀 있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 관계가 경제체계 속에 파묻혀 있다. 경제체계가 특수한 동기들을 바탕으로 특별한 지위를 획득하여 독립된 제도들로 조직되면, 사회는 경제체계가 독자적인 법칙에 따라 기능하도록 허용하는 방...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519 file
    Read More
  5. 29
    Jun 2020
    18:04
    No Image

    [사회] 실용과 효율의 함정 : 싱가포르

    (...) 싱가포르는 일사불란한 통제가 가능할 만큼 한정된 인구를 가진 나라이다. 인구 3백만으로 중국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수상 이광요*는 싱가포르의 특수한 상황을 활용하여 ‘완벽’한 국가를 건설하려고 하였다. 이광요는 실용주의자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7371
    Read More
  6. 28
    May 2020
    15:02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언표(言表)의 정의· 언어행위 분석

    (...) 식물학적 분류표는 언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구(語句)들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계통학적 나무, 회계 장부, 대차대조표들은 언표들이다. 어구들은 어디에 있는가? 더 나아갈 수 있다. n차의 방정식, 굴절법칙에 관한 대수식은 언표로 간주되어야 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33 file
    Read More
  7. 25
    May 2020
    15:56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개념의 형성·계열화·도표화·조직화

    (...) 아마도 린네(Carl won Linne)의 작품 속에서 또한 리카드로의 작품이나 포르-르와왈의 문법 속에서 사용된 개념군들은 하나의 복합적인 총체로서 조직화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우리는 그 개념군이 형성하는 연역적 건축물을 재건할 수 있을 것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316 file
    Read More
  8. 24
    May 2020
    22:29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언표행위적 양태들의 형태·지위, 장소, 위치 ·계열

    (...) 질적인 기술(記述)들, 전기적 이야기들, 기호들의 지표화, 해석, 그리고 문헌적 검증, 유비에 의한 추리, 연역, 통계학적 계산, 실험적 검증, 그리고 많은 다른 형태의 언표들, 이들이 우리가 19세기의 의학적 언설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들이다. 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0 file
    Read More
  9. 23
    May 2020
    00:57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언설·담론·에피스테메(episteme)

    (...) 19세기의 정신병리학이 관련되는영역에 있어, 일찍부터 경범죄의 범주에 속하는 일련의 대상들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살인, 그리고 자살, 치정사건, 성적인 경범죄, 여러 종류의 절도, 부랑죄, 그리고 그 후 이들을 통해서 상속권, 신경증을 야기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215 file
    Read More
  10. 17
    May 2020
    17:05

    [사회] 위험사회 : 국제적 불평등 · 제3세계의 계급지위와 위험지위

    (...) 위험지위의 세계적인 평등화는 위험이 유발하는 고통 내부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사회적 불평등에 관하여 우리를 결코 속이지 않는다. 이것은 특히 위험지위와 계급지위가 중첩되는 곳에서 국제적 규모로 발생한다. 지구적 위험사회의 프롤레타리아트는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124 file
    Read More
  11. 17
    May 2020
    15:10

    [사회] 위험사회 : 부메랑 효과 · 공공수용

    (...) 상당한 정치적 폭발력을 가지고 있는 위험의 분배 유형이 지구화에서 포함되어 있으면서 아직은 그 모습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고 있다. 조만간 위험은 위험을 생산하거나 위험에서 득을 보는 사람들도 따라잡을 것이다. 위험은 사회적 부메랑 효과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319 file
    Read More
  12. 07
    May 2020
    12:40

    [철학] 『에티카』 : 정서의 기원과 본성 · 코나투스(conatus)·정신과 신체

    (...) 정서와 인간의 생활 방식에 관하여 기술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통적인 자연법칙을 따르는 자연물이 아니라 자연 밖에 있는 사물에 관하여 논술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로 그들은 자연 안의 인간을 국가 안의 국가처럼 생각하는 것 같다. 왜냐하면 그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959 file
    Read More
  13. 07
    May 2020
    03:45

    [철학] 『에티카』 : 정신의 본성과 기원 · 제1종의 인식(표상), 제2종의 인식(이성), 제3종의 인식(직관지)

      (...) 매우 빈번하게 인간의 자태를 경탄하면서 관찰한 사람은 인간이라는 명칭 아래에서 직립한 자세의 동물로 이해한다. 이에 반하여 인간을 다르게 관찰하는는 데 습관이 된 사람은 인간에 관하여 다른 공통된 표상을 형성할 것이다. 즉 인간을 웃을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467 file
    Read More
  14. 04
    May 2020
    23:12

    [사회] 『1차세계대전사』 : 식민지 시대, 파렴치한 이 영국인을 보라!

    (...) 1차 세계대전은 비극적이고 불필요한 전쟁이었다. 신중함이나 공조의 선의가 제 목소리를 냈더라면 최초의 무력 충돌에 앞선 5주간의 위기 동안 어느 때라도 대전의 발발로 이어졌던 사건들의 사슬을 끊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불필요했고, 첫 번째 충돌...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64319 file
    Read More
  15. 30
    Apr 2020
    08:49

    [철학] 『자본론』 : 상품의 등가형태·등가물·등가교환

    (...) 상품 A(아마포)는 자기의 가치를 자기와는 다른 종류의 상품 B(저고리)의 사용가치에 표현함으로써, 상품 B 그 자체에 하나의 독특한 가치형태, 곧 등가물이라는 가치형태를 부여한다. (중략) 저고리가 등가물로 표현되고, 아마포가 상대적 가치로서 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898 file
    Read More
  16. 29
    Apr 2020
    07:09

    [철학] 『자본론』 : 상품과 노동의 이중성·분업·사용가치와 교환가치·유용노동·labor와 work

    (...) 어떤 물건은 가치가 아니면서도 사용가치일 수 있다. 그것은 인간에 대한 그 물건의 사용성이 노동에 의해서 중개되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예를 들면 공기, 처녀지, 자연의 초원이나 야생의 수목 등이 그러하다. 어떤 물건은 상품이 아니면서 유용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663 file
    Read More
  17. 23
    Apr 2020
    00:57

    [철학] 『마르크스 평전』 : 브루노 바우어·포이어바흐·막스 슈티르너, 그리고 『독일 이데올로기』

    마르크스는 법학과에서 에두이르트 겐스,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브루노 바우어를 스승으로 모시고 있었다. 특히 개신교 신학자 브루노 바우어는 자유주의 운동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의 방대한 교양, 경구들에 대한 감각, 빈정거림과 대담성은 자연히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061 file
    Read More
  18. 20
    Apr 2020
    04:04

    [사회] 『다윈에 대한 오해』 : 『인간의 유래』에 나타난 성(性)의 선택

    "성선택의 영향으로 발달된 것이 분명한 구조와 본능이 여럿 존재하는데, 경쟁자와 대적하고 물리치기 위한 수컷의 공격 무기와 방어 수단이 그것이다. 수컷의 담력과 호전성, 다양한 장식, 목소리나 도구를 이용해 음악을 만드는 방식, 냄새를 분비하는 분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222 file
    Read More
  19. 18
    Apr 2020
    23:38

    [사회] 『다윈에 대한 오해』 : 다윈에게 나타난 전체주의·계몽주의·식민주의

    (...) "사회적인 동물의 경우, 자연선택은 때때로 공동체에 이로운 변이의 보존을 통해 개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뛰어난 개체를 다수 포함한 공동체는 수적으로 증가하며 덜 유리한 다른 공동체보다 우세하다. 그리고 이는 그로 인해 각기의 구성원이 같...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427 file
    Read More
  20. 18
    Apr 2020
    19:15

    [사회] 『다윈에 대한 오해』 : 맬서스 『인구론』과 『종의 기원』에 나타난 자연선택설

    (...) 공간과 자원을 공유하는 생물 종의 수적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가 각 환경에 존재해야 하며, 이는 필연적인 연역이다. 무한 가속된 증식 경향과 여러 종 사이의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균형 간의 대립 관계에서 외재적 조절 기제, 즉 각 종의 번식 충동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771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