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사18] 데이비드 흄(David Hume)

by 이우 posted Jan 28, 2013 Views 1179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David_Hume.jpg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년 4월 26일 - 1776년 8월 25일)은 1711년 4월 26일 에든버러 북쪽에 위치한 천사이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존 흄(John Home)’은 변호사였다. 그는 1734년 성을 ‘Hume’으로 개칭했는데 이는 잉글랜드의 발음이 스코틀랜드와 달랐기 때문이다. 그는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

 

  흄은 에든버러 대학교에 12살의 나이로 조기 입학하였다. 그는 처음에 법학을 공부하였으나 이후 철학을 공부하였다. 후일 흄은 자서전에서 "어찌할 수 없는 혐오와 철학과 일반적 지식에 대한 추구 때문에 가족들이 보에와 비니우스를 강권하는 동안 몰래 키케로와 베르길리우스를 탐닉했다"고 회고했다. 그는 18세에 철학에 대한 "사고의 새로운 지평"을 경험하였다고 술회하고 있으나 그 "지평"이 무엇이었는지는 정확히 설명하지 않아 갖가지 추측만 있을 뿐이다. 다만 이러한 새로운 사고의 지평으로 인해 그는 십대 시절을 온통 읽고 쓰는 데 소비하였으며 결국 신경쇠약에 걸리고 말았다.

 

  졸업 후 흄은 가정교사와 상업 사무원 사이에 진로를 결정해야 했다. 그는 1734년 브리스톨에서 몇달 간 사무원 생활을 하였다. 그 후 그는 프랑스 앙주의 라플레체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데카르트가 수학한 것으로 유명한 라플레체의 예수회 관할의 프리타네 군사학교를 자주 방문했다. 그는 4년여의 시간에 걸쳐 그의 첫 철학 저서인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을 집필하면서 그 동안 저축한 돈을 모두 소진하게 된다. 흄은 자서전에서 이 시기를 "내 문필의 향상 외에는 모든 것이 초라한 간신히 부지하는 삶이었다"고 기록했다.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는 26세 때 완성되었다. 오늘날 철학 학자들은 흄의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를 철학 사상 가장 중요한 책 가운데 하나로 평가하지만 당대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의 비평가들은 그렇지 않았다. 당대의 비평은 이 책이 "추상적이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흄은 낙담했으나 곧 그의 쾌활한 성품으로 실망을 딛고 철학에 대한 열정을 되살렸다. 흄은 1744년 도덕과 정치에 관한 논문으로 에든버러 대학교의 교수직에 응시하였으나 그 자리는 윌리엄 클랙혼에게 돌아갔다. 후일 당시 에든버러 대학교의 총장이 흄을 무신론자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David_Hume_동상.jpg   흄은 교회로부터 이단이라는 의심을 받았으나 친분 있는 젊은 성직자들의 변론으로 재판까지 받는 일은 피했다. 그러나 흄의 형이상학에 대해 애버딘의 토머스 레이드와 같은 철학자들은 여전히 신학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여 흄은 글레스고 대학교의 철학 수석 교수직을 얻는 데 실패하였다. 흄은 1752년 에든버러로 귀향하였다. 1752년 에든버러 도서관장을 지냈으며, 1763년 주 프랑스 대사의 비서로서 루소와 사귀었다.

 

  흄은 일찍이 논고 <종교와 미신에 대해>에서 모든 종교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였다. 흄 당대에서 종교에 대한 언급은 매우 조심스러운 것이었다. 흄이 태어나기 15년 전, 18세의 학생이었던 토머스 아이크해드는 기독교 신앙은 비상식적이라고 공개적으로 언급했다는 이유로 독신죄가 인정되어 교수형을 당했다. 흄은 자신의 견해와 주장을 책속의 등장인물을 통해 말하게 하는 등 우회적으로 표현하였으나 종교에 대한 그의 논문은 1776년 사망할 때까지 출간되지 않았다. 흄의 종교에 대한 저작인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는 흄의 사후인 1778년이 되어서야 여전히 저자의 이름이나 출판사의 이름도 표기하지 않은 채 출간되었다. 이러한 조심스런 대처에도 불구하고 흄은 생시에도 이미 자연신론자 또는 무신론자로 의심받았다. 1763년 흄은 파리에서 헤트포드 경의 비서로 일했으며 말년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1776년 사망하여 에든버러에 묻혔다.

 

  흄은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의 서문에서 "인간 과학은 유일하게 다른 모든 과학을 뒷받침하는 과학"으로 "체험과 관찰"이라는 경험적 방법에 의해 연구되는 과학이라고 주창하였다. 흄의 이러한 견해가 정확히 어떠한 것을 뜻하는지에 대해서는 학자 간에 의견이 엇갈려 왔다. 논리실증주의는 흄의 이 발언을 근거로 과학은 오직 경험에 의해 검증될 수 있는 것만을 추구하는 학문으로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검증할 수 없는 것은 참이나 거짓으로 판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흄은 논리실증주의의 선구자로서 경험에 의한 것만을 바탕으로 철학을 펼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와 다른 견해를 가진 학자들은 논리실증주의가 흄이 스스로를 소극적인 회의론자로 파악한 것에 반하여 확증된 원칙을 세워 회의론을 거부하고 있다고 비평한다.

 

  흄은 다방면에 걸쳐 연구를 남기고 있다. 흄은 <간 본성에 관한 논고>의 서두에서 인간 심리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었다. 흄은 인간의 오성을 이성과 감성으로 나누고, 감성이 대상에 대한 직관적이며 강렬한 인식이라면 이성은 감성에 의해 받아들여진 대상을 반추하여 대상을 이해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한편, 흄의 논리학은 후일 학파에 따라 논리실증주의적인 입장과 회의론적 사실주의의 입장, 또는 그 둘의 절충으로 해석된다.

 

  흄은 로크, 버클리의 영국 경험론을 따르면서도, 과학의 시대와 많은 조화를 이루고 있는 흄은 영국이 배출한 가장 위대한 철학자로 인식되고 있다. 대개의 경험론자들은 ‘우리의 지식은 우리의 경험에 의해서 형성되어진다’고 말한다. 이성은 우리에게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말해 줄 수 없는 만큼, 우리는 사물의 본성을 경험을 통해서 알아내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흄은 이런 이성에 대한 경험론자들의 회의보다 그 회의의 폭이 더 넓었다. 인과성이란 언제나 함께 발생하는 두 사건의 문제로서, 그 두 사건을 연결해 주는 어떠한 고리가 있으며, 이런 '어떠한 고리'의 자리에 위치하는 것은 우리의 '심리적 경향'이다. 그리고 이 '심리적 경향'을 그는 '습관'이라 불렀다. 예를 들어서 '아침이 왔다'와 '해가 동쪽에서 떴다'라는 두 사실을 놓고 보자. 우리는 아침이 왔으니 해가 동쪽에서 뜰 것이라고 생각한다. 흄에 의하면 이러한 결과는 습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흄은 이렇게 말한다. “인과법칙은 습관의 산물이다.”

 

버클리와 흄의 인식.jpg

 

  버클리는 ‘지각된 것을 관념이라고 하고 지각하는 것을 정신’으로 주장하면서 ‘존재하는 것은 지각된 것’이며 ‘지각되지 않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지각하는 정신은 지각되는 게 아니지만 존재한다고 한다. 그러나 흄은 이런 예외 조항조차 인정하지 않았다. 흄은 ‘사물을 보고 생긴 것은 인상’이고 ‘그 인상의 기억이나 결합이 관념’이라고 주장했다. 흄에 따르면 ‘정신’이란 것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관념과 인상의 다발만이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근대철학의 붕괴를 의미하고 있다. 근대철학에서 ’나‘. ’주체‘,. ’자아‘, ’정신‘이라고 부리는 것은 그저 인상과 관념의 묶음일 뿐이다. 그래서 마침내 흄은 ’정신‘이나 ’주체‘라는 근대철학의 범주를 해체한다.

 

 

 

 

 


  1. 08
    Jun 2017
    22:47

    [사회] 유토피아(Utopia) : 양들이 사람을 잡아먹고 있다

    (...)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의 <유토피아(Utopia)>(1516년) 제1부는 1500년 당시 영국 농민들이 겪던 처참한 삶의 현장을 고발한다. 사자가 사람을 잡아먹는 것도 아니고 양이 사람을 먹는다니.... 모어의 독한 풍자는 그의 머리에서 나온 것...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426 file
    Read More
  2. 05
    Jun 2017
    17:30

    [사회] 인정투쟁 : 당신은 인정받기 위해 존재하는가? 그런가?

    (...) 인정투쟁 테제의 핵심은 사회적 투쟁이 상호 인정이라는 상호주관적 상태를 목표로 한다는 주장에 있다. 또한 '인정'은 인간이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이자 각 개인이 자신에 대한 긍증적인 관계, 즉 긍정적인 자기 의식...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935 file
    Read More
  3. 05
    Jun 2017
    01:50

    [사회] 게으를 수 있는 권리 : 멈출 수 없는 기괴한 공장

    (...) 때때로 나야말로 지난 1950년대 말과 1960년대에 대중 레저시대(Age of Mass Leisure)가 금방이라도 도래할 듯이 일부 사회학자들이 온갖 상투적인 논거를 통원해 수많은 갑론을박을 벌였던 것을 기억하는 유일한 사람이 아닌가 생각해보곤 한다. 수백...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062 file
    Read More
  4. 01
    Jun 2017
    04:18

    [사회] 게으를 수 있는 권리 : 참혹한 결과를 가져온 노동 숭배

    (...) 자본주의 문명이 지배하는 국가의 노동자 계급은 기이한 환몽에 사로잡혀 있다. 이러한 망상이 개인과 사회에 온갖 재난을 불러일으켜, 지난 2세기 동안 인류는 크나큰 고통을 겪어왔다. 다름 아니라 노동에 대한 사랑, 일에 대한 격렬한 열정이 바로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7970 file
    Read More
  5. 30
    May 2017
    07:50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자본이 성장하면 임금이 상승할 수 있지만 그러나...

    (...) 자본이 성장하면, 임금노동의 양이 성장하며, 임금 노동자의의 수가 증가하니, 한마디로 자본의 지배가 더 많은 양의 개인들에게까지 확장된다. 그러면 가장 유리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생산적 자본이 성장하면 노동에 대한 수요가 성장한다. 따라서 노...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459 file
    Read More
  6. 29
    May 2017
    16:13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자본과 임금 노동은 하나이자 같은 관계의 두 측면이다

    (...) "자본은 온갖 종류의 원료들, 노동 기구들, 생활 수단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새로운 원료들, 새로운 노동도구들, 새로운 생활 수단들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자본의 이 모든 구성 부분들은 노동의 피조물들, 노동의 생산물...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825 file
    Read More
  7. 29
    May 2017
    14:50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노동의 가격은 필요 생활 수단의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상품의 가격)은 구매자들과 판매자들 사이의 경쟁에 의해, 공급에 대한 수요의 관계에 의해, 제공에 대한 열망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 똑같은 상품이 서로 다른 판매자들에 의해 제공된다. 똑같은 질의 상품을 가장 싸게 판매하는 사람이 나머지 판...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053 file
    Read More
  8. 29
    May 2017
    12:46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임금이란, 노동이란 무엇인가?

    (...) 어떤 직조공을 보기로 하자. 자본가는 그에게 직조기와 실을 제공한다. 직조공은 노동에 착수하고 실이 아마포로 된다. 자본가는 그 아마포를 제 것으로 하고 그것을 예를 들면 20마르크에 판매한다. 그런데 직조공의 임금은 아마포에 대한, 20마르크에...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194 file
    Read More
  9. 23
    May 2017
    16:34

    [철학] 다이너마이트 니체 : 아, 이 위험하고 아름다운 '여성'

    (...) 여성이란 무엇인가. 니체는 우선 여성 자체를 남성적 '계몽'과 대비한다. '계몽'이란 한 마디로 여성을 남성화하려는 시도이다. 계몽된 여성, 학문적 여성은 여성으로서 퇴화한 여성이다. 여성에게 학문(과학)은 본성상 맞지 않다. 학문의 권태로움이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528 file
    Read More
  10. 20
    May 2017
    11:44

    [사회]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 바이오 필리아(bio-philia)

    (...) 프롬은 <사랑의 기술>에서 그의 사랑 이론을 상세히 피력했으나, 애니스와 사랑하며 결합되어 있던 27년 동안 이론을 더욱 한층 발전시켰다. 프롬은 1930년대에 프로이트의 충동 이론과 결별을 선언한 이래 인간의 핵심 문제가 충동적 욕구의 만족이 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493
    Read More
  11. 01
    May 2017
    04:56

    [사회]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은 '여성'이라는 범주를 허무는 일이다.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_시몬드 보부아르 엄밀히 말해 '여성들'이 존재한다고 할 수 없다_쥴리아 크리스테바 여성은 하나의 성을 갖지 않는다_뤼스 이리가레 섹슈얼리티의 전개는 오늘의 성관념을 만들어 냈다_미셀 푸코 성의 범주란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3504 file
    Read More
  12. 01
    May 2017
    02:08

    [사회] 『젠더 트러블』: 젠더(gender)는 없다. 우리 모두가 퀴어(queer)일 수 있다.

    (...) 결국 버틀러는 모든 정체성은 문화와 사회가 반복적으로 주입한 허구적 구성물이라고 주장하며, 그런 의미에서 섹스나 섹슈얼리티도 젠더라고 말한다. 아니, 어떤 의미에서 "젠더는 없다." 물론 이때의 젠더는 선험적, 근본적, 원래 주어진 젠더를 뜻한...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548 file
    Read More
  13. 30
    Apr 2017
    17:36

    [사회] 『젠더 트러블』: 우울증적 정체성-내 안의 그대, 그대 안의 나

    (...) 우울증의 구조로서 젠더 정체성을 이야기할 때, 버틀러는 동일시가 성립되는 방법으로서의 '합체(incorporation)'를 논의한다. 즉 젠더 정체성은 상실한 대상이 있을 때 그 상실을 인정하지 않고 사랑했던 대상을 자신의 내부로 합체하는 것이다. 합체...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973 file
    Read More
  14. 30
    Apr 2017
    17:06

    [사회] 『젠더 트러블』: 법 앞에 반복 복종하는 정체성-법의 무의식 때문에 저항은 내부로부터 가능하다

    (...) 알튀세에게 주체는 이데올로기가 호명할 때 그에 응답함로써 탄생하는 것이라면, 버틀러의 주체는 그 호명에 완전히 복종하지 않고 잉여 부분을 남김으로써 완전한 복종도, 완전한 저항도 아닌 복종을 하는 것이다. 즉 승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주체의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607 file
    Read More
  15. 30
    Apr 2017
    16:41

    [사회] 『젠더 트러블』: 수행적 정체성-행위 뒤에 행위자는 없다

    (...) 젠더 특성은 재현적인 것이 아니라 수행적인 것이다. 젠더 특성, 행위, 그리고 몸이 그 문화적 의미를 보여주고 생산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수행적이라면 행위나 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선재하는 정체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진위도, 진정하거나 왜곡된...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002 file
    Read More
  16. 30
    Apr 2017
    16:02

    [사회] 『젠더 트러블』: 패러디적 정체성-원본은 모방본보다 우월하지 않다

    (...) 버틀러에게 젠더는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성욕성은 욕망의 문제와 연결된다. 패러디적 정체성이란 위장, 가장, 가면무도회처럼 우너본에 대한 모사가 아니라 모사에 대한 모사로서, 기원 없는 모방이란 의미에서의 정체성을 의미한다. 젠더의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750 file
    Read More
  17. 24
    Apr 2017
    16:55

    [미학] 『현대미학 강의』: 보드리야르 '역사의 종언', '예술의 종언'

    (...) 비록 마르크스주의와 정치적으로 거리를 두지만, 보드리야르의 사유의 바탕에는 아직 정치경제학의 흔적이 남아 있다. 가령 그의 '시뮬라시옹' 개념은 은은하게 마르크스의 '상품 물신성' 개념을 배음으로 깔고 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상품경제에서 ...
    Category예술 By이우 Views24787 file
    Read More
  18. 23
    Apr 2017
    03:40

    [사회]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 마조히즘 · 사디즘 · 사랑

    (...) 대인간적 융합에 대한 인간의 가장 강력한 갈망이다. 그것은 가장 기본적인 열정이고 인류를, 집단을, 가족을, 사회를 결합시키는 힘이다. 이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발광 또는 파괴―자기 파괴 또는 타인 파괴―가 일어난다. 사랑이 없으면 인간성은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413 file
    Read More
  19. 20
    Apr 2017
    19:47

    [사회] 무관심의 절정 : 현실과 이성의 해방 · 무관심

    (...) 장 보드리야르 : (...) 사상이 도전이라면, 그것은 당연히 실험적이어야 합니다. 이것은 오히려 다른 게임의 법칙으로는 알려지지 않은 영역을 탐험하려고 애쓰는 사상의 경험입니다. 니힐리즘이 더 이상의 가치도, 현실도, 기호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867 file
    Read More
  20. 20
    Apr 2017
    18:47

    [사회] 무관심의 절정 : '초과 상태의 세계'에서 '글쓰기'와 '존재한다'는 것

    (...) 필리프 프티 : 당신은 매번 글쓰기가 현실의 시간에 대항하는 형태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장 보드리야르 : (...)글을 쓴다는 것은 화면과 텍스트, 이미지와 텍스트의 직접적인 분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거기에는 하나의 시선이, 거리...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70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