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알튀세르의 중층결정 : 구조적 인과성·절합(articulation)

by 이우 posted Dec 12, 2017 Views 201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알튀세르.jpg


  알튀세르(Louis Althusser, 1918년~1990년)가 개진한 인과성의 세 양상(기계적 인과성·표현적 인과성·구조적 인과성)은 원인과 결과를 이어주는 특정한 사유 방식과 인식론이 연관되어 있다.

  '기계적 인과성'은 부분과 부분이 일대일 대응관계를 가리키며 근대의 기계론적 세계관의 토대가 된다. '표현적 인과성'은 부분 간의 관계를 전체의 한 반영으로 인식하는 관점인데, 부분은 언제나 전체를 표현한다. 부분은 전체의 일부로서만 의미를 가지며, 전체는 부분에 대한 지배적이고 결정적인 위상을 차지하게 된다. 헤겔의 철학은 표현적 인과성의 대표적인 체계이며, 이렇게 만들어진 유기체적 세계관은 근대 사회 사상의 유력한 메커니즘이 된다. 알튀세르가 지지하는 '구조적 인과성'은 전체와 환원되지 않는 부분들 사이의 복합성을 가리킨다. 부분들이 맺는 관계는 전체라는 최종심급으로 완전히 수렴되지 않는 자율성을 지니며, 그 자체의 복합적 구조를 통해 전체에 결합된다. '구조적 인과성'으로 인해 '중층결정'과 '절합' 등이 새로운 분석틀로 제시된다.

  중층결정(重層決定, over-detemination)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에서 나온 말로, 몇 개의 독립된 혹은 관계된 원인들의 결과가 하나의 상징이 되는 과정을 이르는 말이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은 증충결정된 것이라고 보았다. 꿈은 하나의 의미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 몇 개의 상화 관련된 자료의 의미들의 집합이다. 1960년대, 루이 알튀세르의  「모순과 중층결정」에서 사용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알튀세르에 의해 사용된 이 용어는 일련의 다양한 사회적 힘들이 결과적으로 정치혁명과 같은 하나의 중층결정된 사건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전통 마르크스주의의 ‘경제결정론’을 거부하고 문화와 이데올로기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하는 알튀세르 이론이다. 하나의 원인이 하나의 독립된 사건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없다. 상호관련된 대립적인 힘의 작용이 있어야 사건이 일어난다. 특정한 시기에 사회구성체의 다양한 영역에서 존재하는 모순의 결과가 결합된 것이 중층결정이다. 각 모순은 전체 사회의 구조와 분리될 수 없으며 전체 구조에 의해 각 모순은 결정되며, 역으로 각 모순에 의해서 전체 사회구조가 결정되기도 한다. 어떠한 사회체도 단순하게 발전하지 않는다. 

  절합(節合, articulation)음성학에서는 발성기관(후두·인두·구강·비강)이 이루는 형태를 말한다. 경직된 발성기관(예를 들면 경구개)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발성기관(예를 들면 혀의 위치)이 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끊어내어 독특한 소리를 내게 하는데 이를 조음(調音, articulation)이라고 한다. 신체에서  articulation은 관절(關節)을 말한다. 둘 이상의 뼈 접합 부위를 말하며, 부동성 관절과 구분하여 가동결합을 이루는 부위만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두 뼈가 마주하는 면에는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이라는 유리연골의 얇은 층이 있다. 관절운동(articular movement)은 관절부를 지점으로 하고 근육(골격근) 부착부를 역점(力點)으로 하는 일종의 지레운동을 한다. 운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절합(articulation)이 있어야 한다. 철학에서 절합(節合, articulation)은 알튀세르의 독특한 방법론으로, 절합은 “마디와 마디가 관절처럼 맞붙어 둘이면서도 하나로 작동하는 상태, 또는 구성체계”로 정의된다. 알튀세르는 언어·욕망·육체 등의 문화와 비마르크스주의적인 이데올로기,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의 이론적 '절합’을 통해 변화한 현실에 걸맞은 혁멍의 무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Articles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