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들뢰즈 :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 · 표현 · 비신체적 변환 · 화행이론

by 이우 posted Dec 14, 2017 Views 233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들뢰즈.jpg   (...) 들뢰즈와 가타리는 '개인적 언표행위'란 없음을 입중하려고 엄청난 노력을 들인다. '개인적인 언표행위란 없으며, 언표행위의 주체라는 것조차 없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5/156). 결과적으로 언어는 근본적으로 사회적이며, 언표와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우리가 반복하는 것만큼도 말하지 못한다. 이때 강조점은 발화행위의 주체성(또는 주체화의 진행)에 상응하는 상대적 동일성(또는 안정성)의 효과뿐 아니라 언표의 잉여성에 있다. 주체(혹은 나)는 실제로 언어의 잉여 효과이며, 그것은 의사소통에서 상호주체성을 결정하고, 언표 행위의 집합적 배치는 이런 잉여성을 성립시키는 행위와 언표의 잉여적 복합체를 가리킨다.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라는 관념은 모든 언어의 사회적 본질을 함축하기에 들뢰즈와 가타리의 언어 화행 이론에서 최우선적 중요성을 지닌다. 언어가 갖는 일차적 의미는 사회적이라는 데 있으며, 이른바 개인적 발화란 주어진 사회적 장을 규정 짓는 언표와 수행인자(또는 '명령-어')의 차원에서 일어난 반복의 효과일 따름이다. '언어활동에 대해 정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을 주어진 순간에 한 언어 안에서 통용되는 명령-어들, 암묵적 전제와 화행들의 집합으로 정의하는 것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4/154).

  집합적 배치가 진짜로 의미하는 것, 즉 언어에서 명령-어의 제도성과 언표의 잉여성을 결정 짓는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들뢰즈와 가타리는 다시 한 번 스토아주의의 표현 이론으로 돌아간다. 그에 따르면 표현이란 신체의 차원과 언표적 의미의 차원 모두에서 비신체적 변환의 효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비신체적인 것이란 '존재-외적인'으로 규정되는데, 언표가 지닌 의미와 실제 신체가 차지하는 평면 사이에서 발생한다. 그 두 차원 모두에서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의미의 변환이라는 사건을 규정하는 것은 '존재-외적인 것'의 특수한 본성이다. 예컨대 피의자를 피고인으로 변환하는 것은 판사의 선고라는 비신체적인인 것이 표현될 때다. 또한 이는 아버지가 내리는 유죄 판결로서 선고의 언표가 아들 게오르크의 자살 행동으로 변환되는 작품 <선고>에서 카프카가 발견해 서술한 것이기도 한다.

  표현된 것은 그것의 표현과 분리될 수 없으며, 의미상의 변환을 설명하려고 피고의 신체 속에 속성을 위치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표현의 논리는 정확히 이 변환적 사건을 향한 것으로서, 의미와 신체의 차원, 아니면 차라리 표면과 깊이의 양쪽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의 차원을 향한 것이다. 언표행위의 배치는 사물 자체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사물의 차원과 내용의 차원에 대해 동시에 말한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과정에 따라 신체는 나이를 먹고  성숙해 가지만, '너는 이제 어린아이가 아니야'라는 언표는 연령 변화의 의미를 신체적 성장뿐 아니라 복종이라는 도덕적 범주로 바꾸어버린다. '너는 단지 소녀일 뿐이야'라는 언표가 신체적 성장에 따른 유사한 의미 변환을 포함하며, 그것은 젠더의 사회적 의미를 결정 짓는 다른 명령-어들의 집합에 그 신체적 의미를 삽입한다는 사실을 비교해 보자. 이와 비슷하게 피부색도 하나의 속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당신은 흑인이군요'라든지 '당신은 백인 남성이군요' 같은 언표가 보여주듯 피부색을 인종적으로 각인시키는 것은 신체의 특수한 사회적 의미를 변화시키고 결정짓는 비신체적 변환을 도입하는 것이다. '검다'와 '하얗다'가 그저 신체의 고유성으로서 흑색과 백색의 속성으로부터 결정되는 것만은 아닌, 사화적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이와 같은 언표 의미에 기반을 두고 사고할 때만 가능하다. 두 언표 모두에서 각각의 속성이 표현하는 것은 비록 서로 다르게 보일지라도 비신체적 변환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 변환은 신체에 직접 적용되며 주체의 행위와 정념에도 삽입된다. 요컨대 비신체적 변환은 신체를 '명령'에 예속.주체화시키는 것이다.

  사회는 이런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명령-어는 의미를 신체에 고정시키고, 신체를 개별화하면서 주어진 사회적 의미에 부응하게끔 강제한다. 들뢰즈와 가타리가 썼듯 '지배적 의미작용으로서 독립적인 주체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양자는 모두 주어진 사회적장에서 명령-어의 본성과 전달에 의존한다'(들뢰즈 · 가타리 1987: 79/I 85/155). 이렇게 사회는 신체와 행위와 정념들의 혼합을 규정하는 명령-어들에 의해 정의된다. 주어진 사회에서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는 그것이 표현하는 언표와 비신체적 변환 혹은 탈신체적 속성들 사이의 즉각적인 관계를 보려준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1/I 86/158). 언어가 진정으로 표현적이게 되는 순간, 즉 언어가 실재적 속성을 표현하고 그 결정들을 직접 신체와 어떤 순간에도 사회적 장을 구성하는 사태의 상태에 적응할 수 있게 되는 순간이 바로 이때다.

  이런 변환이 신체에 직접 적용된다 해도, 들뢰즈와 가타리가 주장하듯 그것은 언표행위에 내재하며 비신체적이다. 예컨대 누구든 '나는 전쟁을 선언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선언은 신체들로 구성된 사회적 장을 사회 전체를 변형하는 폭발과정 일반으로 이끄는 상황 속의 한 변수일 뿐이다. '언어와 외부 사이의 관계를 설립하는 표현의 변수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정확히 그것들이 언어에 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2/I 88/161).

  이런 까닭으로 비신체적인 것은 단순히 사물(혹은 신체)의 상태에서 비롯된 게 아니고, 언표(혹은 언어)의 의미에서 생겨나지 않은 비언어적 존재로도 설명되지 않는다. 그것은 '존재-외적인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또한 존재의 두 평면이 서로 연관되게 하고 상호내재적 합일이라는 사건을 표현하도록 추동한다. 그런 의미에서('당신은 사형을 선고받았소'나 '나는 전쟁을 선언한다' 혹은 '나는 널 사랑해'와 같은 말을 포함해) '명령-어'를 가동시키는 것은, 바흐친도 주장했듯 '모든 언어학적 결정물이나 범주들 외부에 놓여 있는 존재-외적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또한 명령-어는 언표의 의미조건을 표현하는 동시에 신체의 실제 상태를 표현하며, 그 상태들을 규정하는 행위와 정념 속으로 개입해 들어간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2/I 88/161). 그러므로 들뢰즈와 가타리가 명령-어라고 정의한 것은 그 모든 기능들(묘사, 지칭, 지명 등)에서 결코 언어와 동일시될 수 없다. 차라리 그것은 '그 가능성의 조건을 유효화하는 것'(혹은 '표현의 초선형성'이라 부른 것이다'(들뢰즈 · 가타리 1987: 85/I 91/166).

 - <누가 들뢰즈와 가타리를 두려워하는가?>(그렉 램버트·자음과모음·2013년·원제 : Who's Afraid of Deleuze and Guattari?, 2006년) p.138~142














  1. 20
    Dec 2023
    20:18

    [철학] 『돈의 철학』 : 주체, 객체, 정신, 자아, 주관, 객관, 욕망, 가치

    실천적 객관성은 주관적인 것의 총체성을 규정하거나 보증한다 (...) 주체라는 의식은 그 자체가 이미 객관화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신의 인격 형식이라는 원천 현상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자면, 우리가 우리 자신을 마치 그 어떤 대상처럼 관찰하고 알며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0 file
    Read More
  2. 08
    Nov 2023
    06:50

    [문학] 동화를 위한 두 개의 테제 : 교훈주의와 동심천사주의

    (...) 좋은 동화는 어떤 동화일까. 좋은 동화는 어린이의 아우성을 귀기울여 듣고 줄에서 사뿐이 벗어나 혼자 달리도록 격려할 것이다. 어른은 존중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보이지 않는 곳에 조용히 서 있도록 할 것이다. 아이들이 서로의 말을 놓치지 않도록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13 file
    Read More
  3. 29
    Jun 2023
    20:43
    No Image

    [철학] 두 얼굴의 맑스와 알튀세르

    두 얼굴의 맑스가 있다. 청년 맑스의 얼굴과 노년 맑스의 얼굴. 청년 맑스는 브루노 바우어, 막스 슈티러너, 포이어바흐와 이론적으로 싸우던 철학하는 맑스다. 신(神, God)의 나라를 땅에서 이루어 내겠다는 ‘바우어’와 인간을 절대적 자아로 포획한 ‘슈티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3
    Read More
  4. 13
    Apr 2023
    22:35

    [사회] 슬리보예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공산주의는 해결책의 이름이 아니라 문제의 이름이다

    (...) 그렇다면 오늘의 우리는 어디에 서있을까? 아마도 우리는 서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법으로 기대어 있는지 모른다. 서울의 어린이 박물관 근처에 이상한 동상이 있다. 동상은 처음 보는 사람에게는 아주 외설적인 모습일 수 있다. 어린 소년들이 일...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5 file
    Read More
  5. 07
    Apr 2023
    00:43

    [철학] 『의미의 논리』 : 의미·명제, 표현, 사건

    (...) 의미는 명제의 네번째 차원[지시작용-현시작용-기호작용과는 다른 차원]이다. 스토아학파는 사건과 더불어 의미를 발견했다. 의미는 명제에 의해서 표현된 것이다. 그것은 사물들의 표면에 존재하는 비물체적인 것이며, 환원불가능한 복합적 존재이며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8 file
    Read More
  6. 03
    Mar 2023
    15:51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가격 경제(혹은 시장경제)입니다. 이는 곧 재화의 생산과 분배가 여러 시장의 작동에서 나오는 여러 가격으로 통제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모든 유형의 재화에 대해 시장이 존재합니다. 모든 종류의 상품에 대해서는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1
    Read More
  7. 01
    Mar 2023
    22:37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아래에서의 위험-토지 시장과 노동 시장

    (...) 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이상으로 삼아 근접하고자 했던 시장경제란 자기조정을 원리로 삼는다. 이는 본질적으로 토지, 노동, 화폐의 시장들로 구성된 단일의 시장체제이다. (중략) 시장경제에서 비롯되는 위험은 여러 위험은 바로 시장경제의 확립을 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0
    Read More
  8. 17
    Feb 2023
    18:07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문명과 문화

    (...) 문명이란 나이프, 포크, 스푼을 어떻게 구해올 것이냐의 문제이며, 문화란 그것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이냐의 문제입니다. 문명이란 이를테면 도서관이나 혼인 관련 법률을 어떻게 마련할 것이냐의 문제이며, 문화는 그것을 어떻게 쓸 것이냐의 문제입니...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2
    Read More
  9. 06
    Jan 2023
    17:53

    [사회] 칼 폴라니, 『새로운 문명을 말하다』 : 시장 자유주의

    "세상은 마치 모든 개인들의 일상 활동에서 그들을 생산자와 소비자로 고립시켜 버리는 보이지 않는 경계선처럼 작동한다. 이 개인들은 시장을 위해 생산하며, 시장으로부터 필요한 것을 공급받는다. 이들이 제 아무리 자신의 동료들에게 봉사하기를 열렬히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9 file
    Read More
  10. 05
    Jan 2023
    21:05

    [철학] 니체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서문 : 속박과 해방, 자유정신

    3. 우리는 '자유정신'의 유형이 언젠가 완전해질 때까지 성숙하고 단맛을 낼 수 있도록 정신이 어떤 위대한 해방 속에서 결정적인 사건을 겪었으며 그 사건이 전에는 얼마나 속박된 정신이었고 귀퉁이와 기둥에 영원히 묶여 있을 것처럼 보였는지 추측할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2 file
    Read More
  11. 15
    Dec 2020
    23:57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예술으로서의 권력에의 의지

    794. 우리의 종교, 도덕, 철학은, 인간의 데카당스 형식이다. 이 반대 운동이 예술. 795. 예술가는 곧 철학자. 예술의 고차의 개념. 과연 인간은 다른 인간으로 형태화할 수 있을 만큼 그들로부터 멀리 떼어놓을 수가 있을까? 그것을 위한 예비 훈련. 1. 자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496 file
    Read More
  12. 15
    Dec 2020
    22:54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사회 및 개인으로서의 권력에의 의지

    716. 원칙. 즉 개개인의 책임을 느낀다. 다수자는 개개인이 그 기력을 때마침 가지고 있지 않은 사항을 행하기 위하여 날조된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모든 공동체 사회는 너무나도 약하므로 스스로의 욕망에 대한 기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개인보다 더욱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176 file
    Read More
  13. 15
    Dec 2020
    20:58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자연에 있어서의 권력에의 의지

    618. 지금까지 실현된 세계 해석 가운데 현재로서는 기계론적 세계 해석이 승리를 거두고 전면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 분명히 이 세계 해석은 스스로의 입장에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있으며 또한 기계론적 절차의 도움을 빌어 쟁취해 두지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9129 file
    Read More
  14. 15
    Dec 2020
    19:49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인식으로서의 권력에의 의지

    466. 우리의 19세기를 결정짓는 것은, 과학의 승리가 아니다. 과학에 대한 과학적 방법의 승리이다. (중략) 469. 가장 가치있는 통찰은 가장 늦게 발견된다. 그러나 가장 가치있는 통찰이란 방법이다. 현재의 과학의 모든 방법, 모든 전제는 몇 천 년 기간에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723 file
    Read More
  15. 15
    Dec 2020
    01:43

    [철학] 『권력에의 의지』 : 이전 철학에 대한 니체의 비판

    406. 우리는, 철학자에 관해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었던 몇몇 미신에서 탈피하자! 407. 철학자들은 가상, 변전, 고통, 죽음, 신체적인 것, 감관, 운명이나 부자유, 목적 없는 것에 반항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그들이 믿고 있는 것은 1.절대적 인식...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7978 file
    Read More
  16. 15
    Dec 2020
    00:30

    [철학] 『권력에의 의지』 : 니힐리즘

    1. 생존의 지금까지의 가치 해석의 귀결로서의 니힐리즘. 2. 니힐리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고의 여러 가치가 그 가치를 박탈한다는 것. 목표가 결여되어 있다. <무엇 때문에?>에 대한 대답이 결여되어 있다. 3. 철저한 니힐리즘이란, 승인 받고 있는 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697 file
    Read More
  17. 12
    Dec 2020
    13:47

    [철학] 『권력에의 의지』 : 헌사·머리말

    권력에의 의지 모든 가치의 가치 전환의 실험 세계는 무한히 해석 가능하다. 모든 해석이, 생장의 징후이거나 몰락의 징후인 것이다. 통일 일원론은 타성(惰性)의 욕구이며, 해석의 다수성이야말로 힘의 징후이다. 세계의 불안하고 혼미한 성격을 부인하고 싶...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8651 file
    Read More
  18. 08
    Dec 2020
    18:58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생물정치학·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군주가 생사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결국 그가 사람들을 죽게 할 수도 살게 내버려둘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중략) 결국 그들이 살 권리와 죽을 권리를 갖는 것은 전적으로 군주에게 달려 있다. (중략) 그러니까 삶과 죽음의 권리란 결국 죽...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3071 file
    Read More
  19. 20
    Nov 2020
    21:54

    [철학]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헤겔 철학과 청년헤겔학파에 대한 비판

    (...) 사람들은 지금까지 항상 자신들이 무엇이며 무엇이어야만 하는가에 대해 잘못된 관념을 형성해 왔다. 사람들은 신이나 정상적 인간 등에 대한 자신들의 관념에다 자신들의 관계를 합치시켜 왔다. 인간 두뇌의 산물들은 벌써 인간들이 만만하게 다룰 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0471 file
    Read More
  20. 04
    Nov 2020
    03:21

    [철학] 『천 개의 고원』 : 책 · 예술 · 언표행위 · 기관 없는 몸체

    (...) 책에는 대상도 주체도 없다. 책은 갖가지 형식을 부여받은 질료들과 매우 다양한 날짜와 속도들로 이루어져 있다. 책이 어떤 주체의 것이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는 이 질료의 구실과 이 질료의 관계들의 외부성을 무시하게 된다. 지질학적 운동을 설명...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52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