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추상(abstractions, abstractions)

by 이우 posted Jul 25, 2018 Views 817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 스피노자의 철학.jpg


  (...) 핵심은 스피노자가 <윤리학>에서 확립하고 있는 추상 개념공통 개념 사이의 본성의 차이이다(2부, 명제 40, 주석1). 공통 개념은 서로 적합한 신체들, 다시 말해 법칙들에 따라 자신들의 각 관계를 결합하고 이 내적인 적합 혹은 결합에 상응하여 서로를 변용시키는 둘 혹은 여러 신체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적인 어떤 것에 대한 관념이다. 공통 개념은 우리의 변용 능력을 포함하며, 우리의 이해 능력에 의해서 설명된다. 반대로 추상 개념은 우리의 변용 능력 한계를 넘어서 있기 때문에 우리가 이해하는 대신에 상상하는 것에 머무를 때 나타난다. 이때 우리는 서로 결합하는 관계들을 더 이상 이해하려고 하지 않으며, 우리의 상상에 강한 인상을 남기기 때문에 다른 것들을 무시하면서 우리가 본질적인 특징으로 내세우는 외적인 기호나 가변적인 감각 성격만을 간직한다(직립 동물으로서의 인간, 웃고 말하는 동물로서의 인간, 털이 없고 두 발을 가진 이성적 동물로서의 인간 등등). 우리는 결합의 통일성, 이해 가능한 관계들의 결합, 내적인 구조들을 감각적인 유연성과 차이들의 대략적 설정으로, 자연 속에서 연속성, 불연속성, 자의적인 유비를 확립한다.

  어떤 의미에서 추상은 허구(fiction)를 가정한다. 왜냐하면 추상의 핵심은 이미지들을 통해서 사물들을 설명하는 것(그리고 신체들의 내적인 본성을 그 신체들이 우리 신체에 미친 외적인 결과로 대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의미에서, 허구는 추상을 가정한다. 왜냐하면 허구 그 자체는 외적인 결합(association) 혹은 변형(trans-formation)의 질서에 따라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넘어가는 추상들로 구성되기 때문이다(<지성개선론> 문단 62-64 : <인간이 짐승으로 변형된다고 말할 때, 우리는 그것을 이주 일반적인 방식으로 말하게 되는 셈이다>). 우리는 어떻게 부적합 관념이 추상성과 허구성을 결합하고 있는지 보게 될 것이다. 허구적 추상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첫번째, 종차 혹은 유전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가변적인 성격에 의해 정의되는 강(綱), 종(種), 속(属)(개, 짖는 동물 등등). 그런데 스피노자는 종과 종차에 의한 정의 절차에 공통 개념과 연관을 갖는 아주 다른 절차를 대립시킨다. 그것은, 존재들을 그것들의 변용 능력에 의해서, 그것들이 가질 수 있는 변용들에 의해서, 그것들이 반작용 할 수 있는 자극들, 그것들이 견뎌낼 수 있는 자극들, 그것들의 힘을 넘어서는 것이어서 그것들을 변들게 하거나 그것들을 죽게 만드는 작동들에 의해서 정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능력에 따른 존재들이 분류를 획득하게 될 것이며, 어떤 것들이 어떤 것들과 적합한지, 어떤 것들이 적합하지 않은지, 무엇이 누구에게 영양물로 사용될 수 있는지, 누가 누구와 한 사회를 이룰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은 어떤 관계들 아래서인지 알게 될 것이다. 인간, 말, 개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철학자와 술주정뱅이, 사냥개와 보초견, 경주마와 역마는 그것들이 변용 능력에 의해, 그리고 무엇보다 그것들이 자신들의 삶, 각자가 만족하는 삶(<윤리학>, 3부, 명제 57, 주석)을 실행하고 충족시키는 방식에 의해 구별된다. 따라서 종과 속이라는 추상 관념들과 동일한 기준을 가진 결코 갖지 않는 다소 일반적인 유형들이 존재한다. 속성들 또한 실체를 종으로 규정하는 종차들이 아니다. 그것들 자체 또한 자신들의 종(種) 속에서 무한하다고 말해지긴 하지만(여기에서 <종>은, 속성들이 양태들은 변용들 자체이기 때문에, 단지 실체로서 무한한 변용 능력을 구성하는 필연적인 존재 형식을 지시할 뿐이다), 무엇보다도 종이 아니다.

  두번째는 수(number)이다. 수는 추상관념의 상관자다. 왜냐하며 우리는 사물들을 강, 종, 속의 구성 부분들로서 헤아리기 때문이다. 수가 상상의 보조자(<편지 12, 메이으로에게>)인 것은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이다. 수는 그 자체가, 존재 양태들에 적용되는 한, 즉 존재 양태들이 실체로부터 따라나오는 방식과 그것들이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이 추상되는 한, 추상물이다. 반대로 자연에 대한 구체적인 시각은 도처에서 무한을 발견한다. 그러나 그 부분들의 수를 통해서는 아무 것도 무한하지 않다. 2, 3, 4....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무한히 많은 속성들로 구성된 것으로, 긍정될 수 있는 실체도 무한하지 않게 될 것이며(<편지 64>, 슐러에게), 무한히 많은 부분들을 가지고 있는 존재 양태도 무한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나 무한성이 존재하는 것은 그 수에 의해서가 아니다(<편지 81, 취른하우스에게>). 따라서 수에 의한 구별은, 속성들 사이의 실제적 구별이 결코 수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체에 적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태들에게도 적합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수에 의한 구별은 추상적으로만, 그리고 상상으로서만 양태와 양태적 구별을 표현할 뿐이기 때문이다.

  세번째는 초월적인(transcendantaux) 개념들이다. 존재들 사이의 외적인 차이를 확립하는 요소로서의 특유하거나 유전적인 성격들이 더 이상 문제가 아니라, 존재(Etre) 혹은 존재와 동일한 외연을 갖는 개념들이 문제가 된다. 사람들은 그것들에 초월적인 가치를 부여하며, 무(無)와의 대비를 통해 그것들을 확립한다(존재-비존재, 통일성-다양성, 진리-허위, 선-악, 질서-무질서, 미-추, 완전성-불완전성...). 사람들은 단지 내재적 의미만을 갖는 것을 초월적인 가치로 제시하고, 상대적인 대립일 뿐인 것을 절대적인 대립을 통해 정의한다. 이와 같이 선과 악은 좋음과 나쁨, 즉 특정한 존재 양태가 갖는 행위 능력의 변이에 방향에 따라 그 양태를 특징 짓는 추상 개념들, 따라서 특정한 존재 양태와 관련하여 말해지는 좋음과 나쁨의 추상 개념들이다(<윤리학>, 4부, 서문)

  기하학적인 존재들은 특수한 문제를 제기한다. 기하학적인 도형은 어떤 의미에서 보나 추상들 혹은 이성들의 조재에 속하기 때문이다. 도형은 척도의 대상인데, 척도는 수와 같은 종류의 보조자이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무(無)를 함축하고 있다(<편지 50> 엘레스에게), 그러나 다른 이성의 존재들이 참된 원인들에 대한 무지를 함축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는 기하학적 존재들에 대해서는 적합한 원인을 ㅅ러정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는 한 도형에 특수한 정의(예를 들면, 중앙의 한 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해 있는 점들의 자리로서의 원)를 발생적 정의로(한쪽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른 한쪽은 움직이는 모든 직선에 의해서 그려지는 도형으로서의 원 : <지성개선론>, 문단 95~96, 혹은 반원의 회전으로 그려지는 도형으로서의 구 : 같은 책, 문단 72). 물론 그것은 추상적인 것과 허구적인 것과의 관계에 따르면 여전히 허구다. 왜냐하면 어떤 원, 어떤 구도 자연에서는 그렇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단일한 본질도 그와 같이 설정되지 않는다. 선이나 반원의 개념은 우리가 그것에 부여한 운동을 결코 내포하고 있지 있지 않다. 바로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표현이 유래한다 : 나는 자의적으로 원인을 구성한다( <지성개선론>, 문단 72). 그러나 실제 사물들이 관념들이 그것들을 표상하는 대로 생산될 때조차도, 관념들이 참인 것은 그것에 의해서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의 진리성은 대상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유의 자율적인 능력에 의존하기 때문이다(<지성개선론>, 문단 71). 

  마찬가지로 기하학적 존재에 대한 허구적 원인은 우리가 우리의 이해 능력을 인식하는 데 사용하고, 신의 관념(선과 반원의 운동을 결정하는 신)에 이르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한다면, 조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신의 관념과 더불어 모든 허구와 추상은 중지되고, 단일한 현실적 사물들이 자신들의 질서에 따라 생산되듯이 관념들이 신의 관념으로부터 자신들의 질서에 따라 흘러나올 것이기 때문이다(,징성개선론>, 문단 73, 75, 76). 기하학적 개념들이, 그것들과 연관이 있는 추상을 꾸며내고, 또한 스스로를 꾸며낼 수 있는 허구들인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따라서 그것들은 추상 개념보다는 공통 개념에 더 가깝다.  (중략) 기하학적 방법은 그 모든 의미와 그 모든 외연을 보존하게 될 것이다. (...)

- <스피노자의 철학>(질 들뢰즈 · 민음사 · 2001년 · 원제 : Spinoza.: Philosophie pratique) <제4장 윤리학의 주요 개념 색인> p.70~76
















  1. 25
    Jul 2018
    11:09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추상(abstractions, abstractions)

    (...) 핵심은 스피노자가 <윤리학>에서 확립하고 있는 추상 개념과 공통 개념 사이의 본성의 차이이다(2부, 명제 40, 주석1). 공통 개념은 서로 적합한 신체들, 다시 말해 법칙들에 따라 자신들의 각 관계를 결합하고 이 내적인 적합 혹은 결합에 상응하여 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81719 file
    Read More
  2. 24
    Jul 2018
    16:57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슬픔과 기쁨, 나쁨과 좋음, 그리고 윤리(Ethics)

    (...) 슬픔에는 부정적이지도 외적이지도 않은 환원불가능한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체험된 실제적인 이행, 지속이다. <나쁨>의 궁극적인 환원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행위 능력 혹은 변용 능력의 감소로서의 슬픔이다. 이 슬픔은 악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09 file
    Read More
  3. 19
    Jul 2018
    06:56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①

    (...) 그들은 신이 모든 것을 인간 때문에 만들었으며 또한 신이 자신을 공경하기 위해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내가 고찰할 첫번째 논점은 우선 왜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런 편견에 만족해 하며 또한 모든 이들이 왜 같은 편견을 그렇게 자연스럽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87 file
    Read More
  4. 03
    Jun 2018
    20:30

    [철학] 『향락의 전이』 : 뭉크와 여성의 비밀

    (…) 1893년 뭉크*는 오슬로(Oslo)의 와인 장사꾼의 아름다운 딸과 사랑에 빠졌다. 그녀는 매달렸으나 그는 결합을 두려워 해 결국 그녀를 떠났다. 폭풍우 치던 어느 날 밤, 범선이 그를 데리러 왔다. 젊은 여성이 죽음에 임박하여 마지막으로 그에게 말하기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072 file
    Read More
  5. 03
    Jun 2018
    20:20

    [철학] 『향락의 전이』 : 오토 바이닝거, “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공중들이 철학자가 성교를 한다고 해서 무가치하고 품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희망해보자…”(237)*. 이러한 진술은 바이닝거*의 작업에 일종의 좌우명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는 성차와 성관계를 철학의 중심 주제로 격상시켰다. 그러나 그가...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50 file
    Read More
  6. 28
    May 2018
    09:15

    [철학] 『향락의 전이』 : 상상적 과잉성장, 상징적 허구 혹은 창조적 허구

    (...) 현대적 매체의 문제는 우리가 허구와 현실을 혼동하도록 유혹하는 데 있지 않고 오히려 그 매체의 초현실적 성격에 있으므로 그것들은 상징적 허구를 위한 공간을 개방하는 공동을 채운다. 상징계는 그것이 궁극적으로 허구의 지위를 가지기 때문에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141 file
    Read More
  7. 03
    May 2018
    09:26

    [철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 왕도정체 · 귀족정체 · 금권정체 · 참주정체 · 혼합정체 · 민주정체

    제10장 정체의 종류 (...) 정체(政體)에는 세 종류가 있고, 그것들이 왜곡된 또는 타락한 형태도 셋이다. 세 종류의 정체란 왕도정체와 귀족정체(aristokratia, 최선자정체), 그리고 세번째로 재산평가에 근거한 정체이다. 세번째 정체는 금권정체*라고 부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9521 file
    Read More
  8. 03
    May 2018
    08:37

    [철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 분배적 정의(正義, justice)와 조정적 정의, 정치적 정의

    제3장 기하학적 비례에 따른 분배적 정의 (...) 분배에서의 정의는 어떤 가치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데는 누구나 동의한다. 그러나 누구나 같은 종류의 가치를 염두에 두지는 않는다. 민주정체 지지자들은 자유민으로 태어난 것이, 과두정체 지지자들은 부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06 file
    Read More
  9. 02
    May 2018
    20:54

    [철학] 『도래하는 공동체』 : 도래하는 존재는 임의적 존재이다

    (...) 도래하는 존재는 임의적 존재이다. 스콜라 철학이 열거하는 초범주개념들 가운데 개별 범주 내에서 사유되지 않지만 다른 모든 범주의 의미를 조건 짓는 단어가 바로 형용사 ‘쿼드리벳(quodlibet)*’이다. 이 단어를 통상 “어떤 것이든 무관하다”는 뜻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923 file
    Read More
  10. 02
    May 2018
    20:52

    [철학] 『도래하는 공동체』 :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모순은 언어에 기원을 둔다

    (...)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모순은 언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실제로 '나무'란 단어가 모든 나무를 무차별적으로 지칭할 수 잇는 것도 그 단어가 특이한(singular) 불가언적적 나무들 대신에 그들의 보푠적 의미를 가장하기 때문이다. (...) 보편자와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686 file
    Read More
  11. 02
    May 2018
    20:49

    [철학] 『도래하는 공동체』 : 파시즘과 나찌즘은 극복된 것이 아니다

    (...) 만일 우리가 인류의 운명을 다시 한 번 계급의 개념으로 사유하고자 한다면 오늘날에는 더 이상 사회 계급이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모든 사회 계급이 용해되어 있는 단일한 행성적(planertaria) 소시민 계급 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84 file
    Read More
  12. 02
    May 2018
    20:47

    [철학] 『도래하는 공동체』 : 모든 귀속의 조건을 거부하는 임의적 특이성

    (...) 중국의 5월 시위(천안문 광장의 반정부 시위)에서 가장 인산적이었던 점은 그들의 요구 사항에서 확실한 내용이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는 점이다. 민주주의 자유는 실제 투쟁 대상이 되기에 너무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개념들이었고 유일하게 구체적인 요...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291 file
    Read More
  13. 01
    May 2018
    15:02

    [철학] 플라톤의 「향연」 : 사랑은 결핍이다

    (...) "친애하는 아가톤, 자네는 먼저 에로스가 어떤 분인지 밝힌 다음 그분이 하는 일을 논하겠다고 말함으로써 이야기를 훌륭하게 시작한 것으로 생각되네. 자네가 그렇게 이야기를 시작한 것에 나는 감탄을 금할 수 없었네. 자네는 그분이 어떤 분인지 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5888 file
    Read More
  14. 26
    Apr 2018
    03:49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의미, 그것은 사용이다.

    오이디푸스와 믿음 (...) 중요한 것은, 오이디푸스는 잘못된 믿음이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이란 것이 필연적으로 잘못된 어떤 것이요, 실효적 생산을 빗나가게 하고 질식시킨다고 말하는 것이다. 바로 이런 까닭에 견자(見者)란 가장 덜 믿는 자이다. 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039 file
    Read More
  15. 13
    Apr 2018
    02:30

    [철학] 권력의지와 영원회귀에 대한 결론

    (...) 신의 죽음 또는 죽은 신이 자아(Moi)로부터 자아의 동일성과 관련하여 지니는 유일한 보증을, 말하자면 통일을 이루는 자아의 실체적인 기반을 빼앗아버린다고 말하였다. 즉 신이 죽었기 때문에 자아는 이제 소멸되거나 증발되어 사라지는 것이다. 그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637 file
    Read More
  16. 13
    Mar 2018
    15:45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선(Good)과 악(evil), 좋음(Good)과 나쁨(Bad)

    (...) 브레이은베르흐와의 서신은 모두 8통의 편지가 전해오고 있는데, 각각 4통씩 1664년 12월에서 1665년 6월 사이에 씌어졌다. (...) 곡물중개상이었던 블레이은베르흐는 스피노자에게 편지를 통해 악에 관한 문제를 제기한다. 처음에 스피노자는 자신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6180 file
    Read More
  17. 04
    Mar 2018
    17:58

    [철학] 『선악의 저편』 : 남성과 여성

    232. 여성은 자립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그 때문에 '여성 자체'를 남성들은 계몽시키기 시작한다. 이것은 유럽이 일반적으로 추악해지는 최악의 진보에 속한다. (...) 238. (...) '남성과 여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잘못 생각하고, 여기에 있는 헤아일 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78 file
    Read More
  18. 01
    Mar 2018
    08:21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도덕(Morals)과 윤리(Ethics) · 정념(passion)

    (...) <너는 저 열매를 막지 말라.> 불안에 사로잡힌 무지한 아담은 이 말을 금지의 표현으로 듣는다. 그러나 정작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담이 먹을 경우에 그 아담을 중독시키게 될 과일이다. 그것은 두 신체의 만남,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77432 file
    Read More
  19. 01
    Mar 2018
    06:37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코나투스(conatus) · 욕망과 의지, 감정

    (...) 의식 자체도 원인을 가져야 한다. 스피노자는 욕망을 <자신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는 욕구(l' appetit)>로 정의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스피노자는, 이것은 단지 욕망에 대한 유명론적 정의일 뿐이며, 의식은 욕망에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는다고 정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0319 file
    Read More
  20. 01
    Mar 2018
    04:46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평행론(parallelism) · 신체와 의식

    (...) 스피노자는 철학자들에게 새로운 모델, 즉 신체를 제안한다. 스피노자는 그들에게 신체를 모델로 세울 것을 제안한다. <사람들은 신체가 무엇을 할 수 있는 지를 알지 못한다.> 무지에 대한 이 선언은 일종의 도전이다. 우리는 의식에 대해서, 의식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846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