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분리와 종합 · 근친상간 · 혈연과 결연 ·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by 이우 posted Dec 18, 2017 Views 141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앙띠오이디푸스.jpg


  (...) 토지의 충만한 몸은 구별 없는 게 아니다. 괴로워하며 위험하며 유일하고 보편적이기에, 토지의 충만한 몸은 생산 및 생산자들, 그리고 생산의 연결로 복귀한다. 하지만 이 위에는 또한 모든 것이 달라붙고 기입되고, 모든 것이 끌어당겨지고 기적을 낳는다. 그것은 분리 종합의 요소요, 이 종합의 재생산의 요소이다. 그것은 현연 내지 계보의 순수한 힘, 즉 누멘이다. 이 충만한 몸은 출산된 것이 아니다. 하지만 혈연은 이 몸 위에 표시된 기입의 최초 특성이다. 우리는 이 내공적 혈연, 이 포괄적 분리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 여기서는 모든 것이 나뉘지만, 단지 자기 안에서 나뉘며, 또 여기서는 같은 존재가 도처에, 모든 측면에, 모든 층위에, 모든 층위에, 내공의 차이를 지닌 채 있다. 표함된 동일한 존재는 충만한 몸 위에서 나눌 수 없는 거리들을 편력하며, 모든 독자성을, 즉 미끄러지며 자신을 재생산하는 종합의 모든 내공을 지나간다. 계보적 혈연이 생ㅁ물학적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라고 상기시켜봐야 아무 소용 없다. 계보적 혈연은 토지의 충만한 몸이라는 우주적 알 위에 기입되어 있는 만큼 필연적으로 생물적-사회적이다. 그것은 일자 또는 차라리 원시적인 '둘이자-하나(I'un-duex)'라는 신화적 기원을 갖고 있다. 이 쌍둥이는 나뉘어 있으면서도 자기 안에서 통일되어 있다. 놈모*일까 놈모들일까? 분리종합은 원생 조상들을 분리하지만, 각 조상 자신은 수컷이자 암컷인 완전한 충만한 몸이요, 모든 부분 대상을 도곤족 알의 내적 지그재그에 대응하는 낵오적 변주만을 지닌 채 자기에게 응집한다. (...)


  연결들은 이 분리들과 양립할 수 있는 형식으로 다시 타나나야 한다. 이런 것이 기입의 둘째 특성으로서의 결연이다. 결연은 기입의 분리들과 양립할 수 있는, 인물들의 혼인이라는 외연적 형식을 생산적 연결들에 강요하지만, 거꾸로 결연은 독같은 이 분리들의 배타적 · 제한적 사용을 규정하면서 기입에 반작용한다. 따라서 결연이 혈연적 가계 속에서 어느 순간 불시에 나타나는 것이라고 신화적으로 재현되는 일이 강요된다. 그리올은 도곤족에서 8대조의 어떤 순간, 어떤 층위, 어떤 층면에서 어떤 것이 어떻게 생산되었는지 상세히 이야기한다. 즉 분리들이 상궤를 벗어나 포괄적이기를 그치고 배타적이 된 것이다. 이때부터 충만한 몸은 사지가 찢기고, 쌍둥이 특성은 무화(無化)되고, 할례에 의해 표시되는 양성 분리가 일어난다. 하지만 또한 연결이나 혼인이라는 새 모델 위에서 몸이 재구성되고, 몸들이 그 자체로 또는 서로 간에 관절을 갖추고, 이런 절합적 결연의 돌들로 방계의 기입을 행한다. (...)


  결코 열연은 혈연에서 파생되지도 않고 연역되지도 않는다. 하지만 이 원리가 정립되면, 우리는 두 관점을 구별해야 한다. 하나는 경제적 · 정치적 관점으로, 이에 따르면 결연은 외연을 지닌 채 주어졌다고 상정되는 체계 속에서 늘 미리 실존하지 않는 확장된 혈연 가계들과 함께 조합되고 직조되면서 늘 있다. 또 하나는 신화적 관점으로 이는 체계의 외연이 강렬하며 우너생적인 혈연 가계들에서 출발하여 어떻게 형성되고 제한되는지, 나아가 필연적으로 자신의 포괄적 내지 비제한적 사용을 잃는지를 보여준다. 바로 이 관점에서 보면, 확장된 체계는 결연들과 말들의 기억과도 같으며, 혈연의 강렬한 기억에 대한 능동적 억압을 내포하고 있다. (...)


  왜 문제가 결코 혈연에서 결연으로 가는 데 있지 않은지, 즉 후자를 전자에서 끌어내는 데 있지 않은지를 우리는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문제는 에너지와 내공의 차원에서 외연의 체계로 이행하는 데 있는데, 후자는 질적 결연들과 확장 혈연들을 동시에 포함한다. 내공 차원의 최초의 에너지, 즉 누멘이 혈연의 에너지라는 점은 사태를 조금도 바꾸지 않는다. 왜냐하면 아직 강렬한 혈연은 아직 확장되지 않았고, 아직 인물들 및 심지어 성의 구별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내공을 지닌 전(前)-인물적 볌주들만을 포함하고 있고, 그러면서 잡다한 등급에서 취한, 같은 쌍둥이 내지 양성성을 변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차원의 기호들은 라이프니츠가 플러스(+)일 수도 마이너스(-)일 수도 있는 기호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한 표현을 따르면) 근본적으로 중림이거나 중의적이다. 문제는 어떻게 이 최초의 내공에서 출발해 다음과 같은 일들이 벌어지는 외연 체계로 이행하는지를 아는 일이다. ①혈연들이 가문들의 형식으로 확장 혈연들이 되어, 인물들의 구별과 부모의 명칭을 포함하는 일 ②결연들은 동시에 질적 관계들이 되는데, 이 관계들이 확장 혈연들을 전제하는 만큼이나 이 혈연들이 또한 이 관계를 전제하는 일 ③요컨대 중의적인 강렬한 기호들이 중의적이기를 그치고 플러스나 마이너스가 되는 일.


  레비스트로스가 결혼의 단순한 형식을 위해 평행 사촌의 결혼 금지와 교차 사촌의 결혼 승인을 설명하는 여러 구절에 걸쳐 이 점은 분명히 드러난다. 두 가문 A와 B 사이의 결혼마다 <+> 또는 <-> 기호의 절단이 부여된다. 이 점에 관해 혈연의 체계가 부계인가 모계인가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 가령 부계요 친가인 체제에서 ,친족의 여자들은 잃은 여자들이요, 인척의 여자들은 획득된 여자들이다. 따라서 이런 결혼에서 생긴 각 가족은, 아이들의 어머니가 처음 집단에 대해 딸이냐 며느리냐에 따라 규정되는 기호를 부여 받는다. (...) 형제에서 누이로 옮겨 가면 기호가 바뀐다. 왜냐하면 현제는 아내를 획득하는 대 반해, 누이는 자기 가적에서 상실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레비스트로스는 세데가 바뀜에 따라 기호 역시 바뀐다고 지적한다. <처음 집단의 관점에서 아버지가 아내를 받았느냐 어머니가 밖으로 보내졌느냐에 따라, 아들들은 여자 하나에 대해 권리를 갖거나 누이 하나를 빚진다. 필경 이 차이는, 현실에서는, 사촌 형제들의 절반이 독신 생활을 해야만 한다는 것으로 연역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모든 경우에서 한 남자가 윗세대에서 한 명의 누이나 딸을 상실했기 때문에 여자 하나를 요구할 수 있는 집단에서만 아내를 받을 수 있다는 법칙을 표현한다. 한편 한 명의 형제는 윗세대에서 여자 하나를 얻었기 때문에 누이 한 명을(또는 아버지는 딸 하나를)를 바깥 세상에 빚지고 있다. (...) 남자 a와 여자 b가 결혼에서 형성된 주축이 되는 부부를 보자면, 이 부부는 AA의 관점에서 보느냐 B의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분명히 두 기호를 가지며, 이들의 아이들에게도 이 점은 마찬가지다. <++>나 <- ->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평행이고 <+->나 <-+>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교차라는 것을 확인하는 데에는 이제 사촌들 세대를 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


  외연을 지닌 물리 체계에서는, 에너지 흐름의 차원에 속하는 어떤 것은 지나가고(+- 또는 -+) 어떤 것은 지나가지 않거나 봉쇄된 채로 있으며(++ 또는 - -) 어떤 것은 봉쇄하고, 또는 반대로 어떤 것은 지나가게 한다. 어떤 것 또는 어떤 사람. 외연을 지닌 이 체계에는 최초의 혈연도 없고, 최초 세대나 최초의 교환도 없으며, 오히려 혈연들이 확장되는 것과 동시에 언제나 또 이미 결연들이 있어서, 이 결연들은 혈연에서 봉쇄된 채로 있어야 하는 것과 결연으로 이행해야 할 것을 표현한다. (...)


  레비스트로스가 잘 보여준 것은, 세대의 혼합은 세대의 혼합이라고 꺼려지는 게 결코 아니며, 근친상간 금지는 그런 식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아들-어머니 경우의 세대 간의 혼합은 그에 상응하는 삼촌-누이 경우의 세대 간의 혼합과 같은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그것은 이 두 경우에 억압해야만 하는 건 하나의 동일한 내공적 배아 혈연임을 중시한다. 요컨대 외연을 지닌 육체적 세계는, 설립되는 방계 결연들과 상관적으로 혈연들이 확장되는 한에서만 구성될 수 있다. 방계 결연이 맺어지는 것은 바로 누이와의 근친상간 금지에 의해서이며, 혈연이 확장되는 것은 바로 어머니와 근친상간 금ㅁ지에 의해서이다. 여기에 아버지의 억압은 전혀 없으며, 아버지 이름의 폐제도 전혀 없다. 친족 내지 인척으로서의 어머니나 아버지 각각의 정립, 혈연의 부계적 또는 모계적 성격, 결혼의 친가 또는 외가의 성격 등은 억압의 능동적 요소들이지 억압을 향하는 대상들이 아니다. 결연의 기억에 의해 억압되는 것은 심지어 혈연의 기억 일반도 아니다. 확장 혈연들(부계이건 모계이건)과 이것들이 내포하는 결연들로 이루어진 외연을 지닌 육체적 기억을 위해, 바로 내공적 배아 혈연의 위대한 밤의 기억이 억압되는 것이다. 도곤적 신화 전체는 두 계보, 두 혈연 간의 대립에 대한 부계 판본이다. 그 둘이란 내공과 외연, 강렬한 배아 차원과 육체적 세대들의 외연적 체제이다.


  외연을 지닌 체제는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내공적 조건들 속에서 태어나지만, 이것들에 반작용하고, 이것들을 무화하고, 이것들은 억압하며, 이것들에 신화적 표현만을 허용한다. 기호들은 중의적이기를 그치고 이와 동시에 확장 혈연 및 방계 결연과 관련해서 규정된다. 분리들은 배타적, 제한적이 된다. 이름들, 명칭들은 더 이상 내공 상태들이 아니라 분간 가능한 인물들을 가리킨다. 금지된 배우자로서의 누이와 어머니에게 분간 가능성이 설정된다. 인물들은 지금 그들을 가리키는 이름을 갖고 있지만, 그들을 그런 인물로 구성하는 금지들보다 먼저 실존하지는 않는다. 어미와 누이는 이들을 배우자로 금지하기 전에는 실존하지 않는다. (...)

 
 - 『안티 오이디푸스』(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민음사 · 2014년  · 원제 : L’Anti-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1972년) <3. 오이디푸스 문제> p.269~279



  ............
  *놈모(Nommo) : 아프리카 말리에 사는 도곤(Dogon)족의 신화에 나오는 놈모신(Nommo神). 에이리언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1. 20
    Dec 2023
    20:18

    [철학] 『돈의 철학』 : 주체, 객체, 정신, 자아, 주관, 객관, 욕망, 가치

    실천적 객관성은 주관적인 것의 총체성을 규정하거나 보증한다 (...) 주체라는 의식은 그 자체가 이미 객관화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신의 인격 형식이라는 원천 현상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자면, 우리가 우리 자신을 마치 그 어떤 대상처럼 관찰하고 알며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0 file
    Read More
  2. 08
    Nov 2023
    06:50

    [문학] 동화를 위한 두 개의 테제 : 교훈주의와 동심천사주의

    (...) 좋은 동화는 어떤 동화일까. 좋은 동화는 어린이의 아우성을 귀기울여 듣고 줄에서 사뿐이 벗어나 혼자 달리도록 격려할 것이다. 어른은 존중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보이지 않는 곳에 조용히 서 있도록 할 것이다. 아이들이 서로의 말을 놓치지 않도록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12 file
    Read More
  3. 29
    Jun 2023
    20:43
    No Image

    [철학] 두 얼굴의 맑스와 알튀세르

    두 얼굴의 맑스가 있다. 청년 맑스의 얼굴과 노년 맑스의 얼굴. 청년 맑스는 브루노 바우어, 막스 슈티러너, 포이어바흐와 이론적으로 싸우던 철학하는 맑스다. 신(神, God)의 나라를 땅에서 이루어 내겠다는 ‘바우어’와 인간을 절대적 자아로 포획한 ‘슈티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3
    Read More
  4. 13
    Apr 2023
    22:35

    [사회] 슬리보예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공산주의는 해결책의 이름이 아니라 문제의 이름이다

    (...) 그렇다면 오늘의 우리는 어디에 서있을까? 아마도 우리는 서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법으로 기대어 있는지 모른다. 서울의 어린이 박물관 근처에 이상한 동상이 있다. 동상은 처음 보는 사람에게는 아주 외설적인 모습일 수 있다. 어린 소년들이 일...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5 file
    Read More
  5. 07
    Apr 2023
    00:43

    [철학] 『의미의 논리』 : 의미·명제, 표현, 사건

    (...) 의미는 명제의 네번째 차원[지시작용-현시작용-기호작용과는 다른 차원]이다. 스토아학파는 사건과 더불어 의미를 발견했다. 의미는 명제에 의해서 표현된 것이다. 그것은 사물들의 표면에 존재하는 비물체적인 것이며, 환원불가능한 복합적 존재이며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8 file
    Read More
  6. 03
    Mar 2023
    15:51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가격 경제(혹은 시장경제)입니다. 이는 곧 재화의 생산과 분배가 여러 시장의 작동에서 나오는 여러 가격으로 통제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모든 유형의 재화에 대해 시장이 존재합니다. 모든 종류의 상품에 대해서는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1
    Read More
  7. 01
    Mar 2023
    22:37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아래에서의 위험-토지 시장과 노동 시장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이상으로 삼아 근접하고자 했던 시장경제란 자기조정을 원리로 삼는다. 이는 본질적으로 토지, 노동, 화폐의 시장들로 구성된 단일의 시장체제이다. (중략) 시장경제에서 비롯되는 위험은 여러 위험은 바로 시장경제의 확립을 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0
    Read More
  8. 17
    Feb 2023
    18:07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문명과 문화

    (...) 문명이란 나이프, 포크, 스푼을 어떻게 구해올 것이냐의 문제이며, 문화란 그것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이냐의 문제입니다. 문명이란 이를테면 도서관이나 혼인 관련 법률을 어떻게 마련할 것이냐의 문제이며, 문화는 그것을 어떻게 쓸 것이냐의 문제입니...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2
    Read More
  9. 06
    Jan 2023
    17:53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시장 자유주의

    "세상은 마치 모든 개인들의 일상 활동에서 그들을 생산자와 소비자로 고립시켜 버리는 보이지 않는 경계선처럼 작동한다. 이 개인들은 시장을 위해 생산하며, 시장으로부터 필요한 것을 공급받는다. 이들이 제 아무리 자신의 동료들에게 봉사하기를 열렬히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9 file
    Read More
  10. 05
    Jan 2023
    21:05

    [철학] 니체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서문 : 속박과 해방, 자유정신

    3. 우리는 '자유정신'의 유형이 언젠가 완전해질 때까지 성숙하고 단맛을 낼 수 있도록 정신이 어떤 위대한 해방 속에서 결정적인 사건을 겪었으며 그 사건이 전에는 얼마나 속박된 정신이었고 귀퉁이와 기둥에 영원히 묶여 있을 것처럼 보였는지 추측할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2 file
    Read More
  11. 15
    Dec 2020
    23:57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예술으로서의 권력에의 의지

    794. 우리의 종교, 도덕, 철학은, 인간의 데카당스 형식이다. 이 반대 운동이 예술. 795. 예술가는 곧 철학자. 예술의 고차의 개념. 과연 인간은 다른 인간으로 형태화할 수 있을 만큼 그들로부터 멀리 떼어놓을 수가 있을까? 그것을 위한 예비 훈련. 1. 자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496 file
    Read More
  12. 15
    Dec 2020
    22:54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사회 및 개인으로서의 권력에의 의지

    716. 원칙. 즉 개개인의 책임을 느낀다. 다수자는 개개인이 그 기력을 때마침 가지고 있지 않은 사항을 행하기 위하여 날조된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모든 공동체 사회는 너무나도 약하므로 스스로의 욕망에 대한 기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개인보다 더욱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176 file
    Read More
  13. 15
    Dec 2020
    20:58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자연에 있어서의 권력에의 의지

    618. 지금까지 실현된 세계 해석 가운데 현재로서는 기계론적 세계 해석이 승리를 거두고 전면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 분명히 이 세계 해석은 스스로의 입장에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있으며 또한 기계론적 절차의 도움을 빌어 쟁취해 두지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129 file
    Read More
  14. 15
    Dec 2020
    19:49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인식으로서의 권력에의 의지

    466. 우리의 19세기를 결정짓는 것은, 과학의 승리가 아니다. 과학에 대한 과학적 방법의 승리이다. (중략) 469. 가장 가치있는 통찰은 가장 늦게 발견된다. 그러나 가장 가치있는 통찰이란 방법이다. 현재의 과학의 모든 방법, 모든 전제는 몇 천 년 기간에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723 file
    Read More
  15. 15
    Dec 2020
    01:43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이전 철학에 대한 니체의 비판

    406. 우리는, 철학자에 관해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었던 몇몇 미신에서 탈피하자! 407. 철학자들은 가상, 변전, 고통, 죽음, 신체적인 것, 감관, 운명이나 부자유, 목적 없는 것에 반항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그들이 믿고 있는 것은 1.절대적 인식...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7978 file
    Read More
  16. 15
    Dec 2020
    00:30

    [철학] 『권력에의 의지』 : 니힐리즘

    1. 생존의 지금까지의 가치 해석의 귀결로서의 니힐리즘. 2. 니힐리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고의 여러 가치가 그 가치를 박탈한다는 것. 목표가 결여되어 있다. <무엇 때문에?>에 대한 대답이 결여되어 있다. 3. 철저한 니힐리즘이란, 승인 받고 있는 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697 file
    Read More
  17. 12
    Dec 2020
    13:47

    [철학] 『권력에의 의지』 : 헌사·머리말

    권력에의 의지 모든 가치의 가치 전환의 실험 세계는 무한히 해석 가능하다. 모든 해석이, 생장의 징후이거나 몰락의 징후인 것이다. 통일 일원론은 타성(惰性)의 욕구이며, 해석의 다수성이야말로 힘의 징후이다. 세계의 불안하고 혼미한 성격을 부인하고 싶...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8651 file
    Read More
  18. 08
    Dec 2020
    18:58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생물정치학·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군주가 생사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결국 그가 사람들을 죽게 할 수도 살게 내버려둘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중략) 결국 그들이 살 권리와 죽을 권리를 갖는 것은 전적으로 군주에게 달려 있다. (중략) 그러니까 삶과 죽음의 권리란 결국 죽...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3070 file
    Read More
  19. 20
    Nov 2020
    21:54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헤겔 철학과 청년헤겔학파에 대한 비판

    (...) 사람들은 지금까지 항상 자신들이 무엇이며 무엇이어야만 하는가에 대해 잘못된 관념을 형성해 왔다. 사람들은 신이나 정상적 인간 등에 대한 자신들의 관념에다 자신들의 관계를 합치시켜 왔다. 인간 두뇌의 산물들은 벌써 인간들이 만만하게 다룰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471 file
    Read More
  20. 04
    Nov 2020
    03:21

    [철학] 『천 개의 고원』 : 책 · 예술 · 언표행위 · 기관 없는 몸체

    (...) 책에는 대상도 주체도 없다. 책은 갖가지 형식을 부여받은 질료들과 매우 다양한 날짜와 속도들로 이루어져 있다. 책이 어떤 주체의 것이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는 이 질료의 구실과 이 질료의 관계들의 외부성을 무시하게 된다. 지질학적 운동을 설명...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52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