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logos.gif

  리좀(Rhizome)은 들뢰즈(Gilles Deleuze)와 가타리(Felix Guattari)의 명저 <천 개의 고원(Mille Plateaux)>(1980)의 입문적 표제어입니다. 들뢰즈와 가타리에 의하면 지금까지 서양의 사유는 ‘나무(樹木)’를 모델로 삼아왔습니다. 나무와 뿌리를 모델로 하는 이 사유는 항상 중심이 존재하고, ‘그리고…그리고…’로 이어지는 연속성의 논리가 지배합니다. 정신분석학·언어학·계보학·이원론에서도 드러나듯, 서양의 지식을 지탱하는 것은 이런 나무 형태의 사유입니다. 나무 형태의 사고에도 다양성은 존재합니다. 그러나 그 다양성은 중심을 가진 다양성에 지나지 않습니다. 나무에는 뿌리, 줄기, 잔가지, 잎 그리고 꽃과 열매가 있고 좌우대칭의 잘 짜여진 구조로 질서정연한 형태입니다. 근대사회는 수목처럼 구조화되어 있으며 군대처럼 질서화되어 있고 피라미드처럼 위계적입니다. 이 수목구조 반대의 개념이 ‘리좀’입니다.


  식물학에서 말하는 ‘리좀’은 땅 속에서 수평적으로 뻗어있는 구근(bulbs)이나 덩이줄기(tubers) 형태의 덩이줄기를 말합니다. 리좀은 나무처럼 땅에서 하늘로 질서정연하게 자라지 않고 땅에서 땅속을 향하며 다양체로 존재합니다. ‘리좀’은 대나무나 잔디, 고구마, 감자, 토란 등의 뿌리줄기처럼 위계를 알지 못하는 수평적 연결의 상(象)입니다. 리좀은 중심이 없고 시작도 끝도 없습니다. 리좀은 중간, 사물의 틈, 존재의 사이에 존재하는 간주곡입니다. ‘리좀’은 ‘수목구조’라는 개념에 함의된 근대의 과학, 제도, 권력, 정주, 자본, 제국, 합리, 이성 등을 해체하는 새로운 사유의 틀이며, ‘망상조직과 같은 다양체’이며 여러 특질을 가진 다질성의 복합체입니다.


  리좀은 시작도 없고 끝도 없으며 사이와 중간이고, 종단하면서 횡단하는 동시에 융합하면서 통섭합니다. 리좀은 고정된 체계나 구조가 없고 중심이 없을 뿐만 아니라 질서가 없고 인과관계도 아니며 다층적이고 다원적입니다. 또한 리좀은 선형, 원형, 방사형 등의 유클리드 기하학적 위계가 아니고 동형반복의 프랙탈 기하학도 아니며 연기나 안개처럼 비기하학적입니다. 리좀은 ‘연계’나 ‘관계’이기 때문에 ‘그래서’ 또는 ‘그리고’라는 접속사로 연결됩니다. 리좀은 실천적인 개념입니다. 단순하게 지금까지의 서양적 사고를 해석하고 비판하는 것을 넘어서서 리좀적 사고의 실천을 강조합니다. 철학상의 하나의 개념을 창조하는 것을 넘어, 사고를 실천하는 양식과 방법을 제시합니다.



체계도_2017.jpg



  들뢰즈(G. Deleuze)와 가타리(F. Guattari)의 표현을 빌면, ‘사고와 표현’은 수목 체계가 아니라 리좀 체계입니다. 중심에 가까운 것과 먼 것 간에 위계가 발생하고 주변의 잔가지나 곁뿌리들을 중심에 동일화하고 그것과 포개는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수목형이 아니라 인문학이든 교육학이든 사회학이든 어떤 학문 영역도 ‘사고와 표현’의 중심 뿌리일 수 없고, 모두 덩이줄기라는 의미의 리좀입니다. 이 리좀들은 다른 학문영역들과의 관계에 의해 각자의 값을 갖습니다. 리좀은 통섭(通攝)적ㆍ노마디즘(nomadism)적 체계입니다. 그것은 고정된 연구 대상을 뛰어넘고 방법론적인 고유성도 초월하며 이론적 집적에서도 하나의 줄기를 가지지 않습니다. 리좀은 고립이고 분과적인 학문을 구성하지 않고 분과학문뿐 아니라 계열학문까지도 유목민처럼 넘나드는 통섭(通攝)합니다.


  ‘리좀(Rhizome)’은 다양한 분야의 텍스트를 환경·문맥·상황·사용과 실천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하여 덩굴줄기(리좀, Rhizome)처럼 문학·사학·철학·예술 등의 인문학과 사회학·경제학·자연과학 등과 연결하고 접속해 인문학서원 에피쿠로스에서 진행하는 인문과정입니다.


독서토론 리더과정, 리좀I  : Rhizome Instruction Group


logo_rhizomeI.gif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밖에 있습니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언어의 의미는 환경·문맥·상황·사용과 실천에 따라 달라지며, 라캉에 따르면 ‘기표는 기의에 닿지 못한 채 그 위로 미끄러’져 기표 자체로는 의미에 닿지 못합니다. 들뢰즈와 가타리에 따르면, ‘책을 통해 읽게 되는 모든 텍스트는 책이 외부와 만나서 이루어지는 주름’입니다. ‘책은 갖가지 형식을 부여받은 질료들과 매우 다양한 날짜와 속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책이 어떤 주체의 것이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는 외부성을 무시’하게 됩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의 토론 지형은 텍스트 안에서 의미를 찾고, 기표와 기의가 다르지 않다 여기고, 책을 어떤 것이라 규정하여 왔습니다. 이 지형 안에서의 책은 현재가 아니라 지난 과거이며 도래하지 않는 미래였습니다. 토론의 지형을 바꾸겠습니다. 독서토론 리더그룹, 리좀 I (Rhizome Instruction Group)는 일체에서 다양체로, 귀속에서 탈주로, 고착에서 유동으로, 규정에서 운동으로 바꾸고, 책 안의 텍스트를 지금 이 순간 현재 시간으로 연결하고 도래할 내일로 접속하겠습니다.

 

 독서토론 과정, 리좀D : Rhizome Debate Group


logo_rhizomeD.gif

  책은 갖가지 형식을 부여받은 질료들과 매우 다양한 날짜와 속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책이 어떤 주체의 것이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는 이 질료의 관계들의 외부성을 무시하게 됩니다. 다른 모든 것들처럼 책에도 분절선, 분할선, 지층, 영토성 등이 있지만 책에는 도주선, 탈영토화 운동, 지각변동(=탈지층화) 운동들도 있습니다. 이 선들을 좇는 흐름이 갖는 서로 다른 속도들 때문에 책은 상대적으로 느려지고 엉겨 붙거나 아니면 반대로 가속되거나 단절됩니다. 책은 하나의 다양체(multiplicit?)입니다. 그래서 그 다양체가 나무 구조에서처럼 어떤 하나에 귀속된다면 그 가치를 잃고 맙니다. 


  책은 다른 배치물들과 연결·접속되어 있고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책은 과거의 어떤 시점을 기표하는 사본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실천론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독서토론그룹, 리좀 D (Rhizome Debate Group)는 책이 어떤 다양체를 속에 자신의 다양체를 집어넣어 변형시키는지 찾아내고, 책을 어떻게 삶 속으로 되돌려야 하는지 찾아냅니다.


 인문학 과정, 리좀H : Rhizome Humanitas Group


logo_rhizomeH.gif

  리좀은 어떤 지점이건 다른 어떤 지점과도 연결·접속될 수 있고 또 연결접속 되어야만 합니다. 리좀은 하나의 점, 하나의 질서를 고정시키는 나무나 뿌리와는 전혀 다릅니다. 우리 삶은 온갖 기호계적 사슬(생물학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학 등)이 매우 잡다한 코드화 양태들에 연결?접속되어 다양한 기호 체계뿐 아니라 사태들의 위상까지도 결정합니다.


  인문학이 특정한 배치물의 양태들과 특정한 사회 권력 유형들을 함축하는 담론 영역 내부에 머물러 있다면 의미를 생성하지 못합니다. 인문학을 언표의 의미론적·화행론적 내용과 연결·접속하고 언표행위라는 집단적 배치물과 연결?접속하고 사회적인 각양각색의 배치와 연결하고 접속시켜야 합니다. 인문학그룹, 리좀 H (Rhizome Humanitas Group)는 문학과 사학, 철학, 예술이라는 각 분과 학문을 덩이줄기처럼 연결?접속시키고 나아가 사회학·경제학·자연 과학 등 다른 영역의 분과 학문을 연결하고 접속합니다.


 철학 과정, 리좀P : Rhizome Philosophy Group


logo_rhizomeP.jpg

  인문학이 모든 학문의 기저를 이루는 것이며,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를 이룹니다. 철학자는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합니다.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과 관련된 감각-줄(소리-줄), 요리사가 미각과 관련된 감각-줄(맛-줄)로 사유하는 것처럼 철학자는 개념-줄로 사유합니다.


  과학자와 예술가가 그런 것처럼 철학자는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깊게 줄을 그으며, 철학자 고유의 개념의 평면을 건설합니다. 철학은 개념-줄로 세계를 구현하고 복원합니다. 


 스터디 과정, 리좀S : Rhizome Study Group


logo_rhizomeS.gif

  리좀 모양의 다양체들은 나무 모양을 한 가짜 다양체들의 정체를 폭로합니다. 리좀에는 대상 안에서 주축 역할을 하는 통일성이 없으며 주체 안에서 나뉘는 통일성도 없습니다. 다양체는 주체도 객체도 없습니다. 다양체가 가질 수 있는 것은 규정, 크기, 차원들뿐입니다. 그리고 그것들은 다양체의 질료가 변할 때에만 증가할 수 있습니다. 모든 다양체는 자신의 모든 차원들을 채우고 차지한다는 의미에서 ‘고른 판(매끄러운 공간)’입니다.


  이 ‘고른 판(매끄러운 공간)’ 위에서 이루어지는 연결·접속들의 수에 따라 판의 차원 수가 커집니다. 다양체들은 ‘바깥’(도주선(ligne de fuiete), 탈영토화의 선)에 의거해 정의되며, 다양체들은 이 선에 따라 다른 다양체들과 접속하면서 변화를 겪습니다. 스터디그룹, 리좀 S (Rhizome Study Group)은 분과적인 학문들을 땅 속 줄기처럼 파고 들면서 연결·접속들의 수를 늘이고 판의 차원을 키우고, 다른 다양체들과 연결되어 변화를 만듭니다.


 포럼 과정, 리좀F : Rhizome Forum  Group


logo_rhizomeF.gif

  포럼(forum)은 토론의 한 방식으로 사회자의 지도 아래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간략한 연설을 한 다음, 청중이 그 내용에 대하여 질문하면서 토론을 진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원래 고대 로마 시대의 공공 집회 광장이나 주위에 서 있는 주랑(柱廊)을 의미하며 이 공간에는 주랑(柱廊)이나 신전, 상점이 늘어서 있어서 담론의 중심을 이룬 곳이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서당이나 성균관 등 교육 기관이나 정치 현장에서도 포럼(forum)을 선호해 왔습니다.


  리좀은 구조들을 분리시키는 절단하고 구조를 가로지르며 의미를 만들어냅니다. 하나의 리좀은 어떤 곳에서든 끊어지거나 깨질 수 있으며, 자신의 특정한 선들을 따라 혹은 다른 새로운 선들을 따라 복구되기도 합니다. 모든 리좀은 분할선들을 포함합니다. 선들에 따라 리좀은 지층화되고 영토화되고 조직되고 의미화되고 귀속되고, 반대로 탈영토화하고 끊임없이 도주합니다. 포럼그룹, 리좀 S(Rhizome Forum  Group)은 포럼이라는 형식을 통해 지금까지의 구조를 절단해 절편화해 의미화(재영토화)하고 또 반대로 탈주선을 그리며 탈영토화합니다


 변주 과정, 리좀V : Rhizome Variration Group


logo_rhizomeV.jpg

  리좀은 나무나 나무뿌리와 달리 자신의 어떤 지점에서든 다른 지점과 연결하고 접속합니다. 리좀의 특질들 각각이 반드시 자신과 동일한 질료들을 가진 특질들과 연결·접속하지는 않습니다. 리좀은 <하나>로도 <여럿>으로도 환원될 수 없으며, 리좀은 둘이 되는 <하나>도 아니며 심지어는 곧 바로 셋, 넷, 다섯 등이 되는 <하나>도 아닙니다. 리좀은 <하나>로부터 파생되어 나오는 여럿도 아니고 <하나>가 더해지는 여럿(n+1)도 아닙니다. 리좀은 시작도 끝도 갖지 않지만 언제나 중간을 가지며, 중간을 통해 자라고 넘쳐납니다.


  리좀 과정은 고른판 위에서 펼쳐질 수 있는 선형적 다양체들을 구성합니다. 리좀은 생산되고 구성되어야 하며, 항상 분해될 수 있고 연결접속될 수 있고 역전될 수 있고 수정될 수 있어야 합니다. 변주그룹, 리좀 S(Rhizome Variration Group)는 다양한 출입구이며 도주선입니다. 중앙 집중화되어 있지 않고, 위계도 없으며, 기표작용을 하지도 않고, 조직화하는 기억이나 중앙 자동장치도 없으며, 오로지 상태들이 순환하는 다른 모든 관계입니다. 변주 그룹, 리좀S(Rhizome Variration Group)는 ‘생성’입니다.






위로