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관념론(觀念論, idealism)

by 이우 posted Feb 06, 2013 Views 118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경험을 해석할 때 관념적인 것 또는 정신적인 것이 중심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는 견해. 관념론은 실재의 관념성을 주장하는 <형이상학적 관념론>과, 인간은 인식할 때 마음 안에 있는 것만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인식대상은 지각할 수 있는 것에 한정된다는 <인식론적 관념론>의 두 형태로 나타난다. 형이상학의 영역에서 관념론은 유물론과 대립한다. 유물론은 세계의 근원적인 실체가 물질이고 이 실체는 일차적으로 물질적 형식과 과정을 통해서 인식된다고 주장한다. 인식론의 영역에서 관념론은 실재론에 대립한다. 실재론은 인식대상들이 우리의 의식 외부에 의식과 독립하여 실제로 존재한다는 관점이다. 관념론의 본질적인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관념론의 전형적인 명제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진리는 전체이며 절대자이다", "있다는 것은 지각된다는 것이다", "실재의 궁극적 본성은 실재의 가장 낮은 차원인 물질적인 것보다는 가장 높은 차원인 정신적인 것 속에서 더 충실히 드러난다", "자아는 주체이면서 동시에 객체이다" 등이 관념론의 대표적인 명제이다.

 

  철학에는 존재론과 인식론, 실천론이라는 세 측면이 있으며 이 세 측면에서 마음 · 정신 · 의식과 자연 · 물질과의 관계가 논의되고 있다. 그 중 마음 · 정신 · 의식 쪽에 중점을 두는 철학이 관념론이다. 종교에서 신이 세계를 창조했다고 하듯이 관념론에서는 마음, 정신 또는 의식에 의해 또는 이들을 바탕으로 물질 세계, 즉 자연과 물질이 전개되고 형성되고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마음 · 정신 · 의식이 물질 세계를 형성하는 기초 또는 근원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관념론을 유심론(唯心論) 또는 비물질론(非物質論)이라고도 한다. 또한 물질 세계가 마음, 정신 또는 의식이 현재 가지고 있는 생각 또는 상념의 현현 또는 표상이라는 입장과 물질 세계가 원인의 세계가 아닌 결과의 세계라는 입장을 가지기 때문에 사물의 세계가 "본질적인" 실체(實體) 또는 실재성(實在性)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다만 "임시적인" 실제성(實際性)만을 가진다고 본다. 이런 점에서 관념론 또는 유심론에서는 세계를 환영이라고도 말하기 때문에 관념론을 환영설(幻影說)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관념론으로는 힌두교의 우파니샤드 철학과 삼키아 철학, 불교의 중관론과 유식설, 유대교의 카발라, 피타고라스 학파의 모나드설, 플라톤주의의 이데아론, 신피타고라스주의, 기독교 신학, 영지주의, 헤르메스주의, 신플라톤주의, 원효의 일심 사상, 유교의 성리학, 칸트의 비판철학, 헤겔의 절대정신 및 시대정신론, 신지학 등이 있다.

 


  □ 사변철학(思辨哲學)

 

  오감(五感)에서 획득되는 경험상의 사실에서 출발하여 철학의 학설을 수립할 때 경험론이라 하는 것에 대하여 인간의 머리로 궁리하고, 즉 이성의 활동으로 사변(思辨)하여 철학의 학설을 세우는 것을 사변철학이라 한다. 이는 이성이 생각하는 능력(사변을 한다는 것)으로서, 세계 전체에 관해서나 인간 지식의 형성에 관해서도 진실을 밝혀낸다고 보는 견해이다.

 

 

  □ 아이디얼리즘(Idealism)

 

  이데알리스무스(독일어: Idealismus) 혹은 이데알리즘(프랑스어: Id?alisme)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관념론 및 이상주의라고 번역된다. 이 하나의 말에 두 뜻이 있기 때문에 관념론과 이상주의가 혼동·혼용되기도 한다.

 

 

  □ 주관적 관념론(主觀的 觀念論)

 

    관념론의 일종으로서 객관·대상, 즉 우리를 둘러싼 세계는 주관(인간의 의식)의 관념에 불과하며, 주관에서 독립하여 존재하는 세계를 시인하지 않는 견해이다.

 

 

  □ 객관적 관념론(客觀的 觀念論)

 

  관념론의 일종으로 절대적 관념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관념론은 정신을 세계의 기초에 두는 견해를 취하는 철학이나 이 정신을 인간 의식, 즉 주관으로서의 정신을 초월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정신(신이라든가 절대정신)이라 하여, 이에 바탕을 두고 세계관을 수립하는 철학이다. 또한 개인적인 주관(의식)이 아니라 인간 일반(一般)의 의식을 생각하여 이것이 세계를 만든다는 생각도 객관적 관념론이라 하는 수도 있으나 이러한 입장은 주관적 관념론이라고 하는 것이 적절하다.

 

 

  □ 독일관념론(der deutsche Idealismus)

 

  독일 관념론이란  정신의 보편적인 원리에 따라 이념적 실재를 추구함으로써 낙후된 민족의 현실과 역사의 이성적 발전 그리고 형이상학의 체계적 완결을 지향하려는 일련의 사상 체계를 말한다. 독일 관념론은 피히테, 쉘링, 헤겔에 이르는 사변적 관념론, 훔볼트, 슐라이어마하의 휴머니즘적 관념론, 노발리스 등에 의한 낭만주의적 관념론, 프리이스, 헤르바르트 등의 실증주의적 관념론 그리고 쇼펜하우어의 비합리주의적,주의주의적 관념론 등을 모두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피히테, 쉘링,헤겔의 사변적 관념론을 지칭한다.

 

  독일 관념론은 188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의 약 50년 동안 그 융성기를 누렸으며 학문적 성과의 핵심 노작들은 1910년대에 집중되어 출현했다. 독일 정신 문화의 중심을 이루었던 예나 대학은 관념론자들의 사고 형성의 근거지였고 베를린 대학은 훗날 피히테,쉘링,헤겔,술라이어마하,쇼펜하우어 등이 강단에 서면서 사회적 실천쪽에 더욱 골몰했다는 점에서 관념론 철학의 실습장 격이었다.

 

  그런데 관념론자들이 서로의 심각한 태도의 차이와 주장의 대립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전반기의 가장 유력한 철학 사조로 결집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공통의 문제 의식과 상황 설정의 동질성 때문이었다. 18세기 서구 사회를 지배했던 계몽 철학은 르네상스 이래의 휴머니즘과 합리주의 그리고 자유주의를 근간으로 하여 인간의 근대적 자기 해방을 고취했으며 이를 위해 전 근대적 신앙 대도나 비과학적 사고 방식에 대한 소위 과학적 의식 개혁 즉 계몽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계몽 운동의 전개와 함께 점차 합리주의적 실증적 방법론, 자연주의적,경험적 또는 유물론적,기계론적 세계관 그리고 세속적 쾌락주의나 공리주의적 윤리관등이 보편화 추세에 들어가는 한편 그 반작용으로 전래의 형이상학과 그 존립 가능성에 대한 회의가 더욱 심화되어 갔다. 당초 관념론은 계몽 철학의 지닌 자체의 한계 즉 과학 지상주의와 보편적 형식주의 그리고 실증주의적 단순 사고에 의한 근원성의 포기에까지  이르자 이에 실망한 나머지 반 계몽주의적 경향을 취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상적 갈등은 칸트와 관념론자들 사이에서도 똑같이 나타났다.

 

 

 

 

 

 

 


  1. 04
    Dec 2017
    16:21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역사, 자본, 그리고 우발의 개입·탈영토화·탈코드화

    #역사 (...) 탈코드화된 욕망들, 탈코드화의 욕망들은 늘 있었고, 역사는 이것들로 충만하다. 하지만 탈코드화된 흐름들이 하나의 욕망을, 사회적인 동시에 기술적인 욕망기계를 꿈꾸거나 결핍하는 대신 그런 기계를 생산하는 욕망을 형성하는 것은, 한 장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2706 file
    Read More
  2. 22
    Nov 2017
    18:16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사목권력의 특징, 복종 · 예속 · 배려 · 봉사

    (...) 고대세계가 끝나갈 무렵 근대 세계가 탄생할 무렵까지 그리스도교 사회보다 더 사목적인 문명이나 사회는 결코 존재했던 적이 없습니다. 이런 사목, 이런 사목권력은 인간을 법이나 주권자에게 예속시키기 위해 사용된 절차와 동일시되거나 혼동되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321 file
    Read More
  3. 22
    Nov 2017
    04:52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 사목권력의 출현

    (...) 목자의 은유는 희귀합니다. 하지만 명맥한 예외, 플라톤이라는 중대하고 주된 예외가 있습니다. 훌륭한 행정관, 이상적인 행정관이 목자로 간주되고 있는 텍스트가 플라톤에게는 많이 있습니다. 훌륭한 목자라는 것은 훌륭할 뿐만 아니라 단적으로 참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7990 file
    Read More
  4. 21
    Nov 2017
    19:53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의 탄생, 사목권력

    (...) 인간에 대한 통치는 두 형태로 나타납니다. 사목적 유형의 권력이라는 관념과 조직형태가 그 중 하나이고, 양심지도나 영혼지도라는 형태가 나머지 하나입니다. 첫번째 형태로 사목권력의 관념과 조직을 살펴보죠. 왕 · 신 · 수장이 인간과 관련해 목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46 file
    Read More
  5. 21
    Nov 2017
    16:26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통치란 사람들을 적절한 목적으로 이끌기 위해 사물을 배치하는 일이다

    (...) 16세기에 '경제'라는 말은 통치의 한 형식을 지시했습니다. 그러나 18세기가 되면 '경제'는 우리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련의 복잡한 절차를 통해 통치가 개입하는 현실의 한 수준, 어떤 영역을 지칭하게 됩니다. 지금까지가 통치한다는 것은 무엇...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3627 file
    Read More
  6. 13
    Nov 2017
    01:53

    [문학]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 『나를 보내지 마』

    (...) "어째서 헤일셤이 필요했을까? (중략) 너는 작품이 사람을 드러낸다고 했지. 사람의 내면을 말이야. 네가 말한 게 바로 그거지? 그렇다면 그 문제를 제대로 짚은 셈이다. 우리가 너희 작품을 거어온 건 거기에 너희의 영혼이 드러나 있다고 생각했기 때...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5390 file
    Read More
  7. 11
    Oct 2017
    22:59

    [문학] 마광수 시집? 『가자, 장미여관으로』 초판 서문

    (...) '장미여관'은 내 상상 속에 존재하는 가상의 여관이다. 장미여관은 내게 있어 두 가지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나그네의 여정과 향수를 느끼게 해주는 여관이다. 우리는 잡다한 현실을 떠나 어디론가 홀가분하게 탈출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9578 file
    Read More
  8. 18
    Sep 2017
    03:58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주인이 되는 노예만이 자유를 얻는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우리를 자유가 아니라 예속으로 끌고 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것은 과도한 사회적 · 정치적 개입이며, 공동체에 지나친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기껏해야 생활이 어려운 몇 명의 창조적...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697 file
    Read More
  9. 18
    Sep 2017
    02:44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누가 이 모든 것을 지불하는가 · 권력의 분배

    (...) 누가 이 모든 것을 지불하는가? 이 질문은 잘못된 질문 가운데에서도 가장 잘못된 질문이다. 조건 없는 기본 소득은 지불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재정과 관련해서 본다면 이것은 일종의 이득과 손실의 총합이 제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213 file
    Read More
  10. 17
    Sep 2017
    04:45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기본소득은 우리를 생존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서 자신이 주권자임을 스스로 인식하여 살아갈 수 있게 한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위로부터 오지 않는다. 국가권력에 의해 생겨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하나의 기본권이다. 기본권은 시민들이 국가권력에 맞서 싸워서 획득하는 것이다. 기본권에 대한 공권력의 인정은 그것이 획득된 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7818 file
    Read More
  11. 16
    Sep 2017
    05:31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의미 있는 반대 논리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공격이다. 그것은 사회적 가치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과는 근본적으로 대립된다. 사회는 구성원 모두가 어떤 방식으로든 사회를 유지하는 데 기여해야 비로소 존속할 수 있다. (...) 자신의 생계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4984 file
    Read More
  12. 14
    Sep 2017
    10:32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자유롭게 노동할 수 있어야 한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사회주의와 자유주의를 이어준다. 조건이 없으므로 자유주의이고, 모두에게 주어지므로 사회주의이다. 신자유주의와는 다른 '사회주의적 자유주의'라고도 할 수 있고, 사회주의와는 다른 '자유주의적 사회주의'라고도 할 수 있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565 file
    Read More
  13. 14
    Sep 2017
    08:16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모두가 당신을 위해 일한다면...

    (...) 우리는 일을 한다. 지금껏 일을 하지 않은 적이 없다. 하지만 우리가 노동을 정의하거나 조직하는 방식은 지금까지 끊임없이 변화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변화할 것이다. (...) 과거의 자급자족 경제에서는 우리는 나 자신을 위해서 노동을 했다. 하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931 file
    Read More
  14. 20
    Aug 2017
    15:4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세계는 차이로 존재한다.

    (...) 얼마나 많은 종류의 형상으로써 다양하게 되어 있는지 알라. 이것은 몇몇 것들만 비슷한 형상을 부여받아서가 아니라, 모두가 모두와 같지 않아서이다. 이런 상황은 놀라운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양이 그토록 많아서 한도도 없고, 내가 이미 가...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0039 file
    Read More
  15. 19
    Aug 2017
    23:50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생성하는 몸체는 머물지 않는다.

    (...) 즐겁도다., 광대한 바다에서 바람이 물들을 흔들 때, 육지에서 다른 이의 큰 노역을 바라보는 것은, 누군가 괴로움을 당하는 것이 달콤한 쾌락이어서가 아니라, 그대 자신이 어떠한 불행을 벗어나 있는지 깨닫는 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보기에 즐겁도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839 file
    Read More
  16. 19
    Aug 2017
    03:0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자연은 스스로 무한(無限)을 정립한다.

    (...) 자연은 사물들의 총체가 스스로 자신에게 한계를 놓을 수 없도록 한다. 그것은 물체의 빈 공간에 의해서, 그리고 빈 공간인 것은 다시금 물체에 의해 한정되도록 강제한다. 이렇게 번갈음으로 해서 전체를 무한하게 만들면서, 혹은 최소한 이들 중 어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36 file
    Read More
  17. 19
    Aug 2017
    00:33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그 어떤 것도 무에서 생겨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는다

    아무 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 않음 (...) 그러므로 정신의 이 두려움과 어둠을, 태양의 빛살과 비치는 창들이 아니라, 자연의 모습과 이치로 떨쳐버려야 한다. 그것의 첫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에서 우리를 위한 시작점을 얻어야 한다 즉 그 어떤 것도 신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8971 file
    Read More
  18. 24
    Jul 2017
    00:04

    [사회] 호모 데우스 : 유발 하라리가 던진 질문에 답해보라.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 자유주의자들이 자유시장과 민주적 선거를 지지하는 이유는, 모든 개인이 저마다 특별한 가치를 가지고 있고, 그들의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이 권력의 궁극적 원천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21세기에 전개될 세 가지 실질적 상황이 이 믿음을 무용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099 file
    Read More
  19. 20
    Jul 2017
    23:04

    [사회] 죽어가는 자의 고독 : 죽음을 배제하는 현대사회의 특수성

    (...) 현대 사회의 특수성에는 첫째, 선진사회에 속한 개인들의 수명이 포함된다. 평균 기대 수명이 75세인 우리 사회에서 20대나 30대에 죽는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려운 일이다. 기대 수명이 40세였던 사회라면 사정이 다를 것이다. (...) 모든 생명체가 그...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360 file
    Read More
  20. 20
    Jul 2017
    18:33

    [사회] 죽어가는 자의 고독 : 죽음에 대한 억압의 증후, 죽음의 배제

    (...) 삶을 마치는 것, 사망증명서와 묘지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천천히 죽어간다. 즉 많은 이들이 병약해지고 노쇠한다. 물론 임종하는 마지막 순간이 중요하기는 하다. 그러나 사람들과의 이별은 그보다 훨씬 더 일찍 시작된다. 종종 노쇠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622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