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 분배적 정의(正義, justice)와 조정적 정의, 정치적 정의

by 이우 posted May 03, 2018 Views 152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니코마코스윤리학_900.jpg


  제3장 기하학적 비례에 따른 분배적 정의

  (...) 분배에서의 정의는 어떤 가치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데는 누구나 동의한다. 그러나 누구나 같은 종류의 가치를 염두에 두지는 않는다. 민주정체 지지자들은 자유민으로 태어난 것이, 과두정체 지지자들은 부나 좋은 가문이, 귀족정체 지지자들은 미덕이 가치 판단의 기준이라고 본다.

  따라서 정의는 일종의 비례이다. 비례는 추상적인 수뿐만 아니라 일반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비례는 비율의 동등성이며, 적어도 4개 항을 포함한다. 불연속적 비례는 분명 4개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연속적 비례도 그 점은 마찬가지다. 연속적 비례는 하나의 항을 두 번 언급함으로써 2개로 다루기 때문이다. 예컨대 선분 A가 선분 B와 맺는 관계가 선분 B와 선분 C와 맺는 관계가 같다고 할 때, B는 두 번 언급되었다. 이처럼 B가 두 번 언급되었으니 비례항은 4개일 것이다. 정의 역시 적어도 4개항을 포함하며 그 비율은 같다. 사람들도 몫도 똑같은 비율로 나누어지니까. 그러면 A가 B와 맺는 관계는 C가 D와 맺는 관계와 같을 것이며, 이를 치환하면 A가 C와 맺는 관계는 B와 D가 맺는 관계가 같을 것이다. 그래서 A와 C의 합은 B와 D의 합과 같을 것이다. 분배는 이런 조합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며, 만약 항들이 이렇게 조합되면 올바르게 이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분배의 정의는 A와 C의 결합과 B와 D의 결합에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올바른 것은 중간이고, 불의한 것은 비례에서 어긋난다. 비례적인 것은 중간이고, 올바른 것은 비례적이니까. 수학자들은 이런 비례를 기하학적 비례(측지술)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기하학적인 비례에서는 전체가 전체와 맺는 관계가 각 부분이 맺는 관계와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비례는 연속적이지 않다. 이 비례에서는 사람과 몫에 다 적용되는 단일 항을 구할 수 없으니까.

  따라서 그런 의미에서 올바른 것은 비례적이고, 불의한 것은 비례에 어긋한다. 그러면 한쪽은 너무 커지고 다른 쪽 몫은 너무 작아진다.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난다. 불의를 행하는 사람은 좋음을 너무 만히 가지고, 불의를 당하는 사람은 좋음을 너무 적게 갖는다. 나쁨의 경우는 그와 정반대이다. 더 작은 나쁨은 더 큰 나쁨에 비해 좋음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더 작은 나쁨은 더 큰 나쁨보다 더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것은 좋으며, 더 바람직한 것은 더 좋음이기에 하는 말이다. 이상이 정의의 한 종류이다.

  제4장 산술적 비례에 따른 조정적 정의

  나머지 한 종류는 조정적 정의인데, 이것은 자발적 거래와 비자발적 거래 모두에서 발견된다. 이 정의는 앞서 언급한 분배적 정의와 종류가 다르다. 공공재산을 올바르게 분배하려면 언제나 앞서 말한 비례에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공공재산은 각자의 기여도에 비례해서 분배될 테니까. 그리고 이런 유형의 정의에 상반하는 불의란 비례에 어긋나는 것이다.

  하지만 각종 거래에서의 정의는 균등함이고 불의는 불균등함이지만, 기하학적 비례에 다르지 않고 산술적 비례에 따른다. 훌륭한 사람이 보잘 것 없는 사람을 사취하든 보잘 것 없는 사람이 훌륭한 사람을 사취하든 사취하기는 마찬가지고, 훌륭한 사람이 간음하든 보잘 것 없는 사람이 간음하든 간음하기는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법은 위법 행위의 변별적 성격에만 주목하고 당사자들을 동등한 자로 취급하며 한쪽은 불의를 행하고 다른 쪽은 불의를 당했는지, 다시 말해 한쪽은 해를 끼치고 다른 쪽은 해를 입었는지 물을 뿐이다. (...)

  시비가 붙으면 사람들은 재판관에 의지한다. 재판관에게 호소하는 것은 정의에 호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판관은 일종의 정의의 화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들은 재판관을 중간적 존재자로 찾으며, 어떤 사람들은 재판관을 중재자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자신들이 중간 것을 얻으면 올바른 것을 얻는다고 믿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판관이 그런 만큼 정의는 일종의 중용이다.

  재판관은 균등함을 회복하는 일을 한다. 그 방법은 마치 한 선분이 동등하지 않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졌을 때, 더 긴 선분에서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부분을 떼어내 더 작은 선분에 덧붙이는 것과도 같다. 그리하여 전체가 동등한 반쪽으로 나뉘어 양쪽이 동등한 몫을 가질 때 사람들은 자기들이 제 몫을 가진다고 말한다. 그런 까닭에 균등한 것은 올바른 것이라고 불린다. (...)

  산술적 비례에 따르면 균등함은 더 많음과 더 적음의 중간이다. 동등한 두 부분 중 하나에서 일정량을 떼어내 다른 쪽에 보태면, 그쪽은 앞엣것보다 그 일정량의 두 배만큼 커진다. 만약 일정량을 떼어냈지만 다른 쪽에 보태지 않았다면, 그쪽은 앞엣것보다 그 일정량의 한 배 만큼 커졌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더 큰 것은 중간 것보다 그 일정량의 한 배 만큼 더 크고, 중간 것은 일정량을 떼어낸 첫번재 부분보다 그 일정량의 한 배 만큼 더 크다.
  우리는 이런 방법으로 더 많이 가진 쪽에서 얼마만큼을 떼어내 더 적게 가진 쪽에 보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더 적게 가진 쪽에 중간 것이 그가 가진 것을 초과하는 만큼 보태주어야 하고, 가장 큰 서에서 중간 것을 초과하는 것만큼 떼어내야 한다. 선분 AA'와  선분 CC'가 같다고 하자. 선분 AA'에서 AE를 떼어내고 선분 CC'에 CD를 보탠다면, 선분 DCC'는 선분 EA'보다 CD와 CF를 합한 것 만큼 더 길다. 따라서 선분 DCC'는 선분 BB'보다 CD 만큼 더 길다. (...)
그림_조정적 정의.jpg
  제6장 정치적 정의

  불의한 자가 아니더라도 불의를 행할 수 있는 만큼 어떤 종류의 불의를 행해야 그 행위자가 저마다의 악행에서 불의한 자가 되는지, 이를테면 도둑이나 간통한 남자나 강도가 되는지 물어야 할 것이다. 아니면 그런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닐까? 남자는 누군지 잘 아는 여자와 동침할 수 있지만 그의 행위는 숙고를 거친 랍리적 선택이 아니라 욕정으로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의 행위는 불의해도 그는 불의한 사람이 아니다. 말하자면 도둑질을 한다고 해서 도둑이 아니며 간통을 한다고 해서 간통한 남자가 아니라는 뜻이다. 이 점은 그 밖의 다른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 그러나 우리는 우리 탐구의 주제가 정의 일반만이 아니라 정치적 정의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정치적 정의는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공동체를 이루고 사는 사람들, 그러니까 자유롭고 비례적으로도 산술적으로도 동등한 사람들 사이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이런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정치적 정의는 없고 유사 정의가 있을 뿐이다. 정의는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법의 지배를 받는 곳에서 존재하고, 법은 사람들이 서로 불의를 행할 수 있는 곳에서 존재하기 때문이다. 법적 정의란 옳은 것과 옳지 못한 것을 판결하는 데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불의는 불의한 행위를 내포한다. 그러나 불의한 행위가 언제나 불의를 내포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불의한 행위란 그 자체로 좋은 것은 자기에게 너무 많이 배분하고 그 자체로 나쁜 것은 자기에게 너무 적게 배분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이 아니라 법(logos, 이성적 원칙으로도 옮길 수 있다)이 지배하게 한다. (...)

제7장 자연적 정의와 법적 정의

  정치적 정의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자연적인 것이고 다른 하나는 법적인 것이다. 자연적인 것은 어디서나 같은 효력을 발휘하며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좌우되지 않는다. 법적인 것은 처음에는 이런 형태를 취하기도 하고 저런 형태를 취하기도 하지만 일단 정해진 다음에는 구속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전쟁 포로의 몸값은 1므나라든가, 양 2마리가 아니라 염소 1마리를 제물로 바친다는 것 등이 그것이다. 또한 브라시다스를 위해 위령제를 지내는 것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위해 통과된 법규들과 특별포고령에 따른 결의들도 이에 속한다. (...)

  관행에 따라 편익을 위해 정해진 정의의 규칙들은 도량형과도 같다. 포도주와 곡물 거래에서 사용되는 도량형은 어디서나 동일하지 않고, 도매에서는 더 크고 소매에서는 더 작으니까. 마찬가지로 자연적으로 옳은 것이 아니라 특정 집단에게 옳은 것은 어디서나 동일하지 않다. 정체(政體)도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연적 정체, 곧 최선의 전체는 어디서나 하나뿐이다. 모든 유형의 정의와 법규가 그것들에 맞게 행해진 행위들과 맺는 관계는 보편적인 것이 개별적인 것과 맺는 관계와도 같다. 개별적인 것은 많지만 보편적인 것은 보편적인 만큼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

  불의한 행위는 불의한 것과 다르고, 옳은 행위는 옳은 것과 다르다. 불의한 것은 자연적으로 그렇거나 법규에 따라 그렇기 때문이다. 그것이 일단 행해지면 불의한 행위이지만, 그러기 전에는 비록 불의하기는 해도 불의한 행위는 아니다. 이 점은 옳은 행위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여기서 정의로운 행동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는 반면 옳은 행위는 불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

  제8장 자발적 행위와 비자발적 행위, 의도의 중요성

  옳은 행위와 불의한 행위가 우리가 말한 바와 같다면, 누군가 자발적으로 행할 때에만 그의 행위는 옳거나 불의하다. 비자발적으로 행할 때는 우연히 그렇다면 몰라도 그의 행위는 옳지 않거나 불의하지도 않다. 그의 행위는 우연에 따라 옳거나 불의했으니까. 어떤 행위가 불의한지 그렇지 않은지는 자발적인지 비자발적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행위가 자발적일 때 행위자는 비난 받는데, 자발적인 경우에만 불의한 행위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발성이 없으면 불의하기는 하지만 아직은 불의한 행의가 아닌 어떤 것이다. 자발성이란 앞서 말했듯이 행위자에게 달려 있는 행위를 행위자가 알고서, 곧 누구에게 무슨 도구를 사용하여 무슨 목적으로 무슨 짓을 하는지 알고서 행하는 것을 말한다. (...)

  비자발적 행위 가운데 더러는 용서받을 만하지만, 더러는 용서받을 만하지 않다. 모르고 저지렀을뿐더러 무지로 인한 과오는 용서받을 만하다. 모르고 저질렀지만 무지가 아니라 본성에 어긋나는 비인간적 감정으로 인한 과오는 용서받을 만하지 않다. (...)

  - 『니코마코스 윤리학』(아리스토텔레스 · 도서출판 숲 · 2013년 · 원제 : Ethica Nicomacheia) p.180~201











  1. 18
    Sep 2020
    03:37

    [철학]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 주체와 주체화, 자아의 문제

    (...) 자아는 이제 그의 계열이, 그 계열의 수만큼의 우발적인 사건들이 되어 가로질러짐에 틀림없는 그런 모든 자아에, 다른 역할에, 다른 인격에 개방되게 된다. '나는 샹비주이고 바딩게이며 프라도다. 나는 역사에 나타나는 모든 이름인 것이다.' (중략)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702 file
    Read More
  2. 19
    Aug 2020
    03:42

    [문학] 사르트르 첫 장편소설 『구토』 : 말과 사물, 존재와 비존재, 의미와 무의미, 질서와 무질서, 즉자·대자·대타존재

    (...) 나는 침묵을 지키고 어색하게 웃는다. 여종업원이 내 앞에 있는 석회빛이 나는 카망베르(노르망디 지방 산 치즈) 한 조각이 놓여 있는 접시를 갖다 놓는다. 나는 방 안을 죽 훑어본다. 심한 역겨움이 나를 사로 잡는다. 나는 여기서 뭘 하고 있는 것일...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1656 file
    Read More
  3. 29
    Jul 2020
    00:45

    [사회] 칼폴라니 『거대한 변환』 : 빈민구제법·스피남랜드법, 1795년

    (...) 18세기 사회는 사회를 시장의 들러리로 삼으려는 어떠한 시도에 대해서도 무의식적으로 저항했다. 노동시장이 없는 시장경제란 상상할 수 없었지만 노동시장을 형성한다는 것은 특히 영국의 농촌문명 같은 경우 전통적 사회의 골조를 허물어버리는 것이...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0373 file
    Read More
  4. 24
    Jul 2020
    06:14

    [사회] 칼폴라니 『거대한 변환』 : 노동과 토지, 화폐의 상품화

    (...) 경제가 사회관계 속에 파묻혀 있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 관계가 경제체계 속에 파묻혀 있다. 경제체계가 특수한 동기들을 바탕으로 특별한 지위를 획득하여 독립된 제도들로 조직되면, 사회는 경제체계가 독자적인 법칙에 따라 기능하도록 허용하는 방...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539 file
    Read More
  5. 29
    Jun 2020
    18:04
    No Image

    [사회] 실용과 효율의 함정 : 싱가포르

    (...) 싱가포르는 일사불란한 통제가 가능할 만큼 한정된 인구를 가진 나라이다. 인구 3백만으로 중국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수상 이광요*는 싱가포르의 특수한 상황을 활용하여 ‘완벽’한 국가를 건설하려고 하였다. 이광요는 실용주의자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7373
    Read More
  6. 28
    May 2020
    15:02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언표(言表)의 정의· 언어행위 분석

    (...) 식물학적 분류표는 언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구(語句)들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계통학적 나무, 회계 장부, 대차대조표들은 언표들이다. 어구들은 어디에 있는가? 더 나아갈 수 있다. n차의 방정식, 굴절법칙에 관한 대수식은 언표로 간주되어야 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44 file
    Read More
  7. 25
    May 2020
    15:56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개념의 형성·계열화·도표화·조직화

    (...) 아마도 린네(Carl won Linne)의 작품 속에서 또한 리카드로의 작품이나 포르-르와왈의 문법 속에서 사용된 개념군들은 하나의 복합적인 총체로서 조직화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우리는 그 개념군이 형성하는 연역적 건축물을 재건할 수 있을 것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321 file
    Read More
  8. 24
    May 2020
    22:29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언표행위적 양태들의 형태·지위, 장소, 위치 ·계열

    (...) 질적인 기술(記述)들, 전기적 이야기들, 기호들의 지표화, 해석, 그리고 문헌적 검증, 유비에 의한 추리, 연역, 통계학적 계산, 실험적 검증, 그리고 많은 다른 형태의 언표들, 이들이 우리가 19세기의 의학적 언설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들이다. 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467 file
    Read More
  9. 23
    May 2020
    00:57

    [철학] 푸코 『지식의 고고학』 : 언설·담론·에피스테메(episteme)

    (...) 19세기의 정신병리학이 관련되는영역에 있어, 일찍부터 경범죄의 범주에 속하는 일련의 대상들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살인, 그리고 자살, 치정사건, 성적인 경범죄, 여러 종류의 절도, 부랑죄, 그리고 그 후 이들을 통해서 상속권, 신경증을 야기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222 file
    Read More
  10. 17
    May 2020
    17:05

    [사회] 위험사회 : 국제적 불평등 · 제3세계의 계급지위와 위험지위

    (...) 위험지위의 세계적인 평등화는 위험이 유발하는 고통 내부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사회적 불평등에 관하여 우리를 결코 속이지 않는다. 이것은 특히 위험지위와 계급지위가 중첩되는 곳에서 국제적 규모로 발생한다. 지구적 위험사회의 프롤레타리아트는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130 file
    Read More
  11. 17
    May 2020
    15:10

    [사회] 위험사회 : 부메랑 효과 · 공공수용

    (...) 상당한 정치적 폭발력을 가지고 있는 위험의 분배 유형이 지구화에서 포함되어 있으면서 아직은 그 모습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고 있다. 조만간 위험은 위험을 생산하거나 위험에서 득을 보는 사람들도 따라잡을 것이다. 위험은 사회적 부메랑 효과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326 file
    Read More
  12. 07
    May 2020
    12:40

    [철학] 『에티카』 : 정서의 기원과 본성 · 코나투스(conatus)·정신과 신체

    (...) 정서와 인간의 생활 방식에 관하여 기술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통적인 자연법칙을 따르는 자연물이 아니라 자연 밖에 있는 사물에 관하여 논술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로 그들은 자연 안의 인간을 국가 안의 국가처럼 생각하는 것 같다. 왜냐하면 그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967 file
    Read More
  13. 07
    May 2020
    03:45

    [철학] 『에티카』 : 정신의 본성과 기원 · 제1종의 인식(표상), 제2종의 인식(이성), 제3종의 인식(직관지)

      (...) 매우 빈번하게 인간의 자태를 경탄하면서 관찰한 사람은 인간이라는 명칭 아래에서 직립한 자세의 동물로 이해한다. 이에 반하여 인간을 다르게 관찰하는는 데 습관이 된 사람은 인간에 관하여 다른 공통된 표상을 형성할 것이다. 즉 인간을 웃을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475 file
    Read More
  14. 04
    May 2020
    23:12

    [사회] 『1차세계대전사』 : 식민지 시대, 파렴치한 이 영국인을 보라!

    (...) 1차 세계대전은 비극적이고 불필요한 전쟁이었다. 신중함이나 공조의 선의가 제 목소리를 냈더라면 최초의 무력 충돌에 앞선 5주간의 위기 동안 어느 때라도 대전의 발발로 이어졌던 사건들의 사슬을 끊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불필요했고, 첫 번째 충돌...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64492 file
    Read More
  15. 30
    Apr 2020
    08:49

    [철학] 『자본론』 : 상품의 등가형태·등가물·등가교환

    (...) 상품 A(아마포)는 자기의 가치를 자기와는 다른 종류의 상품 B(저고리)의 사용가치에 표현함으로써, 상품 B 그 자체에 하나의 독특한 가치형태, 곧 등가물이라는 가치형태를 부여한다. (중략) 저고리가 등가물로 표현되고, 아마포가 상대적 가치로서 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900 file
    Read More
  16. 29
    Apr 2020
    07:09

    [철학] 『자본론』 : 상품과 노동의 이중성·분업·사용가치와 교환가치·유용노동·labor와 work

    (...) 어떤 물건은 가치가 아니면서도 사용가치일 수 있다. 그것은 인간에 대한 그 물건의 사용성이 노동에 의해서 중개되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예를 들면 공기, 처녀지, 자연의 초원이나 야생의 수목 등이 그러하다. 어떤 물건은 상품이 아니면서 유용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670 file
    Read More
  17. 23
    Apr 2020
    00:57

    [철학] 『마르크스 평전』 : 브루노 바우어·포이어바흐·막스 슈티르너, 그리고 『독일 이데올로기』

    마르크스는 법학과에서 에두이르트 겐스,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브루노 바우어를 스승으로 모시고 있었다. 특히 개신교 신학자 브루노 바우어는 자유주의 운동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의 방대한 교양, 경구들에 대한 감각, 빈정거림과 대담성은 자연히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076 file
    Read More
  18. 20
    Apr 2020
    04:04

    [사회] 『다윈에 대한 오해』 : 『인간의 유래』에 나타난 성(性)의 선택

    "성선택의 영향으로 발달된 것이 분명한 구조와 본능이 여럿 존재하는데, 경쟁자와 대적하고 물리치기 위한 수컷의 공격 무기와 방어 수단이 그것이다. 수컷의 담력과 호전성, 다양한 장식, 목소리나 도구를 이용해 음악을 만드는 방식, 냄새를 분비하는 분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227 file
    Read More
  19. 18
    Apr 2020
    23:38

    [사회] 『다윈에 대한 오해』 : 다윈에게 나타난 전체주의·계몽주의·식민주의

    (...) "사회적인 동물의 경우, 자연선택은 때때로 공동체에 이로운 변이의 보존을 통해 개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뛰어난 개체를 다수 포함한 공동체는 수적으로 증가하며 덜 유리한 다른 공동체보다 우세하다. 그리고 이는 그로 인해 각기의 구성원이 같...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448 file
    Read More
  20. 18
    Apr 2020
    19:15

    [사회] 『다윈에 대한 오해』 : 맬서스 『인구론』과 『종의 기원』에 나타난 자연선택설

    (...) 공간과 자원을 공유하는 생물 종의 수적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가 각 환경에 존재해야 하며, 이는 필연적인 연역이다. 무한 가속된 증식 경향과 여러 종 사이의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균형 간의 대립 관계에서 외재적 조절 기제, 즉 각 종의 번식 충동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78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