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사39] 빌헬름 훔볼트(Wilhelm Humboldt)

by 이우 posted Mar 13, 2013 Views 102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훔볼트.jpg   빌헬름 훔볼트(Friedrich Wilhelm Christian Carl Ferdinand von Humboldt, 1767년~1835년)는 독일의 학자, 정치가이자 언어학자이며 베를린 대학교의 공동설립자이다. 예나 대학교에서 수학하면서 저명한 문학가 실러와 평생 계속될 교분을 맺었다. 문학적 명성을 얻은 훔볼트는 1801년 교황령 주재 프로이센 공사의 직책을 맡게 되었다. 로마에서도 예술과 문학을 아낌없이 후원하여 그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으며 1809년에는 본국으로 돌아와 교육장관을 맡게 되었다. 1812년에는 오스트리아 주재 프로이센 대사로 임명되었다. 빈에 부임한 훔볼트는 1813년 열린 프라하 회의에서 당시 나폴레옹의 아내이며 합스부르크가의 일원인 마리 루이즈(신성로마제국 황제 프란츠 1세의 장녀)의 문제로 참전을 주저하고 있던 메테르니히를 설득하여 오스트리아를 러시아와 프로이센의 편으로 끌어들이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후 빈 회의에 하르덴베르크 공작을 수행하여 프로이센의 사절단의 일원으로 참석하였다.

 

  언어학자로서 그의 명성은 외교관 생활 말년(1817년경) 바스크어에 대하여 연구하여 이 분야에 대한 학계의 주목을 환기한 것으로 유명하다. 자바 섬의 고대 카위 어에 대한 그의 연구는 생전에 끝나지 못했는데, 그의 동생과 부슈만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척시켜 1836년 간행했다.

 

  칼 빌헬름 훔볼트는 대상과 사람 사이에 독립적인 언어의 정신적 중간세계라는 것이 존재한다고 봤다. 언어를 유기체이며 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구성원의 인식이고 궁극적으로 그들이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보고 있다. 언어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 구조를 제약하기 때문에 언어는 곧 세계를 파악하는 힘이다. 19세기 훔볼트의 이론을 계승 발전한 레오 바이스게르버 전 본대학 교수는 '에네르게이아'(언어의 작용하는 힘)라는 개념을 통해 모어를 인간 정신을 창조하고 문화를 지탱하며 나아가 역사를 지배하는 힘이라고 역설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언어는 사람이 사유하는 바를 표현하는 도구로 생각한다. 그러나 훔 볼트에 따르면 오히려 언어가 사람을 대신해서 사유한다. 열대 지방에는 여러 가지 야자의 종류에 대해 50~60가지의 명칭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것들을 총괄하는 명칭은 가지고 있지 않은 언어가 있다. 빛깔에 대해서는 약 200가지의 명칭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식물의 명칭은 단 네 개뿐인 언어도 있다. 이러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가 지칭하지 못하는 대상에 대해서는 사유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언어를 쓰는 사람들은 상이하게 저마다의 방식으로 자신의 세계를 해석한다. 언어는 단순한 상호이해를 위한 교환수단일 뿐만 아니라 정신이 그 힘의 내적인 활동을 통해 자신과 대상 사이에 정립하지 않으면 안 될 하나의 세계인 것이다. 그래서 독일의 언어학자 레오 바이스게르버는 이렇게까지 이야기한다.

 

  “인간은 그의 평생을 통해서 모어(母語)에 의해 제어며, 모어는 실제로 인간을 대신한다.”

 

훔 볼트 석상.jpg   이런 생각의 근간을 만든 사람이 독일의 언어학자 빌헬름 폰 훔볼트다. 베를린 훔볼트 대학을 창립하고 외교관, 교육자 등으로 다양하게 활동했던 훔볼트가 제창한 언어 철학은 당대를 비롯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놈 촘스키의 생성 변형 문법의 기반이 되고 훔볼트 자신의 모국인 독일에서도 훔볼트 언어학파를 만들어 내며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 시대적,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훔볼트는 언어학이 가지는 언어에 대한 관점, 언어와 사유의 관계 등을 밝힌다. 또한 체계 안에서 치밀하게 짜여 있는 유기체이자 끊임없이 인간과 세계와 상호 작용하면서 격동하는 에네르게이아인 언어의 특징을 밝힌다. 인간의 인식과 해석이 모어에 의해서 규정된다는 점과 그것이 각각의 모어마다 고유하게 구성되는 방식, 그리고 그것이 인간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삶에서 갖는 귀결성이다.

 

 

언어는 정신적 활동

 

  “언어는 사상을 형성하는 기관이다. 지적 활동은 철두철미하게 정신적이고 내면적이며 어느 정도 흔적도 없이 지나가 버리는데, 그것은 담화에서 음성을 통하여 외면화되고 감각에 의해 지각될 수 있다. 따라서 지적 활동과 언어는 하나이며 서로 분리될 수 없다. 지적 활동은 또한 그 자체로서 언어음과 결합되어야 할 필연성이 있다. 그렇지 않다면 사유는 명료성에 도달할 수 없고 표상은 개념이 될 수 없다. 사상, 발성기관, 청각이 서로 뗄 수 없이 결합하여 언어가 되는 것은 영원불변하게 근원적인, 더 이상 설명하기 어려운 인간 본성의 장비에 있다.”

- 훔 볼트의 언어학을 연구한 책 <언어와 정신>(허발 | 열린책들 | 2013) p.105


언어는 유기체

 

  “<카비어>에서는 ‘언어를 낱말들의 집합체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각 언어는 체계(시스템)이며, 이 체계에 따라 정신은 음성을 사상과 결합시킨다’라고 했다. 잘 정돈된 것, 구속, 자유에 관련해서 언어의 체계가 의미하는 바를 의식한다면, 이 경우의 체계도 닫혀 있는 형상이 아니라 인간의 새로운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열려 있는 형태’라는 것을 특히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무한의 체계이다. 이것 자체는 완결된 체계보다는 오히려 끊임없는 체계화로 간주되어야 한다.“

- 훔 볼트의 언어학을 연구한 책 <언어와 정신>(허발 | 열린책들 | 2013) p.59


 

언어는 세계관을 형성한다

 

  “바이스게르버가 말한 중간세계는 언어적인 세계이고, 그와 더불어 동시에 언제나 모어적인 세계, 즉 모어에 의해 구성된 세계이다. 그리고 이 세계는 당연히 어느 누구 할 것 없이 어릴 때부터 모어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 성장한 모든 인간의 정신적, 물질적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모어는 우리에게 음성적 명칭뿐만 아니라 그와 결부된 개념도 제시해 준다. 모어와 더불어 획득한 어휘와 통어형식은 우리 인간의 모든 지적 행동의 토대로 기능하며, 모든 행위의 성과에 그 흔적을 남긴다. 우리가 현실세계를 바라보고 특징을 파악하고 해석하며 그것에서의 경험을 소화하고 정신적으로 가공하는 모든 일들이 바로 이 모어적 중간세계 안에 마련되어 있는 어휘의 분절과 통어형식에 의해 인도된다. 그에 따라 우리의 세계해석과 사유는 모어적, 개념적 지식에 기초한다. 물론 이러한 사유의 틀 또는 해석방식이 다른 모든 종류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대개 그것 이상으로 넘어서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어떻게 보면 인간은 평생을 통하여 자신의 모어에 의해 제어되고, 모어는 실제로 인간을 대신하여 사유하는 언어에 다름 아니다.”

 

- 훔 볼트의 언어학을 연구한 책 <언어와 정신>(허발 | 열린책들 | 2013) 머리말 중에서


 

 

 

 

 

 

 


  1. 08
    Jun 2017
    22:47

    [사회] 유토피아(Utopia) : 양들이 사람을 잡아먹고 있다

    (...)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의 <유토피아(Utopia)>(1516년) 제1부는 1500년 당시 영국 농민들이 겪던 처참한 삶의 현장을 고발한다. 사자가 사람을 잡아먹는 것도 아니고 양이 사람을 먹는다니.... 모어의 독한 풍자는 그의 머리에서 나온 것...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0426 file
    Read More
  2. 05
    Jun 2017
    17:30

    [사회] 인정투쟁 : 당신은 인정받기 위해 존재하는가? 그런가?

    (...) 인정투쟁 테제의 핵심은 사회적 투쟁이 상호 인정이라는 상호주관적 상태를 목표로 한다는 주장에 있다. 또한 '인정'은 인간이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이자 각 개인이 자신에 대한 긍증적인 관계, 즉 긍정적인 자기 의식...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935 file
    Read More
  3. 05
    Jun 2017
    01:50

    [사회] 게으를 수 있는 권리 : 멈출 수 없는 기괴한 공장

    (...) 때때로 나야말로 지난 1950년대 말과 1960년대에 대중 레저시대(Age of Mass Leisure)가 금방이라도 도래할 듯이 일부 사회학자들이 온갖 상투적인 논거를 통원해 수많은 갑론을박을 벌였던 것을 기억하는 유일한 사람이 아닌가 생각해보곤 한다. 수백...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062 file
    Read More
  4. 01
    Jun 2017
    04:18

    [사회] 게으를 수 있는 권리 : 참혹한 결과를 가져온 노동 숭배

    (...) 자본주의 문명이 지배하는 국가의 노동자 계급은 기이한 환몽에 사로잡혀 있다. 이러한 망상이 개인과 사회에 온갖 재난을 불러일으켜, 지난 2세기 동안 인류는 크나큰 고통을 겪어왔다. 다름 아니라 노동에 대한 사랑, 일에 대한 격렬한 열정이 바로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7970 file
    Read More
  5. 30
    May 2017
    07:50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자본이 성장하면 임금이 상승할 수 있지만 그러나...

    (...) 자본이 성장하면, 임금노동의 양이 성장하며, 임금 노동자의의 수가 증가하니, 한마디로 자본의 지배가 더 많은 양의 개인들에게까지 확장된다. 그러면 가장 유리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생산적 자본이 성장하면 노동에 대한 수요가 성장한다. 따라서 노...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459 file
    Read More
  6. 29
    May 2017
    16:13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자본과 임금 노동은 하나이자 같은 관계의 두 측면이다

    (...) "자본은 온갖 종류의 원료들, 노동 기구들, 생활 수단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새로운 원료들, 새로운 노동도구들, 새로운 생활 수단들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자본의 이 모든 구성 부분들은 노동의 피조물들, 노동의 생산물...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825 file
    Read More
  7. 29
    May 2017
    14:50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노동의 가격은 필요 생활 수단의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상품의 가격)은 구매자들과 판매자들 사이의 경쟁에 의해, 공급에 대한 수요의 관계에 의해, 제공에 대한 열망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 똑같은 상품이 서로 다른 판매자들에 의해 제공된다. 똑같은 질의 상품을 가장 싸게 판매하는 사람이 나머지 판...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053 file
    Read More
  8. 29
    May 2017
    12:46

    [사회] 임금 노동과 자본 : 임금이란, 노동이란 무엇인가?

    (...) 어떤 직조공을 보기로 하자. 자본가는 그에게 직조기와 실을 제공한다. 직조공은 노동에 착수하고 실이 아마포로 된다. 자본가는 그 아마포를 제 것으로 하고 그것을 예를 들면 20마르크에 판매한다. 그런데 직조공의 임금은 아마포에 대한, 20마르크에...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194 file
    Read More
  9. 23
    May 2017
    16:34

    [철학] 다이너마이트 니체 : 아, 이 위험하고 아름다운 '여성'

    (...) 여성이란 무엇인가. 니체는 우선 여성 자체를 남성적 '계몽'과 대비한다. '계몽'이란 한 마디로 여성을 남성화하려는 시도이다. 계몽된 여성, 학문적 여성은 여성으로서 퇴화한 여성이다. 여성에게 학문(과학)은 본성상 맞지 않다. 학문의 권태로움이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528 file
    Read More
  10. 20
    May 2017
    11:44

    [사회]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 바이오 필리아(bio-philia)

    (...) 프롬은 <사랑의 기술>에서 그의 사랑 이론을 상세히 피력했으나, 애니스와 사랑하며 결합되어 있던 27년 동안 이론을 더욱 한층 발전시켰다. 프롬은 1930년대에 프로이트의 충동 이론과 결별을 선언한 이래 인간의 핵심 문제가 충동적 욕구의 만족이 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493
    Read More
  11. 01
    May 2017
    04:56

    [사회]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은 '여성'이라는 범주를 허무는 일이다.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_시몬드 보부아르 엄밀히 말해 '여성들'이 존재한다고 할 수 없다_쥴리아 크리스테바 여성은 하나의 성을 갖지 않는다_뤼스 이리가레 섹슈얼리티의 전개는 오늘의 성관념을 만들어 냈다_미셀 푸코 성의 범주란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3504 file
    Read More
  12. 01
    May 2017
    02:08

    [사회] 『젠더 트러블』: 젠더(gender)는 없다. 우리 모두가 퀴어(queer)일 수 있다.

    (...) 결국 버틀러는 모든 정체성은 문화와 사회가 반복적으로 주입한 허구적 구성물이라고 주장하며, 그런 의미에서 섹스나 섹슈얼리티도 젠더라고 말한다. 아니, 어떤 의미에서 "젠더는 없다." 물론 이때의 젠더는 선험적, 근본적, 원래 주어진 젠더를 뜻한...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548 file
    Read More
  13. 30
    Apr 2017
    17:36

    [사회] 『젠더 트러블』: 우울증적 정체성-내 안의 그대, 그대 안의 나

    (...) 우울증의 구조로서 젠더 정체성을 이야기할 때, 버틀러는 동일시가 성립되는 방법으로서의 '합체(incorporation)'를 논의한다. 즉 젠더 정체성은 상실한 대상이 있을 때 그 상실을 인정하지 않고 사랑했던 대상을 자신의 내부로 합체하는 것이다. 합체...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973 file
    Read More
  14. 30
    Apr 2017
    17:06

    [사회] 『젠더 트러블』: 법 앞에 반복 복종하는 정체성-법의 무의식 때문에 저항은 내부로부터 가능하다

    (...) 알튀세에게 주체는 이데올로기가 호명할 때 그에 응답함로써 탄생하는 것이라면, 버틀러의 주체는 그 호명에 완전히 복종하지 않고 잉여 부분을 남김으로써 완전한 복종도, 완전한 저항도 아닌 복종을 하는 것이다. 즉 승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주체의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607 file
    Read More
  15. 30
    Apr 2017
    16:41

    [사회] 『젠더 트러블』: 수행적 정체성-행위 뒤에 행위자는 없다

    (...) 젠더 특성은 재현적인 것이 아니라 수행적인 것이다. 젠더 특성, 행위, 그리고 몸이 그 문화적 의미를 보여주고 생산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수행적이라면 행위나 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선재하는 정체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진위도, 진정하거나 왜곡된...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8001 file
    Read More
  16. 30
    Apr 2017
    16:02

    [사회] 『젠더 트러블』: 패러디적 정체성-원본은 모방본보다 우월하지 않다

    (...) 버틀러에게 젠더는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성욕성은 욕망의 문제와 연결된다. 패러디적 정체성이란 위장, 가장, 가면무도회처럼 우너본에 대한 모사가 아니라 모사에 대한 모사로서, 기원 없는 모방이란 의미에서의 정체성을 의미한다. 젠더의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750 file
    Read More
  17. 24
    Apr 2017
    16:55

    [미학] 『현대미학 강의』: 보드리야르 '역사의 종언', '예술의 종언'

    (...) 비록 마르크스주의와 정치적으로 거리를 두지만, 보드리야르의 사유의 바탕에는 아직 정치경제학의 흔적이 남아 있다. 가령 그의 '시뮬라시옹' 개념은 은은하게 마르크스의 '상품 물신성' 개념을 배음으로 깔고 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상품경제에서 ...
    Category예술 By이우 Views24787 file
    Read More
  18. 23
    Apr 2017
    03:40

    [사회]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 마조히즘 · 사디즘 · 사랑

    (...) 대인간적 융합에 대한 인간의 가장 강력한 갈망이다. 그것은 가장 기본적인 열정이고 인류를, 집단을, 가족을, 사회를 결합시키는 힘이다. 이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발광 또는 파괴―자기 파괴 또는 타인 파괴―가 일어난다. 사랑이 없으면 인간성은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413 file
    Read More
  19. 20
    Apr 2017
    19:47

    [사회] 무관심의 절정 : 현실과 이성의 해방 · 무관심

    (...) 장 보드리야르 : (...) 사상이 도전이라면, 그것은 당연히 실험적이어야 합니다. 이것은 오히려 다른 게임의 법칙으로는 알려지지 않은 영역을 탐험하려고 애쓰는 사상의 경험입니다. 니힐리즘이 더 이상의 가치도, 현실도, 기호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867 file
    Read More
  20. 20
    Apr 2017
    18:47

    [사회] 무관심의 절정 : '초과 상태의 세계'에서 '글쓰기'와 '존재한다'는 것

    (...) 필리프 프티 : 당신은 매번 글쓰기가 현실의 시간에 대항하는 형태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장 보드리야르 : (...)글을 쓴다는 것은 화면과 텍스트, 이미지와 텍스트의 직접적인 분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거기에는 하나의 시선이, 거리...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70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